
인산선생 암 ˑ 질병 처방집
인산선생이 80평생 한방항암제 오핵단 등 암신약을 개발하고 암치료에 헌신하여 수많은 암환자들을 구활한 경남 함양의 행정동천, 운림초당, 신약당, 인산동천 등 인산의학 사대성지는 말기함환자들의 마지막 보루 역할을 훌륭히 수행하여 많은 이가 구사회생의 의학적 승리를 쟁취 하였다.
인산선생이 일찍이 암환자들을 살린 처방 사례 등은 신약당에서 수집하여 정리해서 1994년에 초판 발행하였다.
간암,간염,담도암,담낭암,담석증,황달
간암의 병리
1) 간의 역할
간은 피를 정화(淨化)하는 장부인데 공해독이 간의 정화능력을 초과할 때는 정혈작용(淨血作用)부족으로 간은 탁한피를 만들게 되고 간암, 담낭암(膽囊癌), 담낭염(膽囊炎), 담석증(膽石症), 간경화, 간염이 생긴다. 특히 간이 허약한 사람은 술을 마시면 간이 붓는데 술을 안마시면 부기가 내린다. 간이 부었다 내렷다 하면 신경이 약해져서 풍(風)이 생기고 간에 병이 온다. 즉 간의 신경변화로 풍(風)을 일으키게 되고 간이 상한다.
출혈은 두가지인데 하나는 허(虛)해서 혈액순환이 안되어 피가 고여 있다가 그 자리에서나오는 것과 또 하나는 조직이 파괴되어 나오는 것이 있다.
담낭(膽囊)을 수술로 제거하면 간에서 생성된 담즙이 췌장이나 간을 침범하여 염(炎)이나 암을 유발하나 간혹 폐도 침범한다.
만성간염은 간암의 초기 상태다. 이때 간암약을 쓰면 100이면 100이 모두 치료 되는데 만성간염이 수년간 진행하여 간경하나 간암이 된 후에는 간암약을 써서 생명을 구하는 것은 50%도 못된다. 단 진짜 토종웅담을 구할 수 있으면 더 구할 수 있다.
2)간암의 병리(病理)
공간 공기중의 전분이 몸안에 들어와서 피가 되고 섭취하는 음식물의 영양분이 피가 되고 털구멍(毛孔)으로 들어오는 전분이 피가되니 세군데서 들어오는 전분이 피가 되는 원료이다. 그 몸에서 피가 돌아가고 흐려진 피는 간에 들어가 정화되는데, 지금 공해시대에는 세군데서 들어오는 전분 자체가 모두 공해인데 그 공해도 간이 정화를 시켜야 한다. 들어오는 공해가 초과되는 때는 간에서 정화작업을 못하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담액(膽液)이 찌꺼기 앉는다. 찌꺼기가 돌이 되니 담석증이다. 그리고 또 담낭암이 생기고 이렇다.
간암이 젊은 사람이면 익모초라는 약이 들어가서 간의 피를 맑혀주면 살아나는데 늙은이는 그것이 힘들다. 간의 정화능력을 재생시키는 힘이 젊은이보다 월등 부족하기 때문이다. 익모초는 생혈(生血)하고 청혈(淸血)에 최고가는 약이다. 특히 여자한테는 더 좋기 때문에 어미 모(母)자를 써서 익모초이다. 애기 낳을 때 어혈 생긴 것을 맑혀 주는데는 제일이다. 익모초가 간에서 들어오는 모든 피를 정화시켜주면 살아나는 데 늙은이는 익모초의 도움을 받아도 그 모든 피를 정상으로 회복시킬 수가 없다. 공해독이 이렇게 심한데 간에 해로운 주독(酒毒)까지 합세하면 간에 암이 오고 만다. 늘 피곤하고 얼굴에 기미 있는 사람은 벌써 간의 정혈 부족에서 탁혈(濁血)이 많으니까 간의 기능이 약한 것이다.
3) 간암의 치료원리
간은 목(木)장부, 신장은 수(水)장부인데 간은 신(腎)의 아들이라 간에 병이 나면 자연 그 어머니도 애가 타서 신장에 병이 생긴다. 이것은 어머니가 아들을 그리워하는 자연의 이치이다. 한의학적 치료원리가 허하면 그 어머니를 보하고(虛則補氣母) 실한즉 그 아들을 사한다(實則瀉其子)는 원리를 바탕으로 간에 병이 난 것을 다스릴려면 신장, 위장약도 함께 써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폐에서 부작용이 온다. 간이 병들어서 망가지니 신수(腎水)가 통하는 길이 막히고 이것이 막히면 폐에서 금생수(金生水)하는 길도 막히니 자연히 역행할 수밖에 없어 금생수(金生水), 수생목(水生木)으로 상생하지 못하고 금극목(金克木)하여 폐가 도리어 간을 해친다. 폐가 거꾸로 간을 해치니 간에서는 신수(腎水)처리하지 못한다. 수생목(水生木)하는 원리로 신수(腎水)를 처리해야 하는 데 이렇게 신수를 처리 못하니 목생화의 원리가 끊어져서 심장 해결이 돌아오지 못하니 살수 없다.
민물고동은 신장과 간에 좋은 약이고 유근피는 신장약이니 허즉보기모(虛則補氣母)로 간병에 그 어머니 신장약인 유근피를 쓰면서 간약인 민물고동을 쓰는 것이다. 웅담이 민물고동보다 좋지만 진짜 토종웅담은 현실에 없고 전부 가짜 웅담밖에 없으니 웅담 대용으로 고동을 쓰는 것이다. 간암에 마지막 죽어 가는 사람은 신장을 도와서 간을 살려내야 그 사람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것이다.
※ 지금 암은 농약을 많이 뿌려서 농사를 짓고, 여기 서울 공기고 물이고 모두 화공약독이니까. 또 입는 옷이 화공섬유이다. 암치료하는 데 제일 좋은 것은 그런 공해독 적은 곳에 가 사는 것이 첫째이다. 화공약독의 피해가 태아한테 가서 태아의 조직을 이루면, 그 독혈(毒血)이 애기간으로 넘어갈 때에 정화를 못시키고 그만 간이 상해버린다. 그것이 간암이다.
간암처방
간암[A형 57세 남자]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10Kg,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별갑(초) 3.5근, 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공사인(초) 2근, 익지인(초) 3.5근, 금은화·포공영 각 1근, 하고초 각 0.5근 유근피 3.5근 신곡(초) 1근, 맥아(초) 3.5근,(초) 원시호 3.5근, 인진 3.5근, 호황련 1.5근, 생강·대추 각 1근, 원감초 1근, 토끼간과 내장 5마리분, 당산사·당목향 각 3.5근, 백두구(초) 2근, 적하수오·백하수오 1.5근
간이 쭈그러드는 간암 [ 肝萎에서 온 간암, B형 50세 남자, 술을 심하게 먹었다. 간이 위축되었다]
처방 : 공통약, 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당산사·당목향·금은화·포공영·하고초·맥아(초) 각 3.5근, 적하수오·백하수오·유근피·원시호·인진·호황련·공사인(초)·익지인(초)·백두구(초)·신곡(초) 각 1.5근, 생강·대추·감초 각 1근, 노나무 2.5근, 토끼간과내장 3마리분
※ 간암에 주장약은 금은화, 포공영, 노나무, 다슬기이다. 다슬기는 동쪽으로 흘러내리는 시냇물에서 잡은 것이 더 좋다. 공해가 비교적 적은 지리산 동쪽 지방, 함양과 산청 등지의 맑은 동류수(東流水)에서 잡은 것이 최상품이다.
※ 간이 녹아버리는 간농암(肝膿癌), 신농암(腎膿癌)등은 농양(膿瘍)이라고 하는데 간과 신장의 암에는 간 주장약이 들어가야 낫는다.
간암 처방 [ B형 환자 ]
공통약, 별갑(초)·원시호·맥아(초) 각 3.5근, 백개자(초)·행인(초)·당산사·당목향·금은화·포공영·유근피·호황련 각 1.5근, 적하수오·백하수오·하고초 각 0.5근, 인진 2.5근, 노나무·신곡(초)·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토끼간과 내장 3마리분
※간암, 백혈병의 주장약인 노나무는 혈액형에 따라 가감해야 한다.
B형은 3.5근, AB형은 2.5근, O형은 1∼1.5근을 기준으로 한다. 같은 O형이라도 인삼이나 꿀을 먹었을 때 어떤 반응이 있나를 물어서 가감하고 B형도 가루음식을 얼마나 좋아하는지 물어봐서 가감한다. A형은 노나무 대신 애엽과 익모초를 1.5근씩 넣는다. 애엽과 익모초는 보혈제다.
※ O형은 노나무를 1.5근 밖에 못쓰니 그만큼 더디게 치료된다. O형이라도 인삼과 꿀 등 여러 가지 반응과 식성과 성격을 파악하여 A형이나 B형에 가까운 O형은 노나무를 2.5근까지 써도 되니 부작용이 없는 범위 안에서 노나무를 늘이는 것이 빨리 치료된다.
간암처방 [ A형 남자 ]
공통약, 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당산사·당목향·금은화·포공영·유근피·원시호·인진·맥아(초) 각3.5근, 적하수오·백하수오·공사인(초)·익지인(초)·백두구(초)·신곡(초)·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하고초 0.5근, 호황련 1.5근
※ B형일 경우는 원시호와 호황련은 1.5근, 인진은 3.5근을 쓴다.
※ 복수(腹水)가 차서 배가 부어오른 환자에게는 석위초 1.5근, 유근피 3.5근을 더 넣는다.
※ 갈비가 쓰리고 아프면 간세포 종양(腫瘍)암으로 난치 질병이다.
※ 콩알 같은 종기가 난 것은 간옹(肝癰)이다.
※ A형일 때는 보조약으로 노나무 3.5근과 다슬기 1되를 달여서 음료수로 마신다.
※ 간 환자가 발등이 부으면 말기에 속한다. 출혈하면 예후가 좋지 못하다.
※ 간은 담도(膽道)를 통해 담낭, 췌장과 연결되어 있으니 담(膽)을 치료하는 인진, 간을 치료하는 호황련과 원시호, 췌장과 비장을 치료하는 당산사와 당목향을 함께 써야 간병이 낫는다.
※ 만성간염은 황달의 증상부터 나타난다.
호황련, 인진(담의 약), 원시호는 간의 약이며, 당산사와 당목향은 췌장과 비장의 약이다.
간과 비장, 담, 췌장의 약이 혼합이 되어 들어가 치료된다.
※ 먹지 못하면 간이 완전히 굳어 진 것
※ 대변이 염소 똥처럼 변비 되는 것은 간에 출혈이 있는 걸 뜻한다. 설사 시켜서 풀어준다.
※ 변비가 되면 대변을 볼 때 장이 압력을 받아 간이 파괴될 우려가 있으므로 약간 설사되도록 하여 부담을 덜어준다.
註) 선생의 처방은 간의 병이라 해서 간약만 쓰는 것이 아니라 5장6부의 약을 골고루 쓴다. 그것은 5장이 모두 상호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각 장부의 균형을 살펴서 위장과 비장 그리고 신장약까지 쓰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간을 보조하는 장부의 균형을 잡아주면서 해독하는 약재를 기본으로 간을 회복시키고, 면역력을 증가시켜 몸 스스로 바이러스를 퇴치할 수 있게끔 하는 치료법이다.
간암에는 한약이 사약(賜藥)이라고 말하는 의사들이 있다. 그러나 한약은 이처럼 5장6부의 균형을 잡아주면서 병을 회복시키는 첨단 과학요법이다. 올바른 비판과 토론을 통하여 적절한 치료방법을 찾아서 환자의 생명을 돌보는 것은 의사의 당연한 책무이나 스스로의 방법이 최우선인양 아집과 편견에 빠져 우리의 5000천년간 축적된 경험치료법인 민간의학과 한의학을 무시하고 환자를 호도하는 태도는 올바른 치료를 받을 수 있는 환자의 권리를 애초에 말살하는 것이다.
간염 처방
비활동성 간염[AB형, 50세 남자. 비활동성 간염이 있고 신경성 위장병으로 통증있고 변비가 심하다]
공통약 없이 토끼간과 내장 1마리분에 원시호, 인진, 황련 각 0.5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라.
B형 간염[B형, 29세 남자, B형 간염인데 전신 피부에 반점이 있다]
※약 먹지 않으면 백혈병이 온다. 백혈병 본방에다 인진 2.5근, 호황련 0.5근, 원시호 0.5근을 가미하라
처방 :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10Kg,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공사인(초) 3.5근, 신곡(초) 1근, 맥아(초) 3.5근, 원시호 0.5근, 인진 2.5근, 호황련 0.5근, 생강·대추 각 1근, 원감초 1근, 자백목 5.5근, 당산사·당목향 각 3.5근, 백두구(초) 3.5근, 당귀·천궁 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공사인(초) 3.5근, 신곡(초)각 1근, 맥각 3.5, 과루인(초) 3.5근, 은행(초)·도인(초) 각 0.5근
B형 간염 [ B형 33세 남자 ]
※ 간염은 깊은 잠이 안 온다. 자고 나면 개운해야 되는 데 항상 피곤하다.
간처방에 산조인(초흑)해서 넣어라
※ B형 간염이 오래되면 간암이 된다.
B형 간염 → 간경화 → 간암(O형은 100% 이렇게 된다.)
※ 쓸개에 돌이 있으면 얼마후 간암이 온다.
※ B형 간염에 심하면 간암 처방 쓰고 마늘 죽염을 겸복하라
B형 간염이 가벼우면 마늘 죽염만 복용하라
※ 수면제 : 산조인(초), 백개자(초), 행인(초)
※ 공간 공기중 색소(色素)는 50%가 O형을 죽이는 색소다.
20%는 AB, B형을 죽이는 색소다.
10%는 A형을 죽이는 색소다.
註) 선생의 처방은 간의 병이라 해서 간약만 쓰는 것이 아니라 5장6부의 약을 골고루 쓴다. 그것은 5장이 모두 상호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각 장부의 균형을 살펴서 위장과 비장 그리고 신장약까지 쓰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간을 보조하는 장부의 균형을 잡아주면서 해독하는 약재를 기본으로 간을 회복시키고, 면역력을 증가시켜 몸 스스로 바이러스를 퇴치할 수 있게끔 하는 치료법이다.
간암에는 한약이 사약(賜藥)이라고 말하는 의사들이 있다. 그러나 한약은 이처럼 5장6부의 균형을 잡아주면서 병을 회복시키는 첨단 과학요법이다. 올바른 비판과 토론을 통하여 적절한 치료방법을 찾아서 환자의 생명을 돌보는 것은 의사의 당연한 책무이나 스스로의 방법이 최우선인양 아집과 편견에 빠져 우리의 5000천년간 축적된 경험치료법인 민간의학과 한의학을 무시하고 환자를 호도하는 태도는 올바른 치료를 받을 수 있는 환자의 권리를 애초에 말살하는 것이다.
담석증 처방
담석증 [ B형 58세 여자, 7개월전 담석증 수술, 아랫배가 쑤시고 두통이 있다. 쓸개를 제거했다 ]
※ 담낭 수술후 담도염과 담도암이 오는 경우가 많다. 담석은 위를 나쁘게 한다.
※ 암이란 하나가 온후 죽 번진다. 담도에서 암이 왔다고 봐야 하니까 간암 치료법을 써야한다. 암으로 황달이 올 것이다. 황달예방을 할 수 있는 처방을 가미하라.
※ 공기중 전분이 분자를 이룬다. 그 비율(%)에 따라 A, AB, O, B형의 혈액형이 이루어 진다.
담석증 [ A형]
간처방에다 토구(土狗 : 땅강아지)를 술에다 볶아서 1.5근을 더 넣으면 된다.
※ 쓸개즙은 병이 없으나 담벽의 이상으로 생기며 흔히 담에서 간으로 간에서 담으로 병이 전이된다.
※ 병리 : 담과 간이 붙어 있는 벽은 수술시 다치면 간이 손상되면서 염증이 생기거나 하여 피가 탁해져서 이 병이 생긴다.
※ 간의 암이나 병에 마지막 약은 토종웅담을 소주에 타 먹는 것이다. 토종 웅담 2푼을 소주 한잔에다 저녁에 담궈두고 하룻밤 재웠다가 이튿날 아침 공복에 마신다. 며칠 이렇게하여 병세가 돌아선 뒤에 탕약을 쓴다.
수술한 뒤 몇 년 있다가 재발한 간암은 토종웅담을 써야 효를 본다. 토종웅담은 마지막 약이다.
※ B형인 경우 오리에 건칠피 넣어 달여 먹는 것도 좋은 간암약이다.
※ 담도는 간하고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간의 보조가 정상이 아니면 수술한 뒤에 또 막힌다. 수술하고 도뇨관(導尿管, catheter)을 삽입한 것은 그대로 두었다가 정상이 된 후에 빼낸다. 간이 완전무결할 때는 빼도 되지만 간이 완전치 못할 때 빼면 담도가 부실해져 막혀버린다. 약을 먹어서 나은 뒤에 제거해야한다.
담석증 수술 후유증[두통, 소화불량, 몸이 부어 오른다]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10Kg,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생강·대추·원감초 각 3.5근, 익모초 3.5근, 애엽·백출 3.5근을 넣고 달여서 이 약을 생강차에 타서 복용하라.
註) 선생의 처방은 간의 병이라 해서 간약만 쓰는 것이 아니라 5장6부의 약을 골고루 쓴다. 그것은 5장이 모두 상호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각 장부의 균형을 살펴서 위장과 비장 그리고 신장약까지 쓰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간을 보조하는 장부의 균형을 잡아주면서 해독하는 약재를 기본으로 간을 회복시키고, 면역력을 증가시켜 몸 스스로 바이러스를 퇴치할 수 있게끔 하는 치료법이다.
간암에는 한약이 사약(賜藥)이라고 말하는 의사들이 있다. 그러나 한약은 이처럼 5장6부의 균형을 잡아주면서 병을 회복시키는 첨단 과학요법이다. 올바른 비판과 토론을 통하여 적절한 치료방법을 찾아서 환자의 생명을 돌보는 것은 의사의 당연한 책무이나 스스로의 방법이 최우선인양 아집과 편견에 빠져 우리의 5000천년간 축적된 경험치료법인 민간의학과 한의학을 무시하고 환자를 호도하는 태도는 올바른 치료를 받을 수 있는 환자의 권리를 애초에 말살하는 것이다.
황달 및 담도암 처방
황달[B형, 4세 남아. 간염 거치지 않고 바로 황달
※선천적으로 간조직이 약해서 그렇다. 공해독이 주원인이다. 조상 유전으로 온 것이다.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10Kg,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 각 1냥, 공사인(초)·익지인(초) 1냥, 금은화·포공영·하고초 각 1냥, 유근피 1냥, 신곡(초) 1냥, 맥아(초) 1냥, 윈시호 2냥, 인진 3냥, 호황련 3냥, 생강·대추 각 1냥, 원감초 1냥, 토끼간과 내장 1마리분, 자백목 1냥, 당산사·당목향 각 1냥, 백두구(초) 1냥, 적하수오·백하수오 각 1냥
황달과 빈혈이 겸해 있음 [ A형 34세 ]
처방 :생강, 대추, 애엽 각 10전과 원감초5전을 넣고 달인 물에 죽염 10∼20g을 매일 복용하라. 죽염은 처음에 1g을 수십등분하여 쌀알보다 작게 침에 녹여서 1∼2분간 머금고 있다가 삼킨다. 매일 조금씩 양을 늘여서 10∼20g까지 양을 올린다. 간이 나쁜 사람은 신장도 나쁘니까 20g을 초과하면 도리어 해를 받는 수가 있다. 사람에 따라서는 20g에도 해를 받으니 그런 사람은 10g 정도만 먹어야 한다.
담도암[B형 55세 남자. 황달있고 복수가 차서 죽만 겨우 먹는다]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10Kg,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별갑(초) 3.5근, 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공사인(초) 1.5근, 익지인(초) 1.5근, 금은화·포공영 각 3.5근, 하고초 각 3.5근 유근피 4.5근 신곡(초) 1.5근, 맥아(초) 3.5근,(초) 원시호 1.5근, 인진 3.5근, 호황련 1.5근, 생강·대추 각 1근, 원감초 1근, 자백목 2.5근, 당산사·당목향 각 3.5근, 백두구(초) 1.5근, 적하수오·백하수오 0.5근
註) 선생의 처방은 간의 병이라 해서 간약만 쓰는 것이 아니라 5장6부의 약을 골고루 쓴다. 그것은 5장이 모두 상호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각 장부의 균형을 살펴서 위장과 비장 그리고 신장약까지 쓰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간을 보조하는 장부의 균형을 잡아주면서 해독하는 약재를 기본으로 간을 회복시키고, 면역력을 증가시켜 몸 스스로 바이러스를 퇴치할 수 있게끔 하는 치료법이다.
간암에는 한약이 사약(賜藥)이라고 말하는 의사들이 있다. 그러나 한약은 이처럼 5장6부의 균형을 잡아주면서 병을 회복시키는 첨단 과학요법이다. 올바른 비판과 토론을 통하여 적절한 치료방법을 찾아서 환자의 생명을 돌보는 것은 의사의 당연한 책무이나 스스로의 방법이 최우선인양 아집과 편견에 빠져 우리의 5000천년간 축적된 경험치료법인 민간의학과 한의학을 무시하고 환자를 호도하는 태도는 올바른 치료를 받을 수 있는 환자의 권리를 애초에 말살하는 것이다.
수전증(手전症) 처방
수전증(手전症) [ A형 여자, 왼쪽손이 떨린다. 다리는 좌우 모두 떨린다. 아래서 위로 전이되었다]
처방 : 공통약, 애엽·익모초 각 2근, 적하수오·백하수오 각 3.5근, 당귀·천궁·오가피·우슬·강활·원방풍·속단·송근 각 3.5근, 신곡(초) 1.5근, 맥아(초)·공사인 각 2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 이병의 진단법은 허(虛)로 오는 것은 힘주면 떨림이 멎고 마비나 신경이상으로 오는 것은 힘을 줘도 안되고 계속 떨린다.
※ 원인은 금극목(金克木)이다. 폐는 금(金)인데 금생수(金生水)못하니까 금생수(金生水)와 수생목(水生木)이 안되어서 물이 생(生)하지 못하니 바로 금극목(金克木)을 하게 되니까 이런 병이 생긴다.
※ 수전증은 손이 많이 떨리고 손이 찌리찌리하다. 이것은 중심을 잃어서 그렇다. 정신을 차리고 손끝에 기압을 넣는다. 아침저녁으로 손끝에 기압을 넣으면 낫는다.
註) 손이 떨리는 것은 수전증(手전症)이고 손 흔드는 것은 수전풍(手전風)이다.
간경화 및 간기능 쇠약 처방
간경화[O형 36세 여자, 오른쪽 갈비뼈가 때때로 아파서 1년 전에 병원 진찰결과 만성 B형 간염에서 이미 간경화로 진행되었다고 함, 췌장염까지 겸해있다. 지금은 등까지 결리고 아프다
※ 얼마안가서 간암된다. 벌써 암이다. 죽염마늘 겸복하라.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10Kg,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공사인(초)·익지인(초) 1.5근, 금은화·포공영·하고초 각 3.5근, 유근피 1.5근, 신곡(초)각 1.5근, 맥아(초) 3.5근, 윈시호 1.5근, 인진 1.5근, 호황련 1.5근, 생강·대추 각 1근, 원감초 1근, 토끼간과 내장 3마리분, 석고 2.5근, 자백목 1.5근,당산사·당목향 각 3.5근, 백두구(초) 1.5근, 적하수오·백하수오 각 0.5근
간경화[A 45세 여자. B형 간염에서 간경화로 되었다
※복수가 있으면 유근피를 4.5근으로 가미한다.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10Kg,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별갑(초) 2.5근, 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공사인(초) 2.5근, 익지인(초) 2.5근, 금은화·포공영·하고초 각 1근 유근피 3.5근 신곡(초) 1근, 맥아(초) 3.5근,(초) 원시호 2.5근, 인진 2.5근, 호황련 1.5근, 생강·대추 각 1근, 원감초 1근, 토끼간과 내장 3마리분, 당산사·당목향 각 3.5근, 백두구(초) 2.5근, 적하수오·백하수오 0.5근
간경화 [ AB형 40세 남자, 간경화와 복막염이 있고 복수가 찬다
※ 콩팥이 완전히 못 쓰게 된 후에 복수가 찬다. 복막염은 창자가 꼬이거나 유착 된 것이다.
공통약, 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공사인(초)·익지인(초)·백두구(초) 각 1.5근, 신곡(초)·맥아(초) 각 3.5근, 당산사·당목향 각 1.5근, 금은화·포공영 각 3.5근, 하고초 1.5근, 유근피 3.5근, 원시호 1.5근, 인진·호황련·대추 각 1.5근, 원감초 각 1.5근, 생강 3.5근, 자백목 4.5근, 차전자(초) 3.5근, 석위초 3.5근
註) 선생의 처방은 간의 병이라 해서 간약만 쓰는 것이 아니라 5장6부의 약을 골고루 쓴다. 그것은 5장이 모두 상호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각 장부의 균형을 살펴서 위장과 비장 그리고 신장약까지 쓰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간을 보조하는 장부의 균형을 잡아주면서 해독하는 약재를 기본으로 간을 회복시키고, 면역력을 증가시켜 몸 스스로 바이러스를 퇴치할 수 있게끔 하는 치료법이다.
간암에는 한약이 사약(賜藥)이라고 말하는 의사들이 있다. 그러나 한약은 이처럼 5장6부의 균형을 잡아주면서 병을 회복시키는 첨단 과학요법이다. 올바른 비판과 토론을 통하여 적절한 치료방법을 찾아서 환자의 생명을 돌보는 것은 의사의 당연한 책무이나 스스로의 방법이 최우선인양 아집과 편견에 빠져 우리의 5000천년간 축적된 경험치료법인 민간의학과 한의학을 무시하고 환자를 호도하는 태도는 올바른 치료를 받을 수 있는 환자의 권리를 애초에 말살하는 것이다.
간기능 쇠약[33세 여자, 항상 피곤하고 기미가 많다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10Kg,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공사인(초) 2.5근, 윈시호 2근, 인진 2근, 호황련 1근, 생강·대추 각 1근, 원감초 2근, 당산사·당목향 각 3.5근, 익모초 2근, 백두구(초) 2.5근
간기능 쇠약[B형 41세 남자, 간기능 쇠약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10Kg,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별갑(초) 0.5근, 백개자(초)·행인(초) 각 1근, 공사인(초)·익지인(초)·금은화·포공영·하고초·유근피·신곡(초)각 1근, 맥아(초) 3.5근, 윈시호 1.5근, 인진 1근, 호황련 1근, 생강·대추 각 1근, 원감초 1근, 당산사·당목향 각 1근, 백두구(초)·적하수오·백하수오 각 1근
골수암,진행성근취축증,골육종,수전증
골수암(骨髓癌), 진행성 근 위축증
골수암과 진행성 근 위축증의 원인
태중의 애기에게 어머니의 호흡으로 들어오는 금(金)성분이 들어가야 하는데 애기를 가지고 있을 때 무엇인가 속 상하는 일이 있으면, 금(金)이라는 것은 불하고 상극이기 때문에 속상할 때는 심장의 화기(火氣)가 강해지니까 폐에 들어오는 금성분을 자연히 소모시켜 버린다.
그러면 애기 뼈가 약해지고 금기(金氣)가 약해져, 금기(金氣)가 부족하니까 애기의 하얀 뼈에 백금성분(白金成分)이 들어와 합성되는, 그 양이 부족해서 이런 병이 오는 것이다.
근(筋 : 힘줄)위축증이라고 힘줄에 대한 약을 억만원어치 쓴다고 되나? 힘줄이 굳어 버렸는데. 백금성분 부족으로 잘못하면 뼈가 부러진다.
이 피가, 음식 먹어 된 기름이 피가 되었잖아? 그러면 음식 먹어 들어온 영양분이 기름이다. 이 기름이 피가 되었는데, 기름이 피가 되면 기름 속에 있는 것은 전부 색깔만 붉어진 것이지, 원료는 기름이 아닌가? 그래서 기름이 피로 넘어 갔고 또 기름의 원료는 음식물이다. 음식물에서 뽑아 낸 것이기 때문에. 따라서 먹은 음식이 피로 넘어 갔는데 이 피가, 숨쉬는 데서 들어오는 전분 속의 미세 분자가 다 합성된다. 그러니까 숨을 쉬는데, 우리가 여기 앉아서 숨을 쉴 때 공간에 있는 전분 속에는 백금이 있게 되어 있잖아? 그런데 지금 어린것들이 커 가는데, 태중에 있을 때에는 배꼽의 배꼽줄을 가지고 숨을 쉬는 거지만, 태어나서는 애들은 철분이 주장이다. 뼈가 생길라고. 그 석회, 석회질에서 철분이 주장인데, 음식물엔 석회질이 많고 이 호흡에는, 호흡으로 들어오는 것 속에는 철분이 많다.
그러니까 숨구멍을 막으면 바로 죽고 만다. 음식을 먹어야 되는 것은 음식 속에서 석회질이 나오고 또 호흡을 안 하면 백금이 합성되지 않는다는 것인데 음식 속에 있는 백금은 양이 미달되니까 숨쉬는 데서 얻은 것이라야 완전하게 합성이 이루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여기 공해가 심한 곳에는 몹쓸 골수암이 오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공해가 백금을 녹이니까 골수암이 올 수밖에 없다. 애들은 어른보다 약하니까, 공해에 백금이 녹으면 골수암으로 죽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 병 치료법은 그것을 고치는 반면에, 죽을 때까지 골수암이라는 병은 오지 않을 수가 있다. 완전하게 해주는 것이다. 근 무력증만 고치는 약이 아니라 백금성분이 부족해서 오는 골수암 같은 것도 완전 예방되는 것이다.
註) 근위축증은 인체골격구조 변경에 따른 혈관내 혈액의 흐름 및 신경장애로 감각 신경과 운동신경에 이상을 일으켜 근육에 운동이 일어나지 않고 영양공급이 단절되어 근육이 감소하고 위축되는 근육계 질한이다. 근위축증 환자는 정상적으로 걷지 못하고 한쪽 다리를 절거나 양쪽 발끝으로 걷는 이른바 까치발 현상을 동반하기도 한다. 이같은 보행장애는 인체구조변형 악화와 내부 장기 이상을 불러 각종 골격질환이나 장기질환을 일으키고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성장저해 요인이 된다.
골수염, 골수암 및 속골(續骨)처방
1) 집오리 1마리에 금은화 1.5근, 건칠피 1근, 자오공(법제) 300마리를 넣고 달여서 완쾌될때까지 수시로 복용하라. 홍화씨와 겸복하라.
2) 석룡자환을 생강차나 위의 오리탕에 복용하라.
3) 절골(折骨), 골수염, 골수암 수술시 팔, 다리뼈를 절단하거나 구멍 뚫어 치료하고 고름을 뺏을 때와 폐암, 폐결핵으로 갈비뼈를 절단, 치료했을 경우 옻과 오리로서 뼈의 이음을 빠르게 하라.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골수염에서 골수암으로 전변할 가능성이 있다.
위의 오리탕 처방을 15마리 정도 복용하라. 완치된 후 3년이 지나면 괜찮으나 3년 전후해서 재발할 겨우 고름을 뺀 상처에 마늘뜸을 떠야한다.
골수암 및 골수염 처방
결핵성 골수염[ O형 ]
공통약, 과루인 0.5근, 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별갑(초)·백두구(초)·공사인(초)·익지인(초) 각 1근 당산사·당목향·적하수오·백하수오 각 1근, 금은화 4.5근, 포공영 3.5근, 하고초 2.5근, 석고 2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골수암 [ A형 남자 ]
처방 : 관절 처방에 홍화씨를 가미하라.
※ 골수염 상태에서 뼈가 파골(破骨)되면서 피부 표피를 다쳐서 파상풍의 독이 들어와 파상풍이 되어서 뼈의 바깥 부분은 어느정도 혈액이 통해서 석회질 남아 있지만 뼈 내부는 혈액이 잘 안 통하므로 다 녹아서 진물이 되고 파상독으로 살과 근육은 다 녹았다.
골수암 [ AB형 31세 남자, 무릎부위 골수염이 수년간 진행되어서 암이 되었다 ]
처방 : 공통약, 원백강잠(법제) 3.5근, 석룡자(법제) 1근, 우슬·강활·원방풍·속단 각 2.5근, 목과 0.5근, 송근·백개자·행인 각 3.5근, 애엽·익모초·당귀·천궁·백출·신곡(초) 각 1근, 맥아(초) 3.5근, 공사인 1근, 금은화·포공영·하고초 각 3.5근, 생강·대추·감초 각 1근
골수암 [ O형 47세 여자, 유방암 수술후에 골수암이 되었다]
※ 유방암의 뿌리는 폐에 있으니 유방암 수술을 하게 되면 폐가 망가지든지 아니면 뼈 속을 돌아다니면서 고장을 낸다.
처방 : 폐처방
골수암 [ A형 10세 남아, 닭싸움 놀이하다가 뼈 다친후 골수암이 생겼다.]
처방 : 관절 처방에 금은화 4.5근, 포공영 3.5근, 하고초 2.5근으로 가미하라.
※ 반드시 석룡자를 넣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넣으면 더욱 좋다. B형은 노나무 2.5근을 가미하라.
골육종 처방
골육종(骨肉腫)
처방 : 공통약, 금은화 5근, 포공영 4.5근, 하고초·백개자(초)·행인(초)·별갑(초) 각 3.5근, 은행(초) 2.5근, 도인(초) 2근, 적하수오·백하수오 각 0.5근, 신곡(초) 2근, 맥아(초) 3.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 골종(骨腫) : 집오리, 포공영이 주장약이다. 즉 포공영의 함성(鹹性)이 주장이다.
※ 육종(肉腫) : 금은화가 주장약이다.
골육종 [ A형 66세 남자, 골육종과 척추부분 종괴(腫塊)가 있어 척추 신경을 압박하여 하체가 무력하다. 밤이 되면 통증이 극심하다]
처방 : 공통약, 원백강잠(법제) 3.5근, 석룡자(법제) 1근, 과루인(초)·백개자(초)·행인(초)·금은화·포공영·하고초·생산약 각 3.5근, 구기자·산수유·오미자·청피·산길경 각 1.5근, 유근피 3.5근, 차전자(초)·지부자(초) 각 0.5근, 생강·대추·감초 각 1근
※ 육종(肉腫)은 내피종(內皮腫)의 하나로, 내피종에는 수백의 종류가 있는 데, 뼈와 살 사이, 힘줄과 살 사이, 혈관과 살 사이 등의 이상을 전부 내피종(內皮腫)이라 한다. 즉 힘줄, 살, 근육, 혈관 등의 모든 이상을 내피종이라 하며 근육종도 내피종의 일부이다.
註) 골육종(osteosarcoma) : 간, 폐, 신장 등 우리가 흔히 아는 장부에 생기는 악성종양을 일반적으로 암이라고 하고 근육, 뼈, 물렁뼈, 지방등 주변 조직에 생기는 암이 육종(sarcoma)이다. 골육종은 무릎 근처의 뼈에 잘 생긴다. 넓적 다리뼈의 아래와 정강이뼈의 윗부분에 많이 생겨서 그 부위의 발병률이 60%를 차지하며 그밖에 골반주위, 어깨, 뼈 순으로 발병한다. 통증이 제일 흔한 증상으로 나타나는 병으로 20대 이하가 골육종환자의 75%를 차지한다.
근 위축증 처방
근 위축증 [ B형 13세 남자, 발육이 늦고 아직도 걷지 못한다]
처방 : 육미지황탕 1첩당 홍화씨 찻숟가락으로 1숟가락씩 함께 1일 2회 복용하라. 3년 정도 복용하면 차도가 있다. 육미지황탕은 하체의 약이다.
육미지황탕(20첩분량): 숙지황 8냥, 산약·산수유 각 4냥, 목단피·택사 각 3냥
근 위축증 [ O형 15세 ]
처방 : 위 처방대로 육미지황탕과 홍화씨 겸복
근 위축증 [ O형 20세 남자, 목뒤와 전신마비가 있다]
처방 : 관원, 족삼리에 쑥뜸을 떠라.
진행성 근 위축증 [B형 10세 남아, AB형 9세 남아 형제간, 형제간인데 둘다 무릎이 경결(硬結)되었고 진행성 근 위축증이다]
처방 : 신장 처방을 써고 겸복은 홍화씨 5푼씩 탕약 먹을 때마다 먹어라. 하루에 7번 복용하라.
※ 해산시에 받은 상처로는 이렇게 안된다. 설사 그런 상처가 생겼다 하더라도 어린 아기는 금방 재생, 회복된다. 이 애기는 태모가 살아오면서 흡수한 화공약독이 초과하여 애기 육신 조직을 태중에서 이룰 때 그 조직 미달로 인한 병이다.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 움직이는 것은 폐와 신장인데 폐와 신장은 어느 정도 힘이 있다는 증거이다.
처방 : 신장처방과 홍화씨 복용하라.
심하게 매 맞아서 양쪽 팔을 못 쓰고 무력(無力) 처방
심하게 매 맞아서 양쪽 팔을 못 쓰고 무력(無力)하다. [ 6세 남아, 변비가 있고 소변 실금(失禁)있다]
※ 이것은 애를 때려서 혈액이 안 돌아가니 간이 망가졌다. 또 신장에서 뇌로 가는 신경이 차단되었다
처방 : 공통약, 원백강잠(법제) 3.5근, 석룡자(법제)·우슬·강활·원방풍·속단·목과·백개자(초)·행인(초)·애엽·익모초·당귀·천궁·백출·신곡(초)·맥아(초)·공사인(초)·금은화·포공영·하고초 각 1.5근, 생강·대추·감초 각 1근, 송근 9근
※ 팔 마비의 원인 : 어혈이 간에 가서 모아서 간에서 뇌로 가는 신경을 마비시켜 팔이 마비된다.
수전증(手전症) 처방
수전증(手전症) [ A형 여자, 왼쪽손이 떨린다. 다리는 좌우 모두 떨린다. 아래서 위로 전이되었다]
처방 : 공통약, 애엽·익모초 각 2근, 적하수오·백하수오 각 3.5근, 당귀·천궁·오가피·우슬·강활·원방풍·속단·송근 각 3.5근, 신곡(초) 1.5근, 맥아(초)·공사인 각 2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 이병의 진단법은 허(虛)로 오는 것은 힘주면 떨림이 멎고 마비나 신경이상으로 오는 것은 힘을 줘도 안되고 계속 떨린다.
※ 원인은 금극목(金克木)이다. 폐는 금(金)인데 금생수(金生水)못하니까 금생수(金生水)와 수생목(水生木)이 안되어서 물이 생(生)하지 못하니 바로 금극목(金克木)을 하게 되니까 이런 병이 생긴다.
※ 수전증은 손이 많이 떨리고 손이 찌리찌리하다. 이것은 중심을 잃어서 그렇다. 정신을 차리고 손끝에 기압을 넣는다. 아침저녁으로 손끝에 기압을 넣으면 낫는다.
註) 손이 떨리는 것은 수전증(手전症)이고 손 흔드는 것은 수전풍(手전風)이다.
뇌암,뇌종양,뇌막염
뇌암 인산선생님의 어록 지침 이들은 모두 일반 축농증, 중이염 후발종의 치료법으로는 치유되지 않으며 수술을 해도 대개 효과를 보지 못할 뿐 아니라 더욱 악화되는 경향이 짙다. 병뿌리가 만성뇌암에서 비롯된 것이므로 먼저 뇌암을 치료하지 않으면 낫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도 모두 뇌암의 치료방법에 따라 치료해야 한다. 후천적 원인으로는 지나치게 두뇌를 피로하게 하거나 속을 끓임으로서 폐가 손상되는 것을 들 수 있다. 곧 폐의 손상으로 폐가 제반 음식물, 또는 호흡을 통하여 체내에 들어오는 각종 공해독을 완전히 제어할 수 없게 되면 폐의 사령부격인 폐뇌가 공해독에 중독, 폐뇌 뇌수 고갈증이나 폐뇌 뇌종양 증세를 일으켜 뇌암이 오게 되는 것이다. 매우 드물지만 간뇌가 손상을 입어 뇌암이 오는 예도 간혹 있다. 만성 뇌암으로 오는 병발증으로는 축농환, 중이증, 중이염, 후발종등이 있다. 뇌암에서 오는 축농증, 중이염은 일반 축농증, 중이염에 비해 심한 두통과 악취를 동반하는 특징이 있다. 또 뇌암으로 오는 후발종은 일반 후발종에 비해 아문(啞門),풍부(風府)등 뒷머리의 정혈(定穴)에 종기가 나고 두통이 심한 특징을 보인다. 이들은 모두 일반 축농증, 중이염 후발종의 치료법으로는 치유되지 않으며 수술을 해도 대개 효과를 보지 못할 뿐 아니라 더욱 악화되는 경향이 짙다. 병뿌리가 만성뇌암에서 비롯된 것이 므로 먼저 뇌암을 치료하지 않으면 낫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도 모두 뇌암의 치료방법에 따라 치료해야 한다. |
뇌종양 처방
뇌종양 [ AB형 9세, 귀 못 듣고 눈을 못 뜬다. 뇌암처럼 발열이 심하다 ]
처방 : 공통약, 원백강잠(법제) 3.5근, 석룡자(법제) 1.5근, 과루인(초)·백개자(초)·행인(초) 각 0.5근, 금은화·포공영·하고초 각 3.5근, 생산약·구기자·산수유·
오미자·청피 각 0.5근, 유근피3.5근, 차전자(초)·생강·대추·원감초·천마·원지 각 0.5근
뇌종양에는
죽염과 난반을 5:1로 섞어서 2일간 복용하고
죽염과 난반을 4:1로 섞어서 2일간 복용하고
죽염과 난반을 3:1로 섞어서 2일간 복용하고
죽염과 난반을 2:1로 섞어서 계속 복용하라.
※ 열이 많이 나는 것은 뇌가 타 들어가므로 불처럼 열이 난다. 뇌암은 눈알이 나오고 시력이 끊어진다.
뇌종양 [ B형 7세 남아, 사시(斜視)이고 수술 한 번 받았음 ]
※ 어린아이이기 때문에 신장처방의 (2)처방 요도종양의 약재를 1/3으로 줄여서 사용하고 천마는 0.5근을 써라.
※ 간뇌 조직과 간세포에 병이 오는 것은 태아때 무언가 부족으로 완성이 되지 않았다. 유전으로, 외가(外家) 혹은 생가(生家)에서 자생한 유전병이 아니라 공
해독이 심해 어머니 피가 이런 병을 나게 만드는 것이다. 간 조직 부족으로 심장 조직도 무엇인가 부족이 와 있다.
※ 뇌암은 신장암이 먼저 오고 난 뒤에 오는 것이기 때문에 뇌암에 신장암 처방을 쓰는 것이다.
뇌종양(腦腫瘍), 뇌암(腦癌), 뇌막염(腦膜炎)
뇌종양, 뇌암, 뇌막염, 교통사고로 뇌를 다쳤을 때 가미천마탕을 달여서 복용하라.
※ 가미천마탕 : 상백피 4전, 천마 2전, 향부자·귤피·산조인(초흑)·하고초 각 1전5푼, 소엽·갈근·소회향(미초, 微炒)·우슬·적복령·오약 각 1전, 현호색·홍화 각
8푼, 연육 1전5푼, 생강 3쪽을 달여서 대경명 5푼을 1첩에타서 조석으로 공심복하라.
신장암,신장염,신부전,방광암,방광염,전립선암,전립선염,요도종양,신증후군,유뇨
신장 처방과 원리 설명
1)제 1처방, 신장염(浮腫, 水腫), 신부전(腎不全)
콩팥이 허(虛)해서 이수도(利水道)가 잘 안 되면 이를 ‘부종(浮腫)’이라 하는데, 이는 한꺼번에 또는 순식간에 부었다가 빠졌다가 한다. 비장에서 요도로 보내주는 수분이 그곳 조직 신경이 허약해서 비정상일 때 수분이 외부로 조금씩 배설해 나가는 것을 ‘수종(水腫)’이라 하는데, 이는 모르게 모르게 붓는다. 심하면 많이 붓는데 이는 난치이다.
※ 부었다 내렸다 하는 것은 ‘부증(浮症)’이고 계속 부어있되 피부 색깔이 흰 것은 ‘수종(水腫)’ 누런 것은 ‘부종(浮腫)’이다. 이들은 모두 신장염이며 부종은 대부분 신장암으로 전변(轉變)할 가능성이 있고 수종은 약 10%의 전변가능성이 있다.
가) 느릅나무 뿌리의 껍질 즉 유근피(楡根皮)를 분말하여 이를 무시로 생강차에 1 숟가락씩 식전에 먹는다.
나) 집오리 1마리의 털과 똥을 제거하고 다슬기 1되, 소적두(小赤豆, 이팥) 1되, 상백피 1근, 마늘·건칠피(옻나무 껍질) 1근, 금은화(금은화) 1근을 함께 넣고 푹 삶아서 찌꺼기는 버리고 약물이 1되 가량 되게 졸여서 복용한다.
다)신장암·신부전·방광암·전립선암에 신비한 계분백(鷄糞白)
토종닭의 닭똥은 하얀 부분이 있는데 이것을 계분백(鷄糞白)이라고 한다. 계분백은 석회정(石灰精)이라는 것이 있다. 닭이 돌을 주워먹고 살게 되면 돌속에 있는 정(精)이 계분백으로 화(化)한다. 개량종에서는 계분백을 모을 수가 없다. 이 계분백은 신장암, 신부전, 신장염, 방광암, 전립선암, 요도염 등에 좋은 신약(神藥)이다. 복용방법은 신곡(초) 1근, 맥아(초) 1근, 계분백(초) 1근, 이 세가지 약재를 곱게 갈아서 분말하여 광목(보자기)에 싸서 보리찻물을 넣은 뚝배기에 24시간 담가둔다. 다음에 그 우러난 물을 수시로 복용한다. 콩팥이나 방광의 결석과 암세포를 제거하는 신비한 역할을 한다. (맨 아래 계분백과 신장암 참고)
라) 콩팥에 일종의 덩어리(積)가 생긴 것을 신적(腎積)이라 하고 또 분돈(奔豚)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암의 원인으로 습(濕)에서 온다.
집오리 1마리에 건칠피 1근반, 금은화 1근, 다슬기 1되(2kg), 이근피(李根皮) 1근반을 넣고 달여서 수시로 복용한다.
2. 신장 처방
1) 신장암[ O형 48세 남자]
공통약(오리 2마리, 민물고동 5되(10Kg),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원백강잠(법) 3.5근, 백개자(초)·행인 (초)·차전자(초) 3.5근, 금은화·포공영 3.5근, 생산약 3.5근, 산수유 2근, 오미자 1근, 유근피 3.5근, 석위초 3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석고 2.5근, 적하수오·백하수오 각 3.5근, 목통 1근, 구기자 3.5근, 청피 1.5근, 하고초 3.5근
2) 요도종양[A형 57세 남자]
공통약(오리 2마리, 민물고동 5되(10Kg),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원백강잠(법) 3.5근, 석룡자(법제) 1근, 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차전자(초) 2근, 금은화·포공영 3.5근, 생산약 3.5근, 산수유 3.5근, 오미자 1근, 유근피 3.5근, 석위초 1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목통 1근, 과루인(초) 2.5근, 구기자 3.5근, 하고초 1근, 지부자 2근
3) 신(腎) 증후군[81년 신장수술, 팔다리 배 부었다. 단백뇨. 84년 장이 유착되어 수술을 받았다]
공통약(오리 2마리, 민물고동 5되(10Kg),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원백강잠(법) 1.5근, 석룡자(법제) 1.5근, 백개자(초)·행인(초) 각 1.5근, 차전자(초) 3.5근, 금은화·포공영 각 1.5근, 생산약 1.5근, 산수유 1.5근, 오미자 1.5근, 유근피 3.5근, 석위초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목통 1.5근, 과루인(초) 1.5근, 구기자 1.5근, 청피 1.5근, 하고초 1.5근, 지부자 1.5근
4) 방광염 [A형 30세 남자, 혈뇨(血尿)]
공통약(오리 2마리, 민물고동 5되(10Kg),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원백강잠(법) 3.5근, 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차전자(초) 1.5근, 금은화·포공영 각 3.5근, 생산약 3.5근, 산수유 1.5근, 오미자 1근, 유근피 3.5근, 석위초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목통 1.5근, 과루인(초) 1.5, 구기자 3.5근, 하고초 1근, 지부자(초) 1.5근
5) 신부전 [A형 6세 남아, 만성신부전인데 병원에서 신장기능 25%정도만 남아 있다고 한다]
※ 이 애기 임신 중에 엄마가 늑막염 앓았다.
※임신부의 혈액이, 음식물과 식수 공기중의 모든 화공약독이 임신부의 혈액으로 자꾸 모아와서 그 피로 아기가 되었으니 그런 병이 왔다. 간암 등도 오고 백혈도 오는 수가 있다.
공통약(오리 2마리, 민물고동 5되(10Kg),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원백강잠(법) 0.5근, 백개자(초)·행인(초) 각 0.5근, 차전자(초) 0.5근, 금은화·포공영 0.5근, 생산약 0.5근, 산수유 0.5근, 오미자 0.5근, 유근피 0.5근, 석위초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0.5근, 목통 0.5근, 과루인(초) 0.5근, 구기자 0.5근, 청피 0.5근, 하고초 0.5근
6) 만성신장염 [O형 37세 남자. 양쪽 신장모두 결석. 폐가 당기고 압박감. 정충, 불면증, 소화불량, 경련성 장 증후군]
※화공 약독으로 장부가 녹아난다.
공통약(오리 2마리, 민물고동 5되(10Kg),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원백강잠(법) 3.5근, 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차전자(초) 3.5근, 금은화·포공영 각 3.5근, 생산약 3.5근, 산수유 2근, 오미자 1근, 유근피 3.5근, 석위초 3.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석고 3근, 신곡(초) 1근, 맥아(초) 1.5근, 적하수오·백하수오 각 3.5근, 청피 1.5근, 하고초 3.5근, 산조인(초흑) 3.5근
7) 유뇨(遺尿)[A형 7세 남아, 3일마다 어떤 때는 날마다 밤에 오줌을 싼다 ]
※ 어머니 뱃속에서 태아가 조직이 모자라서 생겼는데, 태어나서 농약독과 합해서 생긴 병이다.
처방 : 집오리 1마리, 차전자·석위초·생산약·구기자·산수유·오미자 각 0.5근을 달여서 먹인다. 먹기 싫어하면 참깨 가루를 섞어서 먹인다.
※ 차전자, 석위초를 쓰는 이유는 부모의 성병으로 인해 유전된 유뇨에 잘 듣는 약재이다.
소아 유뇨는 폐에서부너 오는 이수도(利水道) 가 신장에서 처리 못해 온 것이다. 신장에서 처리할 힘이 모자라서 즉 신장 힘이 폐장까지 제대로 통하지 못한다. 이는 부모 중에 누군가가 성병 기운이 있거나 혹은 무슨 독성(毒性)기운이 있어서 그렇다.
8) 만성 전립선염
처방 : 공통약, 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유근피 4.5근, 생산약·구기자 각 3.5근, 산수유·청피·오미자·차전자 ·지부자 각 2근, 속단 3.5근, 맥아 3.5근, 석위초 1근, 생강·대추·감초 각 1근
※ 전립선염은 양기부족으로 요도에서 생긴 것과 방광이 수축하여 방광에서 생긴 것 이 두 가지이다.
※ 전립선의 병은 임균, 매독성, 신허(腎虛), 방광이 약해서 오는 것 모두 4종이다. 눈이 침침한 것은 신허(腎虛)에서 오는 것이다.
※ 석위초, 호장근, 통초는 이수도(利水道)만 잘 시키는 것이 아니고 방광과, 콩팥에 돌이 박힌 신장결석이나 요도결석, 방광 결석에 주장약이다. 석위초는 담낭결석에 주장약이다.
※ 옥수수 수염은 방광을 녹인다. 발등이 부으면 말기 단계이고 종양이 있으면 참는 신경이 부진하여 잘 참지 못한다.
계분백(鷄糞白)과 신부전(腎不全)
계분백(鷄糞白)이란 말 그대로 닭똥 중의 흰 부분을 뜻한다.
인산 선생의 계분백에 관한 말씀
신부전(腎不全)에는 계분백(鷄糞白)이 좋은데, 효(效)는 사람마다 다 달라요. (신약본초 후편 195쪽)
‘연세 높은 분, 신부전으로 몸이 붓고 하는데, 계분백 먹이면 되겠습니까?’
나이 든 사람은 계분백을 써서 부기가 빠지면 더 이상 할 필요 없어요.부기 빠진 뒤에도 계분백 자꾸 하면 힘이 쑥 빠져 버려요. 늙은이가 전신이 부었을 적에 계분백을 써서 전신 수분 몰아낼 적에 영양 주는 물도 나가버려. 뭐이고 한꺼번에 없애는 건 재미없어요. 늑막에 고인 물도, 주사기로 막 빼면 죽어버리는 수 있어요. (신약본초 후편 118쪽)
심부전 신부전(心不全 腎不全) 평생에 안 오도록 할 수 있어요. 신부적에는 계분백이 좋아요.(신약본초 후편 147쪽)
콩팥 신부전(腎不全)이 또 있어요. 신장염은 부증병(浮症病)인데 또 신장염에다가 신부전이 있고 신장암이 있고, 또 전립선염(前立腺炎)이 있고 방광염이 있는데. 여기에 한 가지 가지고 치료하는 건 또 뭐이냐? 우리 나라 토종닭이 있어요. 토종닭의 달구똥[닭똥]은 그 또을 싸고 난 뒤 위에 하얀 점 있어요. 그걸 의서엔 계분백(鷄糞白)이라고 하는데 그거 어느 옛날 양반 비방(秘方)에 나와 있는데, 고거이 조금 미비해도 확실한 거요.
그런데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이나 모든 옛날 양반 비방 속에는 제대로 나와 있지 않아도 계분백에 대한 치료법은 있어요. 그래서 그건 나는 꼭 된다고 일러주어요. 완전무결하다, 그래 일러주는데. 이 현실에는 신장에 신부전은 투석(透析)이나 하고 돌리면 되는 줄 아는데 그것도 얼마 못 가요. 신장암은 이식수술 해 가지고 좀더 살게 한다고 하면서 얼머 못 가요. 그럳데다 항암제나 놓으면 극약이라, 건 살아날 가망이 없고, 이런데.
계분백이라는 건 뭐이냐? 닭은 흰자위 속에 석회질이 많이 있어요. 그래서 계란 깝데기가 생기는데. 계분백이라는 건 석회정(石灰精)이라는 거 있어요 .돌인데, 그놈의 돌을 주워먹고 살게 되면 돌 속에 있는 정(精)이 계분백으로 화(化)해요. 그래서 토종닭은 똥싸게 되면 꼭대기에 하얀 점이 있어요. 그런데 개량종도 있긴 해도 약을 하면 잘 안돼요. 토종만이 되는데, 그래도 신자암은 어차피 죽는데 그걸 가지고 하면 하나도 실수(失手)없이 산다고 봐야 될 겁니다.
또 신부전도 지구상에선 못 고치게 돼 있어. 투석하고 일찍 수술하고 좀더 살고 죽는데 계분백이면 완치돼. 또 그러고 오래 살 수도 있어요. 오래 사는데 들어가면 홍화씨도 외래산(外來産)이래도 계속 잘 볶아서 절구에 찧어서 차를 달여서 조금씩 늘 먹어 두면 자기 수명은 연장해요. 건 내가 여러 사람을 지키고 보는데 바로 죽는 사람이 있다면 나도 그런 소리 안할 건데, 또 죽염도 오래 장복(長服)하면 확실히 수명을 연장하고 뱃속에 애기 밸 때 열 달을 죽염을 부지런히 먹으면 그 애기 홍역도 안하려니와 잔병이 일체 없어요.
그러고 차멀미하는 이들이 걸 늘 먹다가 차 탈 적엔 덩어리를 조금 입에 물고 가면 내내 녹아서 , 침을 넘기며 가면 차멀미하는 사람이 없어요. 그러면 그 죽염을 너무 광고를 푸짐하게 하다가 혼날 순 있어도 많은 사람이 먹어 가지고 완전한 감로수의 비법을 알면 장수한다, 만병을 통치한다, 그건 있을 수 있어.
무병 건강이란 말이 따라와요. 건 산삼보다 죽염이 앞서고 또 신비한 약물 속에 장수를 앞세우는 건 아까 말한 홍화씨고, 또 건강에 힘깨나 더 도와주는 산삼이 있고 그래 삼대 신약인데. 그 앞서서 내가 지금 계분백을 설명하는데 그걸 불에다가 살짝 볶아 가지고 계분백이라는 건 달구똥의 흰 건데 고것만 긁어 낼 수 없으니까 한 절반쯤 쓸어다가 많이 모아 가지고 그것이 가상 한 반 되, 소두 한 되겠다? 소두 한 되쯤 되게 되면 이틀은 먹을 수 있어요.
그걸 어떡하느냐? 신곡(神曲:神麴)이라고 누룩이 있어요. 맥아(麥芽)라고 엿기름이 있고. 그 신곡을 갖다가 불에다가 곱게 볶아 가지고 타지 않게 곱게 분말하고, 또 엿기름을 곱게 볶아 가지고 또 분말하고, 그렇게 해 가지고 그 세 가지를 똑같은 양이면 어떻게 되느냐? 등분한다 그거요.
그렇게 해 가지고 얇은 광목을 사다가 투가리[뚝배기·항아리]에다가 광목을 얹어 놓고 광목 위에다가 엿기름 보리차라고 있어요. 보리차를 많이, 보리 한 되쯤 넣고 오래 끓여 가지고 그 물을 한 투가리 담아 놓고서 거기다가 계분백 분말한 거, 엿기름하고 누룩하고 볶은 가루지.
그 세 가지를 합해서 가루 낸 거, 그걸 그 물에다가 담아 놓으면 하루만 지내면 다 우러나요. 그런 연후에 그 얇은 광목을 들고 슬그머니 짜 가지고 그 찌께기는[찌꺼기]는 버리고 그러고 그 물을, 그 물이 가상 한 반 되쯤 되면 이틀을 먹거나 하루 먹어도 돼요. 장정은 하루 먹어도 돼요.
그러면 한쪽으로 자꾸 해둬야 해요. 그래 먹는데. 신장암이라면, 신장암이나 방광암이라면 좀 부지런히 먹어야 살고 신부전도 그래요. 좀 부지런히 먹으면 사는데. 그걸 하기 싫어서 게을러 가지고 그런 건 다 싫고 그저 가만히 누워서 떡이 궁그러[굴러] 들어오든지 호박이 궁그러 오는 걸 바라는 사람은 죽는 수밖에 없어요.
난 죽는 사람은 명(命)에다 맡기는 게 아니라 게을러 죽는다고 봐. 누구도 게을러 죽는다고 나는 말해요. 얼마든지 살 수 있는데 왜 남의 말을 안 듣고 죽느냐? 그건 내 평생에 보는데. 그걸 지내가다가 “아, 거기 거 독사한테 물려 죽지 말고, 거 명태 같은 거 마른 걸 좀 갖다 삶아 먹어보지.” 아무도 웃으며 미친놈이라 해. 나는 한평생 미친놈 소리 들어요.
또 박사들이 꺼떡하면 내 손에 장 지진다고, 그런 소릴 잘해. 돌팔이가 그런 병 고치면 내 손에 장 지진다고. 그러면서 고치고 가서 “장 지지는 구경 좀 해봅시다”하면 또 대답 안 하는데. 그래 내가 그 유명짜한 양반들이 다 꿀 도적놈이느니라. 벙어리 꿀 도적질 해 먹구서리 찾으면 고갤 돌리고 말도 없이 형용도 안한다. 거 마찬가지다. (신약본초 697~700쪽)
그 다음에 또 이 세상에서 웃을 약이 있는데 우리 나라에 엿기름이라고 있어요. 그거와 누룩이 있는데, 그걸 곱게 잘 볶아 가지고 계분백(鷄糞白)이라고 촌에 가면 촌 닭의 똥 꼭대기에 하얀 점이 있어요. 그 하얀 점에 그저 조금 붙여서 똥을 잘라 가지고 그걸 아주 공들여 볶아요.
잘 볶으면, 누룩하고 엿기름하고 공들여 잘 볶으고 그리고 보리차를 흠씬 진하게 달여 가지고 그 물을 뚝배기에다가, 흙으로 만든 뚝배기가 다 집집이 있으니까 그 뚝배기에다가 물 한 되 이상을 보리차를 끓여서 두고[넣고], 진하게 끓여야 돼요. 끓여서 두고. 그 달구똥[닭똥] 흰 부분 그걸 계분백이라고 해요.
또 신곡(神曲), 맥아(麥芽), 누룩과 엿기름 그걸 곱게 빻아 가지고 모두 삼배 보자기에 싸 가지고 그 투가리의 보리차에다 담아 두면 24시간 후에 가만히 건져서 물을 따르면 그 물에 모두 우러나요. 그 물을 세상에선 고칠 수 없는 콩팥의 신부전(腎不全)이 있어요. 신장암이 있어요. 또 방광암이 있고 전립선암이 있는데, 이거 이외의 고치는 약은 없어요.
이건 우스운 약인데 엿기름이 그렇게 좋을 리가 없지만 엿기름은 옛날 양반도 파적지재(破積之材)라고 했어요. 누룩도 그러고. 누룩이 쌀이 녹아서 술이 되는데 파적지재가 안될 수 있어요. 이런데.
이런 것들 가지고 세상에선 안되는 병 잘되니 이거이 그렇게 돈 드는 것도 아니고 그렇게 큰 힘드는 것도 아니고 어려운 것도 아닌데 목숨을 구하는덴 염라대왕도 못할 걸 해요. 그렇다면 이거이 달러(dollar)주고 사온 약은 아닌데 왜 그렇게 신비하냐? 내가 한평생 있으면서 코쟁이 앞에 가서 굽신거리고 달러 주고 사와야 한시름 놓지, 나같은 영감한테서 공짜로 해 가지고 무얼 덕보겠다고 마음 놓고 먹을 수 잇느냐? 그것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어요.
그래서 내가 함부로 와서 사정하지 않는 사람 일러주지 않는 이유가 그거요. 난 평생 살려 달라고 애걸하지 않는 사람을 지나가다 일러주지 않는 건, 건 내가 자존심이 상해서 그런 거 아니오. 침뱉고 욕하는 소릴 할 수 없어서 안해요.(신약본초 783~784쪽)
인산선생의 가르침대로 잡지에 발표된 계분백에 관한 내용.
신부전·신장암에는 계분백이 신약이다. 놓아 기르는 닭똥 가운데 하얀 부분을 계분백(鷄糞白)이라 하는데 토종 닭똥에서 채취한 것이 약효가 있다. 이 계분백을 불에다 살짝 볶아서 약을 만들어 쓰는데 이때는 신곡(누룩)을 잘 볶아서 가루로 만들고 맥아(엿기름)도 잘 볶아서 가루를 내어 쓴다. 이 세가지를 같은 양으로 광목 주머니 속에 넣은 다음 장독뚜껑 같은 옹기 그릇에 보리차 물을 부은 후에 이 계분백·신곡·맥아분말을 넣은 주머니를 하루 동안 담가 놓으면 물이 우러 나는데 우러난 뒤에 광목 주머니를 들고 슬그머니 짜서 그 물을 먹으면 된다. 가량 계분백 반되(1리터)·신곡·맥아 각각 반되를 우려낼 때는 보리차 물을 2되쯤 투가리에 붓고서 우려내면 되는데 물이 반 되에서 1되 좀 안되는 양이 된다. 이걸 1~2일에 다 먹으면 신부전·신장암이 낫는데 나을 때까지 중단하지 말고 계속 먹어야 한다. 그러므로 계분백을 많이 준비하고서 투가리 여러 개를 사용해 끊임없이 약을 만들어 가면서 먹어야 한다. 또 보리차는 국산 보리를 반되쯤 잘 볶아서 물에 넣고 오랫동안 끓여서 쓴다. 약은 정성껏 만들어야지 시장에서 파는 외래산 보리를 쓰면 약효가 덜하다.
신부전이나 신장암은 불치병인데 이걸 완치시키려면 그만큼 열성을 가지고 치료를 계속해야 한다. 가만히 누어서 신장투석이나 하고 있으면 결국 완치시키지 못하고 그 병으로 죽고 만다.
신곡·맥아·계분백을 보리차에 우려낸 약은 신부전과 신장암만 치료하는 게 아니라 신장염·방광암·요도암·전립선염에 선약(仙藥)이다. 신장결석·요도결석·방광결석에는 석위초·호장근·통초·차전자를 같은 양으로 해서 완치될 때가지 끓여 먹으면 틀림없이 낫는다. (시사춘추 1992년 10월호 186~197쪽)
기타 계분백 체험담
1) 신토불이 건강 1996년 10월 호 7쪽의 내용
신부전·신장암;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계분백을 신곡·맥아와 함께 약을 만들어 먹으면 신비한 효과를 본다. 계분백을 살짝 볶고, 신곡(누룩)과 맥아(엿기름)도 잘 볶아 가루를 낸다.
이 세 가지를 같은 양으로 광목 주머니에 넣은 다음 장독 뚜껑같은 옹기그릇에 보리차 물을 부어 하룻동안 담가놓는다. 광목주머니를 들고 슬그머니 짠 뒤에 그 물을 먹는다.
계분백과 신곡, 맥아가 각각 반되 분량이라면 보리차 물은 2되쯤이 좋다. 이렇게 우려내면 우러난 물이 1되 가량 된다. 이걸 1,2일(하루 이틀)에 다 먹기를 반복한다. 계분백을 넉넉하게 준비하고 투가리를 여러개 사용해서 끊임없이 약을 만들어면서 먹어야 한다.
보리차는 국산 보리를 반되쯤 잘 볶아서 물에 넣고 오랫동안 끓여서 쓴다. 외래산 보리를 쓰면 약효가 덜하다.
계분백, 신곡, 맥아를 보리차에 우려낸 약은 신부전과 신장암 뿐만 아니라 신장염과 방광염, 요도암, 전립선염에도 좋다.
2) 신토불이 건강 1998년 7·8호 12~16쪽
온몸으로 부딪쳐 암을 이겨내고(이 영남 인산가 회원, 여)
이 영남씨의 투병 경과만 여기서 인용한다.
● 1985년 봄 구토가 심하고 음식을 먹지 못하는 등의 위염 증세로 병원에 입원하여 2년 동안 치료. 그러나 병세는 더욱 악화되어 신부전, 심장병, 저혈압, 수족마비, 좌골신경통 등 거의 몸 전체에 걸쳐 합병증 발생. 병원에서 이틀에 한 번씩 투석 치료하고 함암주사를 맞음. 1990년 10월 경에는 매일 전신마비증으로 혼수상태에 빠짐. 6년간의 투병으로 가산 탕진하고 자녀들고 휴학함.
● 1991년 우연한 기회에 <신약>책을 보고 인산 선생을 만남. 이 때 선생으로부터 약처방과 밭마늘죽염요법을 받음. 밭마늘 죽염요법을 시작한 사흘 뒤부터 구토증이 완화되고 병세가 호전되기 시작했음. 이영남씨는 밭마늘죽염요법 외에 다음과 같은 탕약 복용을 병행하였음. 유황오리탕 복용, 가미수첩산 복용. 신부전 치료를 위한 탕약(계분백·신곡·맥아 등) 복용, 좌골신경통 치료 위한 탕약(동송근이 주장약) 복용, 위종양 제거 위해 유죽액 요법 실시. 위와 같은 방법으로 1년간 치료한 뒤 1993년 5월 병원에서 종합진단 받아 ‘완치’로 판명됨. (16 쪽)
3) 신토불이 건강 1998년 5월호 17쪽
(질문) 만성신부전으로 3년간 혈액투석을 받다가 신장이식 수술을 했다. 그러나 거부반응이 일어나 다시 1주일에 두 번씩 투석 중이다.
(답변) 놓아 먹이는 토종닭만 찾으면 간단하다. 닭똥(토종닭의) 위에 하얀 부분을 계분백이라 하다. 이 계분백과 엿기름, 누룩을 잘 볶아서 보리차에 우려 먹으면 속전속결이다. <신약본초>에 자세히 나와있으니 참조하기 바란다. 인산쑥뜸도 좋지만 이식수술을 해서 뜨기 어려울 것이다. 인체의 한 부분을 잘라내면 뜸을 떠도 회통이 어렵다.
4)계분백으로 신부전·신장암 약 제조법
① 토종닭을 놓아기른다.
백닭오골계의 계분이 약성이 더 좋았고, 인산선생도 생전에 그런 말씀을 한 적이 있다. 그리고 요즘 닭 사료에는 항생제와 방부제가 들어있어 계분백을 채취할 닭에게는 시중의 사료를 먹여서는 안된다. 놓아 기르는 토종닭은 솔밭에서 지네, 지렁이, 각종 벌레들을 잡아먹고 있어 사료가 많이 필요치 않다.
② 이제 계분백을 채취해야 하는데 흰부분을 채취하되 밑에 검은 것이 딸려 들어가도 무방하다고 한다. 너무 흰 부분만 고집할 필요는 없다.
③ 계분백을 바짝 말린다. 빗물이 전혀 침입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④ 말린 계분백을 볶는다. 볶을 때는 실외에서 해야 한다. 실내에서 볶으면서 연기를 마시면 폐암에 걸릴 수 있다. 실외에서 볶으면서 마스크를 착용하면 좋다.
⑤ 신곡(누룩)을 준비한다. 토종 우리밀로 누룩을 만들어야 약효가 더 좋다. 누룩은 여름에 띄우는 게 좋다. 누룩을 만들어 바짝 말려 분말한다.
⑥ 엿기름(맥아)을 볶아 분말한다. 보리는 밀보리, 맥주보리, 겉보리 등세가지 종류가 있는데 토종 겉보리를 구해서 사용해야 한다. 누룩은 여름에 만들고, 엿기름은 초겨울에 만드는 게 좋다. 그리고 겉보리로 엿기름을 낼 때 싹이 정확히 2cm길이로 자라났을 때까지 해야 약성이 좋다. 너무 짧거나 더 길게 나올 때까지 하면 약성이 떨어진다.
이것을 볶아 분말한다.
⑦ 계분백 볶아 분말한 것, 신곡 볶아 분말한 것, 맥아 볶아 분말한 것을 1되씩 동량으로 삼베보자기에 넣고 투가리에 토종 엿기름 볶은 보리차를 달인 물에 하루 담궈놓는다.
볶을 때 미리 분말해서 볶으면 볶는 시간도 단축되고 잘 볶인다. 그리고 삼베보자기에 3가지 볶은 가루를 넣어 보리차에 담궈 우려내는데, 보리차에 그냥 담궈 놓으면 가루라서 물이 골고루 스며들지 않으므로 저어주든지 해야 한다. 계분백과 신곡, 맥아가 각각 반 되 분량이라면 보리차 물은 2되쯤이 좋다.
⑧ 1되씩 넣은 것을 하루동안 우려낸 물을 하루나 이틀 안에 모두 마셔야 한다.
1되씩 한 것일 경우에 10팩(한약 약봉지로)정도 나오는데 졸이면 고소한 맛이 나온다고 한다. 위와 같이 하기만 하면 반드시 고소한 맛이 나올 것이다. 닭똥약일지라도 법제과정을 거치면 이렇게 고소한 약이 만들어진다. 미각으로 옳게 약을 만들었나 못만들었나 판단할 수 있다.
“신곡·맥아·계분백을 보리차에 우려낸 약은 신부전과 신장암만 치료하는 게 아니라 신장염·방광암·요도암·전립선염에 선약(仙藥)이다. 신장결석·요도결석·방광결석에는 석위초·호장근·통초·차전자를 같은 양으로 해서 완치될 때가지 끓여 먹으면 된다.”
위암,위염,식도암,췌장암,위궤양,위하수,소화불량
위암의 병리와 증상
1. 위암의 병리(pathology)
만종(萬鐘)의 불순물이 침해하면 병이요, 만종독기(晩晝氣)가 합성하면 암이다. 위궤양암은 식후에 음식물이 위벽에서 중화(中和)하니 통증이 없고 소화( 消化)되어 음식물과 위벽의 간격이 생기면 통증이 시작하니 시초에 궤양은 쓰리고 아프고, 심하면 뻐근하고 아프니 병이 심한 때이다. 그 시기가 넘어서 등도 바르고 결리고 옆구리도 바르고 결리며 답답한 생각이 심하면 위암이 전신에 퍼지는 때이라 궤양암이요, 위한담성(胃寒痰成)하여 위신경(胃神經)이 둔화되고 마비돠어 위하수(胃下垂)요, 위하수가 심하면 담성(痰成)하여 가슴이 묵직하고 소화력이 부진하고 극심하면 먹은 후에 얼마 지나면 음식물은 토한다. 위하수로 오는 위암이요 위확(胃擴)으로 오는 위암은 음식물을 시장할 적에 과식하여 위가 가로퍼지면 위산이 과다하여 신물이 오르고, 소화불량 증상으로 오는 위암은 중노동 하는 사람들이 흔히 걸린다. 위옹(胃癰)으로 오는 위암은 위벽에, 음식물로 오는 식중독은 위혈(胃血)이 사혈(死血)로 변하여 혈고증(血枯症)으로 오는 위옹(胃癰)과 혈체증(血滯症)으로 오는 위옹(胃癰)등 이종(二種)이 있다. 증산은 식욕이 없고 먹어도 이상이 없고 아픈 통증도 없고 심하면 안색이 노랗고 기진맥진하여 명진(命盡)하는 시간까지 모르고 병고(病苦)에도 시달리지 않고 살다 가게 된다. 이것이 위암 식별법이다.
2. 위암일 때 위를 제거하면
5장부가 상생(相生)으로 金 → 水 → 木 → 火 → 土이렇게 오장부가 상생으로 서로 도와야 하는데 위를 제거하면 폐(肺金)의 금산(金酸)과 간(肝木)의 목산(木酸)이 순행(順行)하여 토(土)장부인 위로 갈 수 없게 되면 역행(逆行)하여 금산(金酸)이 목산(木酸)을 공격한다. 폐의 금기(金氣)가 간을 공격하면 암이 생긴다. 의서에는 이것을 금극목(金克木)이라 하지만 사실은 그게 아니고 막혀서 유통(流通)을 못하니까 역류(逆流)해서 그렇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위암에 황달이 생기는 것은 나쁜 조짐으로 보는 것이다. 위암이 간담(肝膽)에 전이 된건 최악의 상태이다.
위를 제거하면 반드시 이렇게 되고 만다. 위를 제거하면 위산(胃酸)이 갈 곳이 없으니 과일을 먹으면 간산(肝酸)이 곧 범한다. 위가 없어 산 (酸)이 통할 곳이 없으니 그렇게 될 수 밖에 없다. 자연은 거짓이 없다.
3. 증상에 따른 설명
※ 위가 쳐지면 구토를 하는 경우가 많고 위가 쓰린 것은 위궤양이다. 밥 먹으면 토하는 건 한기(寒氣)가 범한 것이다. 항상 아프면 식중독이다.
※위암을 수술하면 보통 8∼9개월 후에 악화되는데 담(痰)이 전부 거품으로 되어 기도를 막으면 얼마 안 가서 죽는다.
※ 위속에 거품이 많으면 음식 먹은 후에 자구 토하는 데 좋지 않은 징조다.
※ 혈액형이 O형인 사람은 돼지고기 먹고 체해서 오래 되면 위암이 된다. 일반적으로 O형과 AB형은 식중독과 체하는 것이 자주 일어난다.
※ 쓰리고 아픈 것은 궤양에서 오는 암이다.
※ 식도암 그대로 두면 식도가 막혀서 물이 한 방울도 안 넘어가는 시간이 오는데 오리와 마늘이 이 약에 들어가니까 식도를 막는 암 덩어리를 뚫는다.
※ 각종 육류에 체하여 조속히 치료하지 않으며 구체(久滯)가 되어 자연히 위를 손상하여 위장병으로부터 위암으로 악화되는 수가 있다.
4. 식이요법
1) 무김치
수시로 늘 먹을 수 있는 간편한 위장약이면서 효과가 좋다.
무를 가늘게 썰은 뒤 죽염으로 24시간 절이면 우수한 소화제가 되며 위장 등 여러 장(腸)의 상처를 신속히 회복시켜주는 좋은 식품이 된다.
2) 죽염김치
무 10근을 깨끗이 씻어 물기를 없애고 썰은 뒤 죽염가루를 뿌려 절여 놓는다. 약 24시간 가량 지난 다음, 여기에 생강, 대추 1근, 대원감초 5냥을 푹 삶은 물에 죽염을 타서 조금 짜게 간을 맞춰 부으면 된다. 여기에 배추와 오이 등 여러 가지 채소를 취향대로 넣어 김치를 만들어도 된다. 특히 오이를 죽염에 절이면 해독제가 되고 수분을 잘 통하게 하며 무와 합세하여 소화력을 증강시키는 작용을 한다.
3) 죽염간장, 고추장, 된장 등을 반찬으로 사용한다.
위장질환 처방
1)위암 [A형 40세 남자, 위수술 2번후 가스가 안 빠지고 대소변 보기가 힘들고 아랫배가 팽팽하여 아프다 ]
※직장암의 증후이다. 우선 무엿과 죽염을 수시로 먹어서 숨을 돌리라.
처방 :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공사인(초)·익지인(초) 각 3.5근, 백두구(초)·육두구(초)·초두구(초) 각 1.5근, 신곡(초)·맥아(초) 각 3.5근, 당산사·당목향 각 1.5근, 금은화·포공영 각 3.5근, 하고초·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유근피 3.5근
※ 모든암에 원감초 2냥, 생강 5전을 달여서 죽염 3전을 타서 수시로 복용하라. 완쾌될때까지 생강감초차를 복용하라.
2) 위궤양 [O형, 36세 여자]
※ 얼굴에 여드름 같은 돌기 돋아 나는 것은 음기나 양기의 편승으로 위장의 열이 성(盛)해서 그렇다. 담이 많다.
처방 :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금은화·포공영 각 3.5근, 하고초 3.5근, 석고 3근, 신곡(초) 2.5근, 맥아(초) ·공사인(초) 각 3 .5근, 백두구(초) 2.5, 당산사·당목향 각 3.5근, 적하수오·백하수오 각 0.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3) 위하수 [O형, 42세 남자 두통 있고 도한(盜汗)있다]
※ 이것은 위한담성(胃寒痰成)이다.
공통약, 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석고 2근, 신곡(초)·맥아(초) 각 3.5근, 공사인(초) 각 3 .5근·당목향 각 3.5근, 당귀·천궁·천마·세신·황기 각 3.5근, 계지 2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4) 만성위염 [B형, 39세 여자, 여러번 자연 유산한 경험 있다]
공통약, 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 각 1.5근, 금은화·포공영 각 1.5근, 하고초 0.5근, 맥아(초) 3.5근, 공사인(초) ·익지인(초) ·백두구(초)·당산사·당목향 각 1.5근, 초두구(초)·육두구(초) 각 1근, 적하수오·백하수오 각 1.5근, 우슬·강활·원방풍·속단 각 3.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5) 식도암[O형, 65세 남자, 임파 편도에 전이되어 있다. 목 왼쪽 부위가 아프다]
공통약, 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 각 2.5근, 금은화·포공영·하고초 각 2.5근, 원백강잠(법제) 3.5근, 석룡자(법제) 1근, 과루인(초)·구기자·산수유·오미자·청피·산길경 각 2.5근, 생산약 0.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6) 소화불량[A형, 손발이 차다. 불면증으로 여러해 고생. 양치질 할 때 구토증 난다]
공통약, 공사인(초)·익지인(초)·백두구(초) ·백출 각 3.5근, 산조인(초흑)·애엽·익모초 각 3.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3.5근
7) 입맛이 하나도 없다. [ AB형 여자 ]
공통약, 당목향·당산사·백개자(초)·행인(초)·맥아(초) 각 3.5근, 신곡 2근, 공사인(초)·익지인(초)·백두구(초)·생강·대추·감초 각 1근
※ 가벼운 위장병에는 밭마늘을 구워서 죽염에 찍어 먹어도 된다.
※ 악성 위궤양을 수술하면 암으로 변한다. 일반 위궤양은 치료가 쉽다.
8) 소화불량 [ O형 40세 남자, 하복부에 불쾌감이 있다. 직업은 사무직이고 폐결핵도 있다. ]
※ 공해 독혈(毒血)이 폐와 간을 거쳐 위로 가 있다.
처방 : 위암 처방을 사용하라.
註)환자 자신은 소화불량이라고 하지마 소화불량이 오래되면 암이되니 선생은 암전단계 조짐이 소화불량이라고보고 암처방을 했다. 암예방약이면서 소화불량을 치료하는 약이다.
9) 소화가 안되고 두통, 견비통, 무력감 [ B형 59세 여자 ]
강활·원방풍 3.5근, 익모초·백출 각 2근, 애엽 1근, 신곡(초) 2.5근, 맥아(초) 3.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공사인 3.5근
※ 강활과 원방풍은 견비통과 신경통의 약이다.
※ 익모초와 백출, 애엽은 보혈, 생혈하는 보약이다.
※ 신곡, 맥아, 생강, 대추, 공사인은 소화를 돕고 해독역할을 한다.
10) 만성위염 [ A형 남자 ]
처방 : 애엽 3근, 익모초 2근, 백출·백개자(초)·행인(초)·신곡(초)·맥아(초)·백두구(초)·익지인 각 3근, 생강·대추 각 1근, 원감초 2근
11)애기가 밥을 안 먹는다. [ 4세 남아 ]
※죽염을 혓바닥에 발라준다. 침을 자주 넘기면 위의 독을 풀어 위가 좋아진다.
12) 속이 갑갑하고 구역질이 난다. [ O형 26세 남자 ]
처방 : 익모초·생강·대추 각 3.5근을 진하게 달여서 수시로 복용하라.
13) 복통(腹痛) [ A형 6세 남아 ]
횡격막 천공으로 인해 탈장이 되었고 심한 복통으로 12시간 정도 고생한다.
※ 병리 및 원인 : 격막이 파손되는 경우 그 원인은 태아 때 횡격막 조직이 생길 때 태모(胎母)가 공해독이 있는 음식물을 먹고, 공해독이 있는 공기를 숨쉰다. 일부는 간에서 정화가 이루어지지만 남은 독이 태아의 조직을 만드는데 들어가서 생기는 것이다. 공해독 있는 재료를 가지고 그 공해독 있는 물과 공기로 반죽해서 애기를 만드니까 그 독이 격막에 들어가서 그 피로 격막이 이뤄질 때 격막 어느 부위에 손상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어서 그렇다. 독으로 조직이 된 것은 조직체가 약화되니까 애기가 크다가 그런 약화시기, 약화시점에 와서 애기가 먹는 음식의 공해독과 합성하면 그땐 조직이 녹아버린다. 방법은 공해독 모으지 않는 방법이면 된다. 오리피에 설탕 조금 넣으면 먹을 수 있는데…. 요즘에는 이 모든 농약에 피해 입어서 나이 얼마 되지 않는데도 암으로 죽는 수가 많다. 원래 체질이 강한 사람은 빨리 죽지 않고 약하게 낳으면 좀 일찍 죽고 그렇다.
지금 간암이 전체적으로 어린아이들에게 많다. 어린것들이 간이 왜 나쁠 리가 있나. 그 원인은 모두 화공약독 때문이다.
14) 식도에서 췌장까지의 모든 암
공통약, 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과루인(초)·당산사·당목향 각 3.5근, 호황련·은행(초)·도인(초) 각 2근, 금은화·포공영 각 3.5근, 하고초 2.5근, 공사인(초)·익지인(초)·백두구(초)·유근피 각 3.5근, 맥아(초) 2.5근, 신곡(초) 3.5근, 생강·대추·감초 각 1근
※ AB형에는 백두구 2.5근을 가미하라.
※ 췌장암, 간암에는 호황련 2.5근을 가미하라.
※ 음식에 있는 공해독이 비장으로 가서 췌장을 통해 간으로 가면 간에서 독을 제대로 다 정화 못시키니까 그 독이 전신으로 가서 암이 된다.
15) 어려서 밀가루 먹고 심한 설사를 했는데 그후에는 자주 설사 하면서 알레르기가 생겼다. [ A형 31세 ]
※ 태음인(A형)의 밀가루 식중독이다. O형은 돼지고기 먹고 체해서 오래 되면 위암이 된다. 일반적으로 O형과 AB형은 체하는 것이 흔히 일어나 식중독에 걸리지만 A형은 밀가루 이외에는 식중독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공통약,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당산사·당목향·하고초·금은화·포공영각 3.5근, 공사인(초)·익지인(초)·백두구(초)·육두구·초두구·신곡(초) 각 1.5근, 맥아 3.5근, 생강·대추·감초 각 1근
※ 가슴이 쓰리고 창자 쓰린데는 밤을 깍아 가루로 만들고 꿀하고 합하여 먹으면 신효하다.
자궁암,유방암,난소암,냉대하,생리불순,불임
1. 산후병의 원인 산후혈(産後血)은 죽었으니 죽은피는 내려가고(대부분은 체외로 나가고) 살아있는 피는 올라간다. 그래서 몸밖으로 나가지 않은 죽은 피, 즉 내려온 어혈(瘀血)은 모여서 혈관암 등을 유발한다. 산후에 조리를 제대로 하여 어혈을 빨리 소멸시키지 않으면 그 피가 사람을 말린다. 집구석을 말린다. 병이 도적이요, 우환이 도적이니 집안의 재물을 말린다. 병마에 걸리면 도적이 된다. 급할 때 살기 위해서는 무슨 짓이라도 한다. 그 피가 죽어지는 게, 죽은피가 자꾸 가해지면 처음에는 산후의 태중악혈(胎中惡血)이 내려가다가 자꾸 모아지고 늙어서 어혈이 많아서 그 피가 모아지면, 전체의 못 쓸 피가 많아지면 그걸 암이라 한다. 어느 부분이 상한 것이다. 그래서 불치병이다. 그걸 미리미리 서두르지 않는 것은, 그것이 무서운 암이 되는 것을 몰라서 그렇다. 2. 여성질병의 예방 1) 대부분의 자궁병은 산후조리의 부실로 기인되는 것이 많은 만큼 다음의 산후보약을 복용해서 암을 예방하라. 검은 염소 한 마리에 사물탕 3제, 육미지황탕 3제, 궁귀탕 3제, 금은화 3근, 건칠피 3근, 마늘 깐 것 한접, 공사인(초) 1근, 생강·대추 각 한되를 넣고 흠씬 달여서 엿기름을 두고 삭여서 엿을 만들어 두고 수시로 먹는다. 이 산후보약은 여성의 최고 보약이니 산후조리 이외에 원기가 부족하거나 빈혈이 있는 여성은 신효하다. 애기를 가지기 전에 복용하면 애기가 건강하고 애기를 낳고 난 후에 복용하면 만병을 예방한다. ◎ 사물탕 : 숙지항·백작약·천궁·당귀 각 1돈2푼반 ◎ 육미지황탕 : 숙지황 4돈, 산약 3돈, 산수유 2돈, 백복령·목단피·택사 각 1돈반 ◎ 궁귀탕 : 천궁·당귀 각 5돈 2) 부인의 적대하, 백대하, 황대하 및 자궁암의 시초 집오리 한 마리에 건칠피 1근, 금은화 1을 가미하여 달인후 약물이 한되가량 되게 진하게 졸인다. 옻이 심하게 올라 먹지 못하는 사람은 옻을 빼고 금은화 1근, 포공영 반근을 넣고 달여 먹는다. 쾌차할때까지 달여서 복용하라. |
여성질병의 처방 1) 자궁암 [B형 60세 여자. 음식을 못 먹고 위장 약해서 수술을 못함]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과루인(초) 2.5근, 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금은화·포공영 각 2.5근, 하고초 2.5근, 신곡(초) 2근, 맥아(초) 3.5근, 지네(법제) 300마리,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건칠피 2근 2) 자궁암 [63세 수술로 자궁을 제거, 불면증 있다]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과루인(초) 0.5근, 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 각 1근, 금은화 2.5근, 포공영 2근, 하고초 1.5근, 당산사·당목향·적하수오·백하수오 각 1근, 백두구(초)·공사인(초)·익지인(초) 각 1.5근, 신곡(초) 1근, 맥아(초) 3.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애엽 2근, 익모초 3.5근 3) 자궁염증[A형 여자 아랫배 아프고 축농증도 있다. 자궁염으로 병원 치료중이다]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금은화 3.5근, 포공영 3.5근, 하고초 2근, 당산사·당목향 각 3.5근, 백두구(초)·공사인(초)·익지인(초) 각 3.5근, 신곡(초) 2근, 맥아(초) 3.5근, 생강·대추 각 1근, 원감초 2근, 애엽 2근, 익모초 2근 4) 난소암 [AB형 25세 여자 난소암 수술후 대장암]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별갑(초) 3.5근, 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금은화 3.5근, 포공영 3.5근, 하고초 2.5근, 백하수오 3.5근, 백두구(초)·공사인(초) 각 3.5근, 신곡(초) 1.5근, 맥아(초) 3.5근, 생강·대추 각 1근, 원감초 1근 5) 유방암 [O형 60세 여자 유방 바깥쪽 동통(疼痛), 대상포진, 구내창(口內瘡)]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과루인(초) 0.5근, 별갑(초) 3.5근, 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금은화 3.5근, 포공영 3.5근, 하고초 3.5근, 당산사·당목향 각 3.5근, 적하수오·백하수오 각 0.5근, 백두구(초)·공사인(초)·익지인(초) 각 1근, 생강·대추 각 1근, 원감초 1근, 석고 2근 6)냉대하 [O형 여자 소화불량도 겸해 있다]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금은화 3.5근, 포공영 3.5근, 하고초 2근, 백두구(초)·공사인(초)·익지인(초)·신곡(초)·맥아(초) 각 3.5근, 생강·대추 각 1근, 원감초 2근, 석고 2근, 당귀·천궁 각 2근, 익모초 3.5근 7) 자궁암 [ B형, 기혼녀이며 유산을 몇 번하였고 신경통도 있다 ] 처방 : 공통약, 원백강잠(법제) 3.5근, 과루인(초)·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백두구(초)·공사인(초)·익지인(초) 각 1.5근, 신곡(초)·맥아(초) 각 3.5근, 당산사·당목향·적하수오·백하수오 각 1.5근, 금은화·포공영 각 3.5근, 하고초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석룡자(법제) 0.5근, 유근피 3.5근 ※ 자궁암을 처방할 때 A형은 애엽 2.5근, 익모초 2.5근을 가미하고, O형은 익모초 2.5근, 향부자 1.5근을 가미하라. 혹 유근피를 3.5근을 가미하여도 된다. 8) 난소종양 [ A형 53세 여자 ] 공통약, 과루인(초) 0.5근, 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당산사·당목향 각 1.5근, 금은화 3.5근, 포공영 4.5근, 하고초 각1.5근, 백두구(초) 3.5근, 공사인(초)·익지인(초) 각 3.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유근피 3.5근 9) 유방암 [ A형 50세 여자, 겨드랑이 옆구리가 뻐근하다 ] 공통약, 과루인(초) 1.5근, 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당산사·당목향 1.5근, 금은화 3.5근, 포공영 4.5근, 하고초 1.5근, 백두구(초)·공사인(초)·익지인(초) 각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유근피 3.5근 ※ 폐에서 늑막, 기관지로 통하는 길이 유방쪽으로 몰려 있으므로 유방암 처방을 하고, 임파선 약도 가미하라. 10) 생리불순 [ A형 ] 처방: 공통약, 애엽 3.5근, 익모초 2근, 백출·당귀 천궁 각 3.5근, 신곡(초) 2.5근, 맥아(초)·공사인(초) 각 3.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육종용 2.5근, 쇄양 3.5근 ※ 보양제(補陽劑)가 혈(血)을 따라 보혈제(補血劑)가 되며 보혈제에다 쇄양을 가하면 최상의 보혈제가 된다. 11) 생리불순 [ A형 38세 ] 처방 : 공통약, 당귀·천궁·속단·애엽·익모초·생강·대추 각 3.5근, 원감초 4.5근 12) 생리불순 [ O형 21세 ] 처방 : 공통약에 익모초를 넣어서 고(膏)만들어 먹어라. 13) 자식 두는 법 ※ 불임은 여자의 몸이 차서 애기를 못가지니 자궁이 차면 정충이 활발하지 못하게 되어서 그렇다. 달걀도 온도가 적당해야 부화되듯이 여자의 자궁온도가 정상이면 정충이 활발하게 활동한다. 그래서 자궁에서 포태되는 것이다. 정충수가 모자라도 아기된다. 14) 불임 [AB형, 29세 여자 결혼한지 5년인데 애기 없다. 손발이 차다 ] 약쑥 5전, 익모초 5전, 백출·백개자(초)·행인(초)·변향부자·건강(초흑)·당귀·천궁·생강·감초 각 3전 ※ 변향부자(便香附子): 10세 이하의 남자 아이의 오줌에 향부자를 저녁에 담갔다가 다음날 바짝 말리는 것을 9번 한다. ※ 마늘 죽염을 겸복하라. 정성들여서 하면 애기 생긴다. 15) 불임[ A형 27세 여자, 결혼후 2년째가 되어도 아이가 없다, 수족이 차다 ] ※ A형에는 약쑥이 으뜸이다. 약쑥은 인체의 온도를 돋구어주고 수족을 따뜻하게 하여 밥맛을 좋게 한다. 하반신의 온도가 고르게 된다. 정혈(精血)을 이룰 수 있는 균이 배합이 잘되어야 하는데 그게 안되면 불임이다. 처방 : 맥아(초)·신곡(초) 각 3.5근, 익모초·당귀·천궁·원감초 각 3.5근, 생강·대추 각 1.5근, 애엽 3.5근, 향부자 1.5근, 건강(초흑)·금은화·포공영 각 1.5근을 한데 넣어서 엿으로 달인 후에 미지근한 생강차에 타서 복용하라. ※전생의 영(靈)이 자궁에 들어올 때 집터에 땅기운이 30%이고 조상기운이 70%인데 이 차지하는 비율(%)이 인생의 횡액(橫厄)을 결정한다. 16) 불임[AB형 29세 여자, 결혼한지 5년인데 애기가 없다, 손발이 차고 냉이 있다] 약쑥 5전, 익모초 5전, 백출·백개자·행인·향부자·건강(초흑)·당귀·천궁·생강 각 3전, 감초 5전을 달여서 복용하라. 향부자는 10살 미만 남자 어린이의 오줌에 담구었다가 말려서 사용한다. 마늘죽염을 겸복하라. |
직장암,대장암,항문암,탈장,이질,치질
1) 악성 항문암 [ AB형 14세 남자 ] 증상 : 1차 수술후 재발했다. 구토증이 심하다. 먹지를 못하고 죽을 좀 먹는다. 대소변을 볼 수는 있다. 공통약, 금은화·포공영 각 3.5근, 하고초 1.5근, 백출·행인(초) 각 3.5근, 생강·대추·감초 각 1.5근 ※ 여기서 오리, 밭마늘, 대파는 항문약으로 종기를 치료하고 또 오리와 포공영은 하행(下行)을 돕는다. 2) 직장암 [ A형 여자 ] 공통약, 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금은화·포공영 각 3.5근, 하고초·애엽 각2.5근, 유근피·공사인(초)·백두구(초)·익지인(초) 각 3.5근, 적하수오·백하수오 각 3.5근, 생강·대추·감초 각 1근 ※ 하행을 위해서 죽염을 겸복하라. ※ 출혈이 심한 사람에게는 금은화 5근, 포공영 4.5근, 하고초 3.5근 가미하라. ※ 직장암에 출혈(出血)은 대개 말기 현상이다. 3) 대장염 [ O형 ] 공통약, 익모초·백출·생강·대추·감초·백복령·택사 각 3.5근, 석고 2.5근 4) 탈항 처방 : 건강을 초흑(炒黑)해서 달인 물에 죽염을 늘 복용하라. 항문의 근육 힘줄에 힘이 생기면 낫는다. 1) 탈항증에 보장환 : 삼승초 5전, 승마·방풍·백출·황기·인삼 각 1전, 감초 5푼 2) 탈항증에 율무기탕 : 하지(夏至)전에 잡은 율모기를 통째로 삶아 먹는다. 횟수는 어린애는 한두 마리만 먹으면 완쾌되고, 어른의 20∼30년 된 탈항에는 율모기 2마리에 독사 1마리를 보태어 먹되, 이렇게 5번 내지 10번을 먹어야 완쾌된다. 5) 이질 [ AB형 남자. 7, 8년전부터 늘 곱똥을 눈다 ] 처방 1)집오리 1마리에 석위초 3.5근을 넣고 고아 먹어라. ※ 이질 발병 원인 1) 열병 앓고 바람 잘 못 다스려서 2.) 산후에 바람 간수를 잘 못해서 3) 독감 같은 것을 앓고 잘 못 다스려 얼음찜질해서 대장열이 잠복하면 그 열이 항상 숨어 있어서 홍역과 이질이 있다. 처방 2) 죽염난반환을 가스활명수에 복용하되 나을 때까지 자주 먹는다. 처방 3) 메밀국수 한 사발을 물기가 없게 한 다음 들기름 3숟가락을 넣고 비벼서 먹는다. 더운 찰밥에 들기름 3∼5숟가락을 넣고 비벼 먹어도 된다. 註) 이질(痢疾) : 뒤가 잦고 곱똥이 나오며 항문 둘레가 당기는 병, 피가 섞여 나오면 적리(赤痢)이고 흰곱만 나오는 것은 백리(白痢)라고 한다. 6) 치질 1)당처에 마늘 뜸을 뜨라. 고름이 빠지고 낫는다. 2)내(內)치질에는 죽염을 복용하고 외(外)치질에는 관원에 쑥뜸을 떠라. 3)죽염과 납저유를 잘 섞어서 당처에 바르고 반창고로 붙여 둔다. 하루에 한 번 갈아붙인다. 노란 핵 즉 치질 뿌리가 빠질때까지 붙여라. 납저유가 없으면 안티프라민으로 대용하라. 4) 게장에 흑설탕을 타서 바르면 신효하다. ※ 게장(해청밀) :새단지에다 음력 10월에 잡은 민물게(소쿠리에 담아 물기가 없게 한 것)를 좋은 재래종 꿀에 담고 단지를 잘 봉하여 땅속 6자 깊이에 묻어 둔다. 그러면 게가 녹아서 물이 되는데 그 물은 아직 독수(毒水)이다. 그러므로 이를 1년후에 꺼내어 약으로 쓰되, 그 약물 1냥에 백반(白礬) 1돈반을 타서 써야 한다. |
폐암,갑상선암,임파선암,편도선암,후두암,폐결핵,천식,기관기
1. 폐암의 병리
1) 폐병(肺病)은 음식물에서 이루어지는 폐결핵, 호흡으로 흡수하는 독(毒)에서 이루어지는 폐결핵, 모공(毛孔)에서 이루어지는 폐결핵, 세균 중에 대중소(大中小)의 구분이 있다. 모공으로 통하는 균은 극히 위험한 독이니 불치병균(不治病菌)이요, 호흡으로 흡수되는 병균은 난치병균(難治病菌)이요, 음식물로 흡수되는 병균은 불치병균이 흔하지는 않다. 모공으로 스며드는 균은 산소를 마시고 질소를 뱉을 때에 따라다니지 않는 불치병균이다. 그러나 약쑥으로 뜸뜨는 환골탈태(換骨奪胎)하는 치료법에는 완치된다.
2) 암이 전이되는 과정이 폐 → 임파선 → 편도선 → 뇌 → 겨드랑이 순으로 악성화(惡性化)되어간다. 임파선, 갑상선, 후두, 편도선의 암은 모두가 같은 암이다. 따라서 처방도 동일하다.
※ 담(淡)이 습(濕)일때는 치료되지만 굳어서 막(膜)사이에 들어가면 담이 굳으면서 마비를 일으켜 신경이 회복되지 않는다.
※ 폐암균이 유방으로 가면 유방암이 되고 갑상선, 편도선, 임파선으로 가면 거기에 암이 생긴다.
※ 결핵처방대로 약을 쓰면 임파선, 편도선, 갑상선이 모두 치료된다. 이들 선(腺)은 모두 간에 속하고 결핵균으로 인해 병이 생기기 때문이다.
※ 기관지에 흐린피가 많으면 가래 습담도 많아진다. 각혈하는 것은 폐병만이 아니고 흔히 디스토마이다.
※ 마스크는 아주 해롭다. 균이 마스크에 묻었다가 호흡할 때 따라 들어가며 호흡할때 강한 균만 체외로 나온다.
※ 처방할 때 A형에는 녹용을 5전씩 가미하고 목에 가래가 말라붙어 잘 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산길경, 청피, 오미자를 가미한다.
※ 식이요법
1) 무(가을에 서리맞고 난 후의 500g∼600g 정도의 둥근 무) 100근, 마늘 35근, 백개자(초) 5.5근, 행인(초) 5.5근, 공사인(초)5.5근, 산조인(초흑) 5.5근을 오래 끓인 후 엿기름을 넣고 삭인 후 엿으로 만들어 먹는다. 엿을 생강차에 타서 복용하여도 좋다. 무는 폐의 금기(金氣)가 많아서 기관지 천식과 폐질환에 좋은 식품이다.
2)무 100근을 고운 체에 잘게 치고 산조인(초흑)2.5근 맥아(초) 3.5근, 백개자(초) 3.5근, 행인(초) 3.5근, 신곡(초) 3.5근을 곱게 분말하고 생강, 마늘 35근을 즙을 내어 모두 한데 넣는다. 그리고 죽염 10근, 난반 2근을 넣어서 24시간 절인 후에 고운 체에 걸러서 국물을 수시로 복용하면 위암, 위궤양, 폐암에 좋다. 복용하면서 토하거나 설사를 할 수가 있는데 위의 담이 삭으면서 일어나는 현상이므로 좋은 반응이다.
2. 폐암, 갑상선암, 임파선암의 처방 1) 폐암[A형 64세 남자,}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과루인(초)·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백두구(초)·공사인(초)·익지인(초) 각 1.5근, 신곡(초)·맥아(초) 각 3.5근, 당산사·당목향 각 1.5근, 적하수오·백하수오 각 1.5근, 금은화·포공영 각 3.5근, 하고초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원백강잠(법제) 3.5근, 석룡자(법제) 0.5근, 유근피 3.5근 2) 폐암 [ A형 59세 남자]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과루인(초) 3근, 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백두구(초)·공사인(초)·익지인(초) 각 1근, 신곡(초) 2근, 맥아(초) 각 3.5근, 당산사·당목향 각 3.5근, 금은화·포공영 각 3.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석고 2근, 건강(초흑) 3.5근, 산조인(초흑) 3.5근 ※ 늑골종양도 이 폐암 처방과 동일하다. ※ 가래가 폐를 싸고 올라오면서 거품 같은 담이 기도를 막을 위험에 처해 있으면 폐암의 말기이다. ※ 건강(초흑)은 조직을 헤치고 세포로 침투케 한다. 이때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산조인(초흑)을 넣는다. ※ 폐암 수술한 환자에게는 원백강잠 4.5근, 석룡자 1근을 넣는다. ※ 폐암은 임파선, 편도선, 갑상선으로 전이가 된 상태이다. ※ 기관지도 겸하면 원인은 췌장이다. ※ 폐암 수술로 한쪽 절제후 한 쪽 남은 것도 기능 허약이 올 수 있다. ※ 머리로 올라가면 전신무력 또는 국소적으로 무력화된다. ※ 임파선으로 전이되기도 한다. 이 경우는 원백강잠 1.5근, 석룡자 1근을 가미 혹은 익지인을 1근 가미한다. ※ 왼쪽 어깨 아픈 것은 왼쪽 간 기운이 주장이므로 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태이다. ※ 기혈(氣血)을 보(補)하는 것을 우선으로 약을 쓴다. A형 환자에게는 육종용 5근을 쓴다. O형 환자에게는 녹용이 맞으면 가미 귀룡탕과 함께 복용한다. 이렇게 하면 폐에 효(效)가 난다. 적하수오, 백하수오 1.5근을 가미하라. ※ 거품 가래가 횡격막 부근에 차 올라서 부풀어오르면 대개 결핵을 거쳐 종양으로 간다. ※ 폐암의 시작은 기관지에서 마지막은 간으로 끝난다. ※암에 좋은 보조약 A형, O형은 매일 상녹용 5전을 복용하고, B형은 인삼 1냥, 경포부자(법제) 5전을 복용하라. 3) 폐암 [O형 60세 남자] 공통약, 과루인(초)·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당산사·당목향·적하수오·백하수오·금은화·포공영·하고초 각 1.5근, 백두구(초) 3.5근, 공사인(초)·익지인(초) 각 3.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유근피 3.5근, 석고 3.5근 ※ 40년간 공해독으로 뼛속 진액이 마른 사람이 많다. 그래서 침이 독인 사람이 있다. 4) 갑상선종[O형 38세 여자] 공통약, 백두구(초)·공사인(초)·익지인(초) 각 3.5근, 신곡(초) 2.5근, 맥아(초)·당목향·당산사 각 3.5근, 금은화·포공영 각 3.5근, 하고초 2.5근, 생강·대추 각 1근, 원감초 각 2근, 원백강잠(법제) 4.5근, 석고 3근, 익모초 2.5근, 당귀·천궁 각 2.5근 5) 임파선종 [B형 66세 남자 4년전 임파선염으로 입원. 87년 1월 재발. 입원했으나 이번에는 너무 퍼져서 제거 수술 불능,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까지 종양. 전신 임파선이다]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과루인(초)·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신곡(초) 1.5근, 맥아(초) 3.5근, 금은화·포공영·하고초 각 3.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원백강잠(법제) 3.5근, 석룡자(법제) 0.5근, 유근피 1.5근, 생산약·산수유·구기자·오미자·청피·산길경·차전자(초) 각 1.5근 6) 목에구멍[O형 10세 女兒, 선천적으로 목에 구멍이 뚫려 있어 고름이 나오는데 병원에서는 결핵균 때문이라고 한다]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과루인(초) 0.5근, 백개자(초)·행인(초) 각 1.5근, 금은화·포공영·하고초 각 3.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원백강잠(법제) 1.5근, 석룡자(법제) 0.5근, 유근피 1.5근, 생산약·산수유·구기자·오미자·청피·산길경 각 0.5근 7) 편도선 종창[ B형 41세 여자]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과루인(초)·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금은화·포공영·하고초 각 3.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원백강잠(법제) 3.5근, 석룡자(법제) 1근, 유근피 1.5근, 생산약·산수유·구기자·오미자·청피·산길경 각 1근 8) 후두암[A형 39세 여자 목이 아주 쉬어 소리가 안 난다. 성대가 파괴되었다] ※폐암이 후두로 전이되어 후두암이 생기는 것도 때로는 있다.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과루인(초)·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백두구(초)·공사인(초)·익지인(초) 각 3.5근, 신곡(초) 1근, 맥아(초) 3.5근, 금은화·포공영 각 3.5근, 하고초 2.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원백강잠(법제) 4.5근, 산수유·구기자·오미자·청피 각 2.5근, 산길경 3.5근 9) 폐결핵 [A형 54세 남자]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과루인(초) 2.5근, 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 3.5근, 백두구(초)·공사인(초)·익지인(초) 각 1근, 당산사·당목향 각 3.5근, 적하수오·백하수오 각 1근, 금은화·포공영 각 3.5근, 하고초 0.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10) 기관지 천식 [A형 74세 남자] ※기관지 약한 사람과 기관지 확장증은 이 약쓰면 된다. 불면증이 있는 사람은 산조인(초흑) 3.5근을 가미하라. 무엿과 같이 겸복할 것.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과루인(초)·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 3.5근, 백두구(초)·공사인(초)·익지인(초) 각 3.5근, 적하수오·백하수오 각 1.5근, 금은화·포공영 각 3.5근, 하고초 1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11) 후두암 [B형 47세 남자, 목이 심하게 쉬고 오른 귀 앞쪽과 목에 종양이 있다] ※ 죽을 먹어라. 음식 먹을 때 상처를 더 이상 건드리지 않게 하라. 다슬기 오래 고아서 마시되 건강(초흑)을 분말하여 다슬기 탕 마실 때마다 1전씩 타서 복용하고 죽염을 복용하라. ※ 건강(초흑)을 쓰는 이유는 후두암 종양에 딱지가 앉지 않도록 하고 죽염 먹어서 환부로 침투시키게 함에 있다. ※인후가 열리려면 산길경·구기자· 각 3.5근, 산수유·오미자·산치자·익모초 각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3.5근을 써야한다. 목이 아픈 사람은 이 약을 달여서 엿을 만들어 두고 수시로 복용하라. ※사람 몸에 염분 100°에 36분 염분을 가지면 건강하다. 나무도 가을에 염분이 소모되면 말라버린다. 내 몸속에는 염분이 강해 상처가 곪지 않는다. 소금 양치를 대대로 한 덕분이다. 독감균도 염분이 강하면 침투할 수 없다. 12) 임파선 종양 ※ 심낭 수종은 호황련과 유근피를 가미하라. ※ 늑막염은 금은화 포공영 하고초를 가미하라. ※ 임파선은 백강잠을 가미하라. ※ 임파선 종은 붓고, 속에 열매나 포도 같은 것이 연다. 염(炎)은 커지지는 않고 말하기도 힘들고 음식 넘기는 것이 어렵다. ※ 예후 : 소상(小商)이나 합곡(合谷)에 종기가 나면 생명을 구할 수 없다. 볼과 관골까지 종기가 퍼져 있으면 골수까지 전이 된 것이다. 13) 갑상선 종양 [ A형 34세 여자, 나팔관 왼쪽 절단 수술 후 오른쪽에 재발] 처방 : 공통약, 석룡자(법제) 0.5근, 원백강잠(법제) 3.5근, 과루인(초) 0.5근, 백개자(초)·행인(초)·금은화 각 3.5근, 포공영 각 4.5근, 하고초 1.5근, 생산약·구기자·산수유·오미자·청피·산길경 각 1.5근, 유근피 3.5근, 차전자(초)·석위초·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 죽염을 수시로 복용하라. ※ 임파선과 갑상선에는 원백강잠을 반드시 써야 한다. ※ 원기가 부족한 사람의 갑상선 종대는 허증(虛症)이고, 부족하지 않은 사람의 종대는 실증(實症)이다. 14) 임파선 종(腫) [ A형 10세 남아, 고환 부위에 종양이 단단한 돌처럼 들어 있다. 제거수술을 했는데 종기가 주위에 계속 생겨난다] 처방 : 원백강잠(법제) 5근, 석룡자(법제) 1근을 꿀로 환을 빚는다. 생강차에 50환씩 복용한다. ※ 이 약은 편도선, 연주창, 주마담에 모두 좋다. ※ 임파선병은 폐암 처방에 원백강잠(법제) 3.5근과 석룡자(법제) 2.5근을 가미하면 된다. ※ 갑상선 기능항진과 갑상선 암은 ?처방을 사용한다. 갑상선 암은 척수와 폐로 들어가는데 척수에 들어가면 전신에 생기는 데 잔등이나 옆구리에 볼록한 것이 나면 전신에 전이 된 것이다. 갑상선은 바람처럼 차 올라 목의 한 가운데에 종을 말한다. ※ 마도창(馬刀瘡)이라는 것은 겨드랑이 임파인데 이것이 배꼽까지 퍼진 것이다. 배꼽아래까지 펴져 버린 것은 약이 없다. ?처방을 사용한다. 15) 악성 임파선 종양 [ B형 43세 남자, 좌우 목에 종양이 있다. 임질 매독성이다] 처방 : 갑상선 처방에 금은화·포공영·유근피·석위초 3.5근을 가미 ※ 원인은 바람이 1/3, 음식이 1/3, 유전이 1/3이다. 15) 연주창(편도선 종양) [ A형 38세 여자 ] 처방 1) 공통약, 석룡자(법제) 1근, 원백강잠 4.5근, 행인(초)·금은화·포공영 각 3.5근, 하고초 2.5근, 맥아·신곡 각 3.5근, 생강·대추·감초 각 1근 연주창은 편도선염이 심해진 것인데 연주창이라 하는데 알맹이가 있어서 마치 포도 같이 주렁주렁 좌우에 있어서 구슬을 얽어 놓은 것 같기 때문에 연주창(連珠瘡)이라 한다. 처방 2) 석룡자(도마뱀)를 산채 먹는다.(씹지 않고 넘기면 잘 넘어간다.) 처방 3) 석룡자(법제), 원백강잠(법제) 각 1근을 가루로 만들어 석룡자환을 지은 후에 식전에 생강차에 50알씩 복용한다. 16) 주마담 ※ 죽은피가 온몸의 핏줄을 따라 다니며 여기 저기 새알처럼 불거져 나왔다가 없어지고 하는 병이다. 곧 양성혈관암이 주마담이다. 처방 : 주마담에는 위 연주창의 (2)처방을 그대로 복용한다. |
백혈병,빈혈
간수치와 백혈병
백혈병은 인산암의학에서는 원래 다른 암에 비해 치료율이 더 높다. 백혈병은 간의 병이고 혈액병인데 탕약을 복용했을 때 약성분의 흡수과정을 생각해보면 위에서 흡수되고 소장에서 흡수되어 혈관을 통해 혈액으로 운반되는데 결국 가장 많은 비율의 약성분이 병부위 즉 혈액으로 들어가게 된다. 근육암같은 경우 암부위로 모이는 혈액양, 약성분은 비율상 많지 않다. 이런 점에서 뇌종양도 다른 암에 비해 치료율이 더 높다. 뇌는 우리 몸에서 가장 많은 비율의 혈액양이 모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로 백혈병이 완치되는 예는 많지 않다. 문제는 환자가 탕약을 복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부분 초기에는 병원의 항암제 치료를 받는다. 그 후 재발되었을 때 찾아오는데 많은 환자들의 경우 대체로 이러하다. 암, 혹은 백혈병 진단을 받았을 때 처음에는 의사가 시키는대로 하면 낫겠거니 여기고 치료받으면 되는 병인 줄로만 알고 정말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암진단 후 수술이나 항암치료하고 관해, 즉 암세포가 없다는 진단을 받으면 당연히 그러려니 여긴다. 진짜 문제는 그 후에 발생한다. 몇 달 후 혹은 1년, 2년 후 재발진단을 받고 의사의 표정에서부터 어렵다는 식의 얘기를 듣게 되면 그제서야 비로소 사태의 심각성을 절실히 느끼게 된다.
병원에서 치료받는다고 다 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 아무리 조심해도 다시 재발한다는 것, 더 이상 뾰족한 수가 없다는 것, 재치료를 받더라도 생명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 이런 사실을 한꺼번에 피부로 절감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 때서야 으례껏 받아야만 되는 건 줄 알았던 병원치료 외의 다른 치료법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러나 이 때는 너무 늦다.
어쨌든 약성분이 혈액을 통해 가장 많은 비율로 병부위로 공급된다는 장점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백혈병 치료가 어려운 점은 다름아닌 수치 때문이다. 백혈병은 온갖 수치검사를 자주 하지만 특히 간수치검사가 나쁘게 나오면 환자는 매우 불안해진다. 다른 암환자는 그렇게 늘 간수치검사를 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백혈병환자는 정기적으로 간수치검사를 한다. 여기에 커다란 함정이 있다. 대다수의 환자는 이 함정에 빠져버린다. 인산암의학이 물리치기 힘든 복병이다.
탕약 복용 중에 간수치가 오히려 더 좋아지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간수치가 나빠지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수치는 커다란 함정이다. 수치가 좋다고 해서 환자가 더 나아졌다는 것만은 아니다. 반대로 수치가 올라갔다고 해서 환자가 더 악화되었다고 할 수도 없는 것이다. 간암환자가 병원에서 수술요법이나 약물요법을 받고 난 후 수치는 정상이 되었는데도 다른 곳으로 암이 전이된 환자를 늘 접한다. 때로는 수치가 나빠졌는데도 환자의 체력이 좋아지고 피부에 윤택이 도는 경우도 본다. 이것은 당뇨환자에게도 해당된다. 계속적으로 당수치를 재는 당뇨환자도 수치문제로 딜레마에 빠질 때가 있다. 몸이 훨씬 좋아졌다는 느낌을 갖는데 수치는 나빠지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당뇨환자가 극도로 악화되어 막바지에 이르렀을 때는 오히려 당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온다. 더 이상 당이 나오지 않는 것이다. 이 경우는 그러나 이미 너무 악화되어 다 망가진 경우로 회복불능인 것이다.
간수치가 모든 것의 척도가 아님에도 환자는 의지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간수치가 그대로면 그나마 안심하고, 간수치가 흔들리면 환자의 마음도 흔들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지를 굳건히 하여 탕약치료를 계속하라고 설득해본다.
혈액속에 나타나는 어떤 물질의 수치, 그것은 치료 중에는 불안정할 수도 있는 것인 것을. 백혈병이 아닌 많은 암환자에게서 탕약 복용 중에 피부에 갖가지 두드러기, 발진, 흑색청색 반점 등이 나타나고 가려워 고생하는 경우를 종종 보았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 그런 솟아난 것들이 사라지고 난 뒤에는 피부가 그 전보다 훨씬 깨끗해지고 암세포도 증식을 멈추고 오히려 줄어든 경우를 많이 보았다. 그런 경우 오히려 완치율을 기대하게 된다.
이 수치문제를 딛고 넘어서 치료되는 백혈병 환자가 많아지기를 바란다. 치료 중에는 모든 것이 불안정한 것이 당연할지도 모른다.
암치료, 난치병치료의 원리는 간단하다. 몸안의 독소를 완전히 배출시키는 것이다. 독소는 밀려나가고 깨끗한 정상세포로 가득차게 되면 환자는 완치되는 것이다. 독소를 몰아내는 과정 중에 혈액속에는 갖가지 현상들이 생기게 될 것이다. 세포 깊숙이 내재해 있던 독소가 약물에 의해 밀려나 몸밖으로 배출되는 통로인 혈액속으로 쫓겨날 때 수치검사가 행해지면 이 혈액은 독소로 혼탁해 있는 것이 당연하다.
비유하자면 집안청소를 위해 구석구석 숨어 있는 먼지를 떨어낼 때 그 순간 방안 공기를 일부 채취해 검사를 해보면 혼탁도가 평소보다 훨씬 높을 수 있는 것과 흡사하다.
1. 백혈병의 병리 ※ 백혈병은 비선(脾腺)으로부터 피를 흡수하는 간(肝)의 혈색소(血色素) 조직신경의 색소(色素)가 고갈됨으로 인하여 피가 점차 줄어드는 병을 말한다. 1) 백혈병은 5종(種)이다. 간염성, 간경화성, 골수성, 임파성, 간암성 이렇게 5종이다. 2) 호흡으로 들어오는 공간 공기중의 전분은 췌장에서 음식물 중의 전분과 합성되어 체내에서 이용되는 데 재생불량성 빈혈과 각종 백혈병은 이 전분의 체내 합성 작용이 불완전하여 오는 것이니 공기중 전분의 체내 합성 부족증이다. 여기에 익모초는 생혈제(生血劑)요 애엽(艾葉)은 강한 온도이니 췌장의 온도를 정상화하여 공기중 전분의 합정력(合精力)을 강화하고 애엽 자체가 고미(苦味)로서 웅담 역할을 대신하여 전분 합성이 제대로 되도록 촉매작용을 한다. 이 병에는 웅담, 사향이 주장약이지만 진품 토종웅담이 없으니 이처럼 익모초와 애엽을 잘 이용하면 웅담 대용(代用)이 된다. 가짜 웅담과 아메리카산 웅담보다는 우리 나라에서 나는 쑥과 익모초가 훨씬 더 약성이 강하다. 3) 건강한 사람이 몸이나 얼굴에 희끄무레한 반점이 있었다 없었다 하면 5년이나 10년 뒤에 백혈병이 발병한다. 반점이, 흰 반점이 생기는 사람은 백혈이 오기 전에 막아야 한다. 반점은 백혈의 전조증상이다. 4) 혈소판은 육부에 한(限)한다. 그래서 6부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다. 나는 5장이 아니라 신장 외에 별도로 수장(水臟)을 상정하여 6장6부를 내세운다. 그래서 암약을 쓸 때 6장 × 6부 = 36장부, 36냥을 주로 쓴다. 그래서 3근반을 쓰는 것이다. 6장6부가 상생관계로 긴밀히 연계돼 있기 때문에 36냥의 분량을 쓰고 뜸도 6분 뜸, 적어도 5분이상 뜸을 뜨라고 하는 것이다. 여유있게 뜨려면 7∼8분 짜리가 효는 월등하다. 더 깊이 들어가면 간의 혈소가 얼마냐? 폐의 혈소가 얼마냐? 백혈병은 폐와 간의 혈소가 없어지는 병이요, 적혈과 백혈의 균형이 깨어지는 병이니 그 원인은 물, 공기, 식품의 화공약독에 있다. 또 피부에 닿는 화학섬유의 정전기에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이 먹고 입고 자고 살아가는 모든 의식주가 발암물질이다. 사람들은 석유문명 속에 있는 모든 물질이 전부 발암물질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현대의학이 하나하나 밝혀내는 발암물질만이 암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다. ※ 적혈(赤血)은 정(精)으로 화(化)하는 피이다. |
2. 백혈병의 처방 1) 백혈병 [A형 23세 남자, 부증(浮症), 소변 불리(不利), 잠혈(潛血), 폐렴도 겸하고 있다]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백개자(초)·행인(초)·별갑(초) 각 3.5근, 과루인(초)·신곡(초) 각 2.5근, 맥아(초)·천궁·당귀 각 3.5근, 자백목 4.5근, 도인(초) 2.5근, 원감초 1근, 생강·대추 각 1근, 공사인(초)·백두구(초) 각 3.5근, 은행(초) 2.5근 ※ 노나무(자백목)의 가감요령은 O형은 1.5근∼2.5근을 쓰고 A형은 3.5근∼5.5근을 B형과 AB형에는 4.5근∼5.5근을 쓴다. 노나무는 열(熱)이 많은 약재이므로 O형은 반드시 석고(石膏)를 가미하여야 한다. ※ 백혈병은 폐렴이 병발하는 수가 많은 데 폐렴이 있는 사람에게는 백개자, 행인, 별갑 각 3.5근을 넣고 과루인, 은행, 도인을 각 2.5근을 넣는다. ※ 식욕이 떨어지고 소화불량자는 공사인, 백두구 각 3.5근을 넣는다. ※ 백혈병에는 반드시 급성폐렴이 발생하는 데 이때 치료약을 쓰지 않으면 10시간 이내에 생명을 잃게 된다. 이때의 치료약은 호도를 밥에 2번∼3번 찐 후에 기름을 짜서 복용하면 위험한 시기를 넘길수가 있다. 이 기름이 아니고 애기의 급성 폐렴이나 어른의 급성 폐렴을 고친다는 것은 거짓말이다. 2) 골수성 백혈병 본방 ※ 골수성 백혈에는 금은화, 포공영, 유근피 각 3.5근, 하고초 1.5근 넣는다. 골수성 백혈의 증세는 오한(惡寒)이다. 오한 발열이 있어서 으스스 춥고 뼈까지 오한이 온다. ※ 악성 백혈은 전부 간암에서 오는데 이 골수성도 간암으로 온다.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신곡(초) 각 2.5근, 맥아(초)·천궁·당귀 각 3.5근, 자백목 4.5근, 원감초 1.5근, 당산사·당목향·금은화 각 3.5근, 포공영 1.5근, 하고초 1.5근, 생강·대추 각 1.5근, 은행(초) 3.5근, 유근피 3.5근 3) 재생불량성 빈혈증 [A형 53세 남자] ※ 식사를 정상적으로 하는 사람이면 간 이상으로 음식의 영양이 피가 되는 작용이 부족하여 빈혈이 온 것이고 식사를 잘 못 하는 사람이면 비장에 이상이 있어 피되는 작용이 부족하여 빈혈이 된 것이다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별갑(초)·과루인(초) 각 3.5근, 신곡(초) 1근, 맥아(초)·천궁·당귀 각 3.5근, 자백목 5.5근, 도인(초) 1근, 원감초 1근, 생강·대추 각 1근, 공사인(초)·백두구(초) 각 3.5근, 은행(초) 1근, 애엽 1.5근, 익모초 3.5근 4) 골수성 백혈 ※ 이건 뇌암인데 겉으로는 백혈로 나타난다. 뇌암은 신장암부터 와 있다. ※ 간암이 오래 되면 신장암이 온다. ※ 백혈병이 10명이면 3명이 간에서 오고, 10명에서 7명은 폐에서 온다. 5) 백혈병 [ AB형 37세 ] 공통약, 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신곡(초)·맥아(초) 각 3.5근, 자백목·금은화·포공영 각 3.5근, 과루인(초)· 천궁·당귀·당산사·당목향·하고초·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6) 빈혈 [ A형 30세 여자, 빈혈이 있고 척추 다치고 난 후에 우측 반신이 경직되고 통증이 있다. 유산후 하혈한 후 기억력 감퇴 ] 공통약, 원백강잠(법제) 3.5근, 우슬·강활·원방풍 각 3.5근, 속단 3.5근, 모과 1.5근, 송근 3.5근, 백개자(초)·행인(초)각 1.5근, 익모초 3.5근, 당귀·천궁 각 3.5근, 백출 1.5근, 신곡(초)·맥아(초) 각 3.5근, 공사인(초)·금은화·포공영·하고초 각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유근피 3.5근, 애엽 1.5근 ※당귀, 천궁 3.5근은 빈혈약이며 익모초 3.5근은 혈압이 내린다. 7) 다리에 멍[B형 27개월 된 남아] ※ 이건 어머니 뱃속에서 생긴 골수성 백혈인데 농약 먹으니 별것이 다 생긴다. 머리 없는 애기가 생겨, 농약독으로. 별게 다 생긴다. 60년 전에도 있었어. 50년 전인데 뼈 없는 애기도 있고 팔이 없는 애기도 몇 십년에 하나 있었는데 옛날에는 드물었다. 처방 : 약 먹일 수도 없으니 죽염을 혓바닥에 발라서 먹여라. |
당뇨
1. 당뇨병의 병리
1) 두부와 현미 그리고 농약과 방부제에 오염된 음식을 장기간 섭취할 때 각 음식 속의 간수(MgCl₂)와 해로운 독물질이 인체에 쌓이게 된다. 이 독물질은 혈관내에서 독소(毒素)로 변하게 되고 피를 만들어 간(肝)으로 보내주는 비선(脾腺, 간에 피를 만들어 넘기는 조혈신경 조직체)의 조직신경이 마비된다. 이렇게 비선(脾腺)의 조직신경이 마비되고 피를 제대로 만들어 보낼 수 없게 되면 비장(脾臟)에서 당분을 흡수 할 수 없어 소변으로 당이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그리되면 모든 독소는 심장화(心臟火)와 결부되어 독소를 함유한 이 심장화기(心臟火氣)가 폐를 범하면 조갈증(燥渴症)이 생기고, 이를 방치한 채 오랫동안 두게되면 인후신경마비로 언어 장애가 발생한다. 이를 상소(上消)라고 한다. 이 심장화기가 비장에 범하면 원기가 쇠약해지는 허기증(虛氣症)이 생겨 늘 피로를 느끼게 된다. 이를 중소(中消)라고 한다. 이 심장화기가 간에 범하면 시력이 감퇴되고, 콩팥을 범하면 매우 고치기 어려운 하소(下消)가 되어 중풍, 고혈압, 결핵, 관절염, 신경통, 요통, 소경, 벙어리 등의 합병증을 일으킨다.
2) 사람이 음식을 먹으면 음식 속의 영양분 즉 기름과 물이 함께 흡수되는데 기름 속의 물은 물대로 이수도(利水道)하여 신장으로 보내고 정제한 기름은 비장으로 넘어가는데 이것을 잘 못하면 당(糖)이 오줌으로 나간다. 물과 기름의 정제과정이 잘못되는 병이 당뇨병이다. 당(糖)이란 기름 속의 물질이다. 이것이 당뇨병의 병리(病理)이다.
2. 식이요법
1) 동해산 마른명태 3마리와 생강 1냥을 오래 달여서 그 물로 죽염 10∼20g을 복용한다. (당뇨병 초기의 하루 분량)
2) 참조기나 붕어에 생강, 대추, 인삼을 가미하여 달여서 수시로 먹으면 당뇨 환자에 좋다.
3) 서목태콩 반 홉을 약 24시간 가량 물에 담갔다가 소나무 절구에 찧어서 소나무 숟가락으로 먹는데 아침 저녁으로 식전에 먹는다. 먹기에 좋게끔 토종 날계란과 참기름을 적당량 섞어서 복용한다. 금속물질이나 손이 닿으면 비린내가 나므로 반드시 소나무 절구를 사용한다. 서목태콩은 해독력이 강하고 체내 5장6부의 기운을 소통시키는 요소와 췌장의 당을 배설하지 않도록 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식사를 할 때 차조, 생동쌀(靑梁米), 서목태콩 등을 섞어서 먹으면 섬유질의 양이 많으므로 장에서 당분의 흡수가 완만한 속도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혈액에의 당분의 유입이 서서히 진행되므로 췌장의 부담을 덜어주게 되는 것이다.
4) 깊은 산속에 심은 무와 배추를 죽염으로 김치를 담아 먹는다. 또 무와 배추를 솥에다 넣고 푹 끓인 뒤에 엿질금을 넣고 삭여서 조청처럼 만들어두고 수시로 먹는다. 깊은 산 속의 무와 배추는 당분과 수분, 소화제 섬유질이 많아 비장의 당(糖)을 흡수하는 조직을 강화한다.
※ 식이요법에 있어서 보리밥과 율무밥 같은 것은 영양실조를 일키게 되므로 도리어 원기를 허약하게 만드는 결과를 가져와 끝내는 합병증을 일으키게 된다. 편식은 병을 더욱 악화시킬 소지가 다분하며 음식물을 가리지 않고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당뇨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해 중요하다. 그러나 영양을 충분히 섭취하고도 운동력이 부족하면 유분(油分)이 팽창하여 비신경(脾神經)의 둔화를 일으키므로 당뇨가 된다. 적당량의 운동을 반드시 겸해야 한다.
대나무의 비밀이, 그 죽력이라는 데에 있다. 그건 아주 좋은 약인데. 오래도록 못고친 조갈증(燥渴症)을 고치는데 그것은 당뇨병이다. 당뇨를 고치는데 당뇨 시초는 대나무 기름 죽력이 좋은데. 아주 어려울 적에는 황토에서 이루어지는, 황토는 보중익기(補中益氣)재료인데, 황토에서 이루어지는 기운은, 중간 당뇨에 들어가게 되면 허기증(虛氣症)이 심하다. 늘 먹어도 배고픈 허기병 걸렸는데 그건 황토에서 들어오는 힘이 그 병을 고쳐 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 쇠통에서 구워 내기 때문에 전부 그 속엔 쇠가 근본이오. 밑에 쇠그물을 치고 전부 쇠가 근본인데 그건 최고 강철이라. 고열에 녹여서 마지막 처리하면 그 쇳물이 쇠기운이 많이 우러나와서 그건 마지막 하소(下消) 당뇨에 가서 피곤을 막아 주는 힘 이 있다. 그러면 당뇨에 제일 시초에 조갈을 막아주고 그건 대나무고, 중간에 허기증을 막아주는 것 황토이고, 저 심산(深山)에서 파 오는 황토, 거기엔 백금 기운이 많다. 그 다음에 마지막에 철분으로 철정(鐵精)을 취해다가 마지막 못 고치는 당뇨 고치는 하소의 치료법이다. 그러면 거기에 가장 협조가 당연한 것은 소나무 장작을 때다가 송진으로 마지막 처리를 하는데. 송진은 치어혈(治瘀血)하고 장근골(壯筋骨)하니까 당뇨에 재발이 오지 않는다.
3. 당뇨병의 처방
1) 당뇨[ A형, 56세 남자, 3년전 당뇨, 시력감퇴, 관절통이 있다]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행인(초)·백개자(초) 각 3.5근, 별갑(초)·과루인(초) 각 3.5근, 신곡(초) 1근, 맥아(초) 3.5근, 천궁·당귀 각 3.5근, 자백목 3.5근, 도인(초) 1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은행(초) 1근
2) 당뇨 [O형, 42세 남자, 4년전 당뇨]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행인(초)·백개자(초) 각 1.5근, 과루인(초) 각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금은화·포공영·하고초 각 1.5근, 생산약·구기자·산수유 3.5근, 오미자 0.5근, 청피 0.5근, 산길경·유근피·차전자(초)·지부자(초) 각 1.5근, 원백강잠(법제) 1.5근, 천화분 2.5근, 백모근 3.5근
3) 당뇨 [A형, 남자 39세]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행인(초)·백개자(초) 각 1.5근, 과루인(초) 각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금은화·포공영·하고초 각 1.5근, 생산약·구기자·산수유 3.5근, 오미자 0.5근, 청피 0.5근, 산길경·유근피·차전자(초)·지부자(초) 각 1.5근, 원백강잠(법제) 1.5근, 천화분 2.5근, 백모근 3.5근, 애엽 0.5근, 익모초 1.5근
4) 당뇨말기 [O형, 73세 여자 당뇨말기, 퇴행성관절염]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행인(초)·백개자(초) 각 1.5근, 과루인(초) 각 1.5근, 천궁·당귀 각 3.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익모초·천마·원지 3.5근, 천화분·백모근 3.5근
5) 당뇨 [ B형의 애기 ]
※ 죽염을 자주 먹여라, 조갈 치료제니까. 겸복은 당뇨병 처방의 탕약을 복용하라.
※ 애기 당뇨는 배안의 당뇨라 더욱 시간이 걸린다. 죽염에 난반을 10 : 1로 섞어서 먹이고 당뇨병 처방을 겸복하라.
※ 당뇨가 오래되면 콩팥이 먼저 녹는다.
※ 당뇨병에는 비장 때문에 당이 흐르는 것을 말하는데 췌장으로 내려오면 악성당뇨가 되고 간암이 된다.
6) 초기당뇨 치료법
집오리 1마리에 생진거소탕 30첩분량을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가미생진거소탕(加味生津去消湯)
천초·산약 각1냥, 백모근·천화분 각5돈, 석곡 3돈, 패모·연육 각2돈, 현삼·맥문동(거심)·백작약·당귀·감국화·패란(없으면 택란으로 대용) 각1돈, 불수(없으면 진피로 대용)7푼, 황련 5푼
※ 천초(天草)= 초가을 찰벼를 베어낸 자리에서 찰벼의 움이 다섯치가량 새로 돋아 나온 것을 말한다.
※ 원감초 2냥, 생강 5전을 한데 달여서 죽염 3전을 타서 1일 3회 복용하라.
※ 당뇨를 고치는 비밀, 죽염 속에 있다
대나무의 비밀이, 그 죽력이라는 데에 있다. 그건 아주 좋은 약인데. 오래도록 못고친 조갈증(燥渴症)을 고치는데 그것은 당뇨병이다. 당뇨를 고치는데 당뇨 시초는 대나무 기름 죽력이 좋은데. 아주 어려울 적에는 황토에서 이루어지는, 황토는 보중익기(補中益氣)재료인데, 황토에서 이루어지는 기운은, 중간 당뇨에 들어가게 되면 허기증(虛氣症)이 심하다. 늘 먹어도 배고픈 허기병 걸렸는데 그건 황토에서 들어오는 힘이 그 병을 고쳐 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 쇠통에서 구워 내기 때문에 전부 그 속엔 쇠가 근본이오. 밑에 쇠그물을 치고 전부 쇠가 근본인데 그건 최고 강철이라. 고열에 녹여서 마지막 처리하면 그 쇳물이 쇠기운이 많이 우러나와서 그건 마지막 하소(下消) 당뇨에 가서 피곤을 막아 주는 힘 이 있다. 그러면 당뇨에 제일 시초에 조갈을 막아주고 그건 대나무고, 중간에 허기증을 막아주는 것 황토이고, 저 심산(深山)에서 파 오는 황토, 거기엔 백금 기운이 많다. 그 다음에 마지막에 철분으로 철정(鐵精)을 취해다가 마지막 못 고치는 당뇨 고치는 하소의 치료법이다. 그러면 거기에 가장 협조가 당연한 것은 소나무 장작을 때다가 송진으로 마지막 처리를 하는데. 송진은 치어혈(治瘀血)하고 장근골(壯筋骨)하니까 당뇨에 재발이 오지 않는다.
버거스, 파킨스시, 배체트, 흑색세포
강직성척추염은 척추나 무릎 관절, 발목 관절에 염증이 생겨 서서히 굳어지는 병으로 난치질환이다. 인산선생은 그 원인을 공해독과 화공약독이 체내에 쌓여 물렁뼈가 상하여 굳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해독이 우선이라고 보았다.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원백강잠(법제) 3.5근, 석룡자(법제) 1근, 우슬·강활 각 3.5근, 원방풍3.5근, 속단 1.5근, 목과 1.5근, 송근 3.5근, 백개자(초)·행인(초) 3.5근, 익모초 1.5근, 당귀·천궁·백출 각 1.5근, 신곡(초)·맥아(초) 각 3.5근, 공사인(초) 1.5근, 금은화·포고영 각 1.5근, 하고초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유근피 3.5근 (O형은 석고 2~2.5근 추가)
현대난치 질환으로 진행성근위축증의 한 형태이다. 근위축증과 유사한 근육, 뼈처방으로 할 수 있다.
A형, AB형, B형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원백강잠(법제) 3.5근, 석룡자(법제) 1근, 우슬·강활 각 3.5근, 원방풍3.5근, 속단3.5근, 목과1.5근, 송근4.5근, 백개자(초)·행인(초) 3.5근, 익모초·당귀·천궁·백출 각 1.5근, 신곡(초)·맥아(초) 각 3.5근, 공사인(초) 1.5근, 금은화·포고영 각 1.5근, 하고초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유근피 3.5근
1. 버거스병(Berger’s disease, IgA Nephropathy)
⊙ 버거스 병(Berger’s disease) [A형 28세 여자, 오줌에 적혈구가 파괴되어 나온다. 병원에서 Berger’s IgA Nephropathy라고 한다.]
공통약, 원백강잠(생강법제) 3.5근 도마뱀(생강법제) 0.5근, 과루인(초)·백개자(초)·행인(초)·금은화·포공영 각 3.5근, 하고초 0.5근, 생산약·구기자·산수유·오미자·청피·산길경 각 1.5근, 유근피 3.5근, 차전자(초)·지부자(초)·통초 각 1.5근, 석위초 3.5근, 생강·대추·감초 각 1.5근
※도마뱀과 석위초를 구할 수 없으면 없는 대로 쓴다. 이 환자는 오줌소태, 편도선이 늘 부어 있고 전신의 임파선에 통증 있고 심장도 나쁘다. 버거스는 죽는 병이다. 시력이 먼저 가서 맹인이 된다. 신장이 다 녹아 없어진다. 신장은 완전 재생이 불가능하다. 위의 약을 달여서 먹으면 신장이 치료되고 심장은 자연스럽게 낫는다. 머리 아프고 발 아픈 것도 낫는다. 아래가 뜨끔거리고 하는 것도 낫고 안질도 다 낫는다.
註) 이병은 버거스 병(Berger’s Disease) 또는 IgA Nephropathy 라고 하며 버저스씨병(Burger’s Disease : 말초혈관질환)과는 전혀 다른 질병이다.
소변에 혈액이나 단백질이 섞여 방뇨되는 현상이다. 병명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신장의 조직을 채취해서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병을 파악한다. 병의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 진 것이 없고 유전적 영향이나 특정 환경 요인에 의한 것으로 짐작하고 있다. 이 병이 발생하면 아주 오랜기간동안 신장의 기능이 서서히 줄어들기 시작하여 완전히 신장의 기능이 끝나 버리는 무서운 질병이다. 고혈압이 일반적으로 신장염이나 신장의 기능 저하를 가져오므로 고혈압을 치료하는 것도 신장의 기능 저하를 막아주는 한 방편이 될 수 있다. 이 질병은 모세혈관 벽에 IgA(a particular type of antibody : 특별한 형태의 항체)가 다량으로 침적되어 있는 것이 확인된다. 신장처방을 사용한다.
2. 버거스씨병(Buerger’s disease, 말초혈관 질환)
⊙ 버거스씨병 [처음 수술하여 절단하고 또 재발하여 수술했지만 또다시 3번째로 생겨서 이제는 더 수술할 수도 없다]
처방 1) : 족삼리(병이 있는 쪽 다리)와 관원에 쑥뜸을 떠라.
처방 2) : 탕약은 관절염처방에다 금은화를 3.5근, 포공영을 5.5근으로 늘여서 사용하라.
註)버거스씨병(Buerger’s disease)
말초 동맥과 정맥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이 병을 최초로 상세하게 보고한 미국의 의사 버거의 이름에서 연유한다. 동양인에게 많은 병으로, 대부분 젊은 남성, 특히 장년기 남성에게서 나타난다. 사지의 동맥과 정맥에 염증이 일어나 혈전이 생기면 내강을 막아 혈액이 흐르지 못하게 되어 그 앞의 말초조직이 괴사에 빠지거나 손발이 차갑고, 손가락 발가락이 보라색 또는 검은색으로 변한다. 또 이 증세가 계속되는 동안 손발가락에 통증이 일어나고 궤양이 발생한다. 어떤 치료도 효과가 없을 경우 손과 발가락을 절단해야하며, 드물게는 무릎 이하도 절단을 해야 한다.
3. 파킨슨 병(Parkinson’s disease)
※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의 병리
폐뇌의 막(膜:大腸膜)에 염(炎)이 있어서 그렇다. 염이 있어서 다른 데서 들어오는 기운을 막아 놓으니까 바람으로 돈다. 폐뇌란 바깥 머리다. 안의 머리가 그러면 미쳐 버린다. 정신이 멀쩡하고 그런 증상이 오는 것 바깥 머리이다. 뇌막의 염증. 전부 폐는 기운을 차지하는 데 기운이 제대로 돌지 못하니 바람이 일 수 밖에 없다.
註)파킨슨 병은 떨림, 경직, 행동이 느려짐, 불안정한 자세 등이 나타나며 뇌에서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 물질이 부족하게 되어 생기는 만성질환이다. 이 도파민은 흑색질의 신경세포에서 생성되는 데 이 세포가 파괴되면 이런 병이 생기며, 신경세포가 파괴되지 않는 파킨슨 증후군의 경우도 이병과 비슷한 증상을 보인다. 파킨슨 병의 원인인 흑색질의 신경세포가 왜 파괴되는 가에 대하여는 아직 정확한 해답이 없다. 파킨슨 병의 가장 초기 증상은 피로감과 권태감이 있을 수 있는데 휴식상태에서 손 떨림이 가장 흔하며, 대화시 발음 혹은 억양의 변화, 누웠을 때 혹은 보행도중 방향을 바꾸기가 힘들어지거나 걸을 때 팔의 흔들림이 줄어드는 증상이 있을 수 있다. 상태가 심해지면 경직, 떨림, 몸의 움직임이 느리거나 줄어들고, 몸의 균형을 잡기 힘들거나 보행장애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의 처방
⊙ 파킨슨 병 [ B형 40세 여자. 수술을 한 번 했는 데도 반신(半身)은 안 떨리지만 다른 반신(半身)은 여전히 떨린다.]
공통약에 가미천마탕 30첩을 넣는다.
※ 가미 천마탕
⊙ Parkinsonism(위와 같은 병) A형 45세 남자
공통약에다 천마탕 각 첩마다 천마 3전, 애엽 3전, 익모초 3전을 가미한 것 30첩을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4. 베체트 병
⊙ 베체트 병(Behcet’s Disease) [ O형 여자 환자 ]
입안과 외음부 점막 부위가 헐어서 궤양 및 결절성(結節性) 홍반(紅班) 농포가 생기고 눈질환이 있고 이어서 그 후유증으로 중추 신경계 심맥(心맥)에 탈이 왔다.
처방 : 공통약, 산자고 4.5근, 포공영 4.5근, 하고초 2.5근, 금은화 3.5근, 지네(법제) 300마리, 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은행(초)·도인(초)·적하수오·백하수오·당귀·천궁·공사인 각 3.5근, 신곡(초) 1.5근 맥아(초) 3.5근 생강·대추·감초 각 1근, 석고 2근
※ 이 처방에서 마늘과 하수오는 기혈을 보한다.
⊙베체트 병 [ O형 36세 여자, 갑상선 종대, 안구 돌출, 피로 ]
갑상선 처방에다 죽염을 열심히 먹어라.
※ 뇌막의 염(炎)이다. 안구돌출(眼球突出)은 제일 핵심처, 요긴한 뇌에 염(炎)이 있어야 안구가 돌출된다. 안구가 돌출하여 안 보이면 시신경이 끊어진 것이니 좋지 않다. 이렇게 되면 쑥뜸으로도 안된다.
註) 1937년 터어키 의사 베체트가 처음 발견한 것으로 20∼30대의 젊은 층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기증상으로는 구강 궤양과 함께 포도막염 망막 혈관염으로 인해 시야가 흐려진다. 남성은 음낭이나 음경귀두에서 여성은 질이나 자궁경부에서 궤양이 생기기도 하며 홍반성 발진과 여드름양 농포성 구진, 피부 혈관염을 동반한 구진성 발진 등의 피부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밖에도 피부 과민 반응이나 만성 관절염 등 근골격계 증상과 신경계, 순환기계 호흡기, 소화기 등에서도 이상 증상을 보이기도 하며 드물게는 사구체 신염이나 부고환염 신(腎)증후군 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베체트병은 oculo-oral-genital syndrome이라고도 하는 데 즉 눈과 구강과 성기 등에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인데 관절통을 동반하기도 한다.
5. 흑색세포종(黑色細胞腫)
⊙ 흑색세포종 [AB형 69세 남자, 발등에 까만 점이 있기 시작하더니 왼쪽 옆구리에도 생겼다. 제거 수술을 받은 후에 왼쪽 다리와 발에 계속 생긴다. 그후 온 몸에 마치 사인펜으로 점을 찍어 놓은 듯이 점이 생겼다. ]
※ 이건 기존 의서에도 약 없고 양의학에도 없다. 이 종류 최고가 주마담, 그 다음이 악성 혈관암이고 그보다 더 무서운 것이 흑색세포종이다.
처방 : 공통약, 원백강잠(법제) 3.5근, 석룡자 1.5근, 우슬·강활·원방풍 각 3.5근, 속단 0.5근, 유근피·백개자·행인 각 3.5근, 익모초·당귀·천궁·백출·신곡 각 1.5근, 맥아 3.5근, 공사인 1.5근, 금은화·포공영 각 2.5근, 하고초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註) 흑색세포종은 피부암 중에서 가장 악성도가 높으며 예후도 가장 나쁘다. 검은 반점이 새로 생기거나 있던 것이 커지고 경결이 생길 경우, 그리고 빛깔이 짙어지고 쉽게 출혈하면서 딱지가 생길 때는 흑색종을 의심해야 한다. 신체 어느 부위에서나 호발할 수 있는 질병이다.
6. 흑색암(黑色癌 )
[ B형 47세 여자, 태어 나면서부터 등에 사마귀 있었는데 점차 커져서 수술했는데 수술 후 흑색으로 변하면서 암이 되었다. 지금 뇌에 혈관이 터져 반신불수이다. 심장, 간, 뇌로 전이되었다. ]
※ 수극화(水克火)의 원리로 그렇게 되었다.
처방 : 공통약, 별갑(초) 4.5근, 백개자(초)·행인(초)·백두옹 각 3.5근, 지네(법제) 300마리, 신곡(초) 3.5근, 맥아(초) 2.5근, 적하수오·백하수오 각 0.5근, 금은화·포공영 각 3.5근, 하고초 2.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 이 약재중 별갑, 백개자, 행인은 폐의 약이고 백두옹은 신장약이다. 금은화, 포공영, 하고초는 암에 약이다. 지네는 자오공 즉 자주빛이 나는 지네를 써야 한다.
註) 흑색세포종과 흑색암은 유사한 종류의 암으로 보여진다. 두 가지 모두 피부암이며 정확한 명칭은 피부악성 흑색종(Cutaneous Malignant Melanoma)이다. 피부암은 피부의 악성종양을 말하여 편평상피암, 기저세포암, 악성 흑색종등이 있다. 최근에는 오존층 감소로 인하여 자외선의 양이 증가함으로써 피부 악성종양의 발생이 더욱 증가할 것이다. 또한 피부암은 간에서 정화가 안된 불순물이 피부에 침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마귀 같은 양성종양에서 악성종양으로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피부암은 일단 발병하면 그 예후가 상당히 좋지 않으므로 일단 몸에 사마귀 같은 창(瘡)이나 옹(癰)이 생기면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식이요법]
요즈음 암치료 현황을 보면 너나 할 것 없이 식이요법에 너무 치중하는 경향이 있다. 물론 식이요법이 중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 비중을 너무 많이 둠으로써 주부(주:스트레스 부:음 식)가 전도되는 상황이라는 생각이 든다. 분명한 사실은 현대인이 먹는 음식물은 개인 각각이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모두가 비슷비슷하게 먹고 사는 형편에서 누구는 암이 오고 누구는 그렇지 않은 것은 한번 생각해볼 문제이다. 또한 식이요법에 너무 얽매임으로써 새로운 스트레스를 발생시키거나 자유로이 움직이고 스트레스를 풀 수 있는 시간을 음식먹는 것에 의해 방해받음으로서 폐단도 적지 않다. 여기서는 꼭 필요한 정도의 식이요법에 대해서만 언급하기로 한다.
● 금기해야하는 식품
농약, 화공약, 방부제 등이 많이 함유된 음식
두부, 땅콩, 녹두, 돼지고기, 닭고기, 커피, 술, 담배
(두부, 땅콩외에 일체의 콩 종류는 상관없음)
녹즙도 무농약 상태가 아니면 복용하지 마십시오
● 일반적으로 찬음식(과일도 포함) 찬 물은 해로우나 때로는 속열이 받쳐 올라오는 경우에 찬 것을 원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때는 적절히 먹어서 속열이 가라앉도록 합니다.
● 소고기, 염소고기, 개고기, 오리고기는 삶은 후 식혀서 기름이 굳어지기를 기다렸다가 그 기름을 모두 걷어내버리고 기호에
맞도록 마늘이나 양념을 적당히 가미해도 됩니다.
흔히 치료할 때 모든 육류를 금함으로써 환자의 영양섭취를 방해하여 영양부족 상태에 빠뜨리게 되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 모든 생선 종류는 다 먹어도 됩니다. 특히 조기나 붕어가 위장을 보하는데 좋습니다.
● 암환자가 수시로 섭취해야 할 식품
<다슬기탕>
– 다슬기는 살아있는 것을 쓴다.
– 끓일 때 물을 많이 붓고 10시간 이상 고운다.
– 1달에 5Kg∼15Kg 정도 먹도록 한다.
<집오리탕>
– 집오리는 털과 똥만을 버리고 나머지는 머리, 발 할 것 없이 아무것도 버리지 않는다.
– 일정시간(5시간) 고운 다음에 식혀서 기름을 완전히 걷어낸다.
– 기호에 맞도록 마늘이나 양념을 적당히 가미해서 드십시오.
<된장국>
<개(특히, 폐암환자) : 기름제거>
<독성이 없는 맑은 음식>
7. 섬유종
⊙ 섬유종 [ A형 58세 남자, 왼쪽 허리 부위에 17년 전에 생겼는데 방사선 치료를 비롯해 온갖 치료받아도 차도가 없다.]
※ 이것은 오른쪽 신장이 완전히 망가진 것이다.
섬유종이 깊이 3cm쯤 함몰되어 있고 중심부에 그 왼쪽과 오른쪽에 종양이 있다.
※ 이것은 배창(背瘡)에 유사한 암종류이다. 처방은 신장처방을 쓴다.
註) 이 섬유종은 신장에서 비롯되어 피부에 드러난 피부 섬유종이다. 일반적으로 자궁이나 신경에 생기는 섬유종과는 다르다. 이 섬유종이 피부에 발생하면 피부섬유종(Dermatofibroma)이라고 하며 보통 한 개의 종양으로 발생되는 경우는 드물고 여러 종류의 악성종양 즉 다발성피부섬유종(Neurofibromatosis)으로 발병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변비, 비만
인산 김일훈 선생의 가르침>치질(痔疾)
음증 양증
치질에는 음증(陰症)과 양증(陽症)이 있다. 음증은 장치질(腸痔疾)이니 곧 암치질이요, 양증은 치루(痔漏)니 곧 수치질이다.
신약(神藥) 183
죽염과 납저유 혹은 안티프라민
죽염과 납저유를 잘 섞어서 당처에 바르고 반창고로 붙여둔다. 하루 한 번 갈아 붙인다. 노란 핵, 치질 뿌리가 빠질 때까지 붙여라. 납저유 없으면 안티프라민에 개서 발라도 된다.
인산암처방집(仁山癌處方集) 32
재발없는 치료
할 수 없이 치료법이 수술이니까 도려내게 되면 몇 해 안 가서 또 도지고 해서, 내가 9번 도진사람 이야기를 듣고 “내가 시키는 대로 해봐라” 해 보니까 뿌리가 빠지고 일생에 도지질 않아요. 그래서
내게 젊은 사람들이 오면 7~8번 수술한 건 해 보라 하면 다 뿌리 빠지고 재발은 일체 없어요. 안 빠지는 사람도 없고. 그 뿌럭지[뿌리]의, 심한 사람은 도토리만 한 거 노란,
계란 노른자위 같은 거 아주 야무진 거 나와요. 그거이 빠지기 전에 도저히 낫는 법이 없어요. 아무리 약 써서 나아도 그거 안 빠지면 재발해.
그래서 그건 내가 이야기 한 죽염하고 난반하고 녹반하고 세 가지를 말한 그대로 11월호[월간 <민의약>1989년11월호]에 나온 잡지에 내게서 배운 애들이
그런 걸 경험해서 고친 그 약[‘아래’ 항 참조] 제조하는 비례가 있는데 그건 뜨끈하게 해야 잘 풀어지지 차게 되면 응고돼요. 굳어져요.
그걸 고운 광목 같은 데에 물을 받아 가지고 그 물을 한 5g 정도 들어가는 조그만 주사기에다가 당처에 주사하는데, 한 1cm가량, 치질 그 뿌럭지에다가 좀 섶으로[바로 옆에서] 찌르면,
찔러서 주사약을 넣는데, 양 섶으로 두 군데 찌르나 세 군데 찌르나 빠져나가긴 비슷한데 대게 수술한 사람들이기 때문에 한 번에 싹 끝나질 않아요.
9번 수술한 사람은 9번 만에 빠졌는데 그렇다고 해서 7번 수술한 것도 9번에 빠지느냐? 그것도 9번 8번에 빠져나가고 재발은 일체 없어요. 거기에
노른자위 같은 뭉친 덩어리가 빠지지 않은 걸 합창을 시키면 재발해요. 이제는 재발이 없어요. 내가 세상에 전하는 건 뭐이고 재발이 있도록 전하질 않아요.
신약본초(神藥本草) 604 LA 한국회관. 89.12.7
죽염 : 난반 : 녹반 – 15 : 5 : 1
치질엔 그건 무조건 나아. 치질에 안 낫는 법은 없어. 그거 일반 치질은 안티프라민이라고 있잖아? 안티프라민 반죽을 해서, 그저 붙일 만한 정도 죽염을 반죽해요. 반죽할 적에 그 청색난반을 15 : 1을 넣으면, 조금 많이 넣으면 아파요.
그 난반은 5 : 1 고렇게 넣어서 거기다 반죽해서 치질에다 붙여 놓고 반창고를 딱 붙여 두고 하루 한번씩 갈아 붙여 봐요.
고 속에 노란 콩알 같은 거이 빠져 나오면 다신 도지지 않아요. 그게 빠져 나와요. 그러고 주사를 놓아도 되고 다 되는데 안티프라민으로 붙여도 다 나아요. 이런데.
이제 10여 번 수술해 가지고 똥창자 보이도록 모두 만들어 놓은 치질은, 그걸 붙이는데 좀 양을 많이 붙여야 되는 사람도 있어요.
그건 시간이 좀 걸려도 무조건 나아요. 안 낫는 법은 없어요. 주사 놓으면 좀 빠르고 그걸 붙이면 조금 시간이 더 걸려요. 그러니 두 가지 중에 해도, 바르기만 해도 마찬가지야. 꼭 나아.
안 낫는 것도 있고 그렇다면 모르겠는데 백에 하나 안 낫는 사람이 있으면 모르겠는데 그런 거 없어요. 싹 나아요. 그래서 치질 ∙ 피부 다 되는데,
돼지기름에다 죽염하고 그걸 해 가지고 그저 늘 조금씩 먹어 놓으면, 숟가락으로 한 숟가락씩 떠먹고 나면 얼굴에 검은 버섯 시커먼 거 그건 싹없어져. 또 여드름이 싹없어지고. 그리고 얼굴이 고와지긴 틀림없어요.
신약본초(神藥本草) 652 함양 인산농장 90.1.2
유근피 죽염주사
유근피(楡根皮)를 달인 물에, 누룩나무라고 있어요. 느릅나무라고도 하고. 느릅나무 껍데기 벗겨다가 달인 물에 죽염을 타 가지고
그 주사를 암에다가 계속 놓으면서 좋은 약물을 계속 먹으면 확실히 좋아져요. 그러고 자궁암∙직장∙대장∙소장 이런 데는 전부 관장 조사법으로 하고.
치질(痔疾)이, 못 고치는 치질이 많은데, 수술을 자꾸 해 가지고 치핵(痔核)이 이뤄지면 잘 고쳐지지 않아요. 그럴 적엔 페니실린 주사(기) 가지고,
그 유근피 물에다가 죽염을 타 가지고 주사를 한번에 1cc 정도, 한 1cm 속으로 주사 놓아주면, 고걸 며칠 놓게 되면 그 속에서 곪아서 빠지는데,
수술을 오래 한 사람은 대추만한 뿌럭지 있어요. 노란 뿌럭지가 있는데 그게 치핵(痔核)이야. 그거이 빠지기 전에 완치는 안돼요.
걸 다 빠져서 완치된 후에는 그땐 분명히 치질이란 재발이 없어요. 치핵으로 그대로 두고 겉충만 다스리면 또 오란[오랜] 후에 얼마 안 가서,
몇 해 안 돼서 또 나와요. 그렇게 자꾸 나오면 그 치질은 결국에 암으로 돌아가고 마는데, 그런 일이 없이 하려면 전반적으로 주사를 잘 이용하고.
신약본초(神藥本草) 727 대구어린이회관 90.4.13
방치하면 암으로
치질은 직장염(直腸炎)에서 온다. 치루(痔漏)도 직장염에 직장암(直腸癌)까지 된다. 직장암 치료법은 관장기주사법(灌腸器注射法)이요,
대장(大腸)이 범하지 않도록 소장(小腸) 위문(胃門)에서 위암까지 죽염을 복용하고 관장기로 주사해야 한다. 겉에서 보이는 치질은 주사기로 치료해야 한다.
소형주사기에 주사약 2cc를 넣고 양쪽에 주사한다. 한쪽에 2cc 주사하면 양쪽에 4cc가 된다. 깊이는, 심하면 2cm 주사하고 시초나 심하지 않으면 1.5cm만 찌르고 주사한다. 주사약이 진할수록 효과 보는 시간이 단축된다.
수술을 5~6차례 한 사람은 10회 이상 주사해야 한다. 치질에 불치(不治)는 없다. 그러나 사람의 마음이 불신(不信)하면 만의 한 사람이라도 낫지 않는 사람이 있을지 모른다.
기적은 진실이라 믿는 사람에게만 나타난다. 한번 주사하고 낫지 않는다 조급하면 병원에 가서 천 번이라도 수술하라. 자기 병은 자기 정성과 노력으로 치료하라.
치질을 자주 수술하고 낫지 않아 종말은 불치병으로 종신(終身)하는 사람이 많다. 지구 창조 후에 처음 나타난 사람의 말을 따르지 않는 사람을 무병건강하고 장수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신약본초(神藥本草) 1007 수초(手抄) 원고
변비의 치료약
1) 변비 [ A형 여자 ]
※ 변비는 대개 대장이 허(虛)하여 생기는 것이므로 생혈, 윤장(潤腸)하는 약재를 쓴다.
처방 : 애엽 3근, 익모초·백출 각 1근, 감초 2근, 생강·대추 각 1근을 분말하여 환으로 빗는다. 이 환을 생강차에 복용한다. 많이 먹을수록 몸에 좋은 여자의 보약이면서 변비를 없애주고, 신경통과 관절염에도 어느정도 효험이 있다. 이 환약을 청혈보장환(淸血補腸丸)이라 한다. 혈액형이 O형일 때는 애엽을 1근으로 줄이고 익모초를 2근으로 늘인다.
2) 변비약
※ 제천전(남녀의 심한 변비에 잘 듣는다)
행인(껍질을 벗기고 뾰족한 끝을 제거하여 볶는다, 去皮尖炒), 욱리인, 산조인(초흑), 마자인(초), 백자인(초) 각 1냥을 달여서 복용한다.
비만의 치료약
1) 비대증 [녹내장, 신경쇠약이 있어서 신경안정제를 20년간 복용했다. 26년 전에 폐질환을 앓았다.]
처방 : 공통약, 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생산약·구기자·오미자·산수유·청피 각 2근, 신곡(초) 1근, 맥아(초) 3.5근, 공산인 3.5근, 생강·대추·감초 각 1근
※ 원인 : 방광수축 부전(不全)으로 신장이 허하여 신냉(腎冷)하다. 신냉(腎冷)하면 폐기능이 허약한 것이다.
2) 비만증 [ 13살 ]
※ 죽염을 많이 먹어라. 살 속에 너무 염분이 모자라서 그렇다.
처방 : 산길경, 산수유, 오미자를 똑 같은 양으로 먹이고 죽염을 오랫동안 먹여라.
※ 죽염 1년 먹여가지고는 안된다. 의사들이 염분을 적게 먹어라, 미친소리 듣고 싱겁게 먹어서 염분이 아주 고갈되어 있어, 지금 애들 지구에 있는 모든 애들 몹쓸 병 만들어, 싱겁게 먹으라는 것 때문에, 죽일 놈들이야.
※ 변비와 비만에는 들기름 찰밥을 수시로 복용하라.
소아의 질병과 단독의 병리
단독의 병리와 소아의 질병
단(丹)은 혈중(血中)의 포(胞)속에 있다. 볼거리도 단(丹)의 일종이다. 화침(火針)으로 다스린다. 태독(胎毒)도 단(丹)의 일종인데 태독은 태(胎)에서 얻은 것이다. 태(胎)에는 최고 무서운 독혈(毒血)이 있는데 태(胎)의 혈(血)을 짜 먹으면 양잿물 같은 독이 있다. 태에 독이 있는 이유는 즉 그 독한 피가 아기한테 오는 이유는, 독이 태에서 받아 처리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서 아기한테 오기 때문이다. 애기 엄마가 음식물을 섭취하여 체내에 들어오는 화공약독이 너무 많아서 태가 방어 처리하기에는 지나치게 많은 독을 가지고 있어서 애기한테 그 독이 간다. 지금의 태독(胎毒)은 이렇다.
옛날에도 태독이 있었는데 옛날의 태독은 남자한테서 오는 경우가 많다. 애기 육신이 이루어 질 때, 임신 한 5개월쯤부터는 내외관계를 일체 하지 않아야 할 때인데, 즉 자궁이 자꾸 확대 돼 갈 때, 부부관계를 하면 태모(胎母)의 흥분이, 그 흥분기에 애기한테 오는 피해가 크다.
그 피해로 몹쓸 병이 생긴다. 애기가 그때 탯줄로 하는 호흡, 그 호흡에 장애가 와서 호흡장애로 독이 자꾸 생겨서, 호흡은 보이지 않는 산소 부족에 결함이 생긴다. 애기 엄마가 숨쉬는데 그 흥분 도수에 따라 숨쉬는 기간에 애기한테 가는 흡수를 차단하고 만다.
내외관계 흥분기에 부인의 정상적인 산소공급에 부족이 생기니 그 사이의 피해로 애기가 태에서 오는 독을 방어할 수 없다. 그때 탯줄에서 보이지 않는 청색소가 오지 않고 태에서 오는 독을 애기 몸으로 받으면 낙태가 되거나 낙태 안되면 불구가 된다.
또 애기 엄마가 친정에 한 번 나들이 갈 때 , 또 친정 엄마, 아버지 보고싶은 생각이 골똘히 날 때, 아기 뇌에 어떤 이상이 온다. 또 친정 부모 보고싶은 생각이 간절하여, 친정 가라고 하는 시부모의 승낙이 떨어질 때, 그때 흥분으로 이상한 몹쓸 병이 아기한테 생긴다.
애기 태를 따라 생기는 무서운 독, 심장의 나쁜 죽은피를 처리하지 않으면 늙어서 팽창한다. 중풍, 허리 아픈 것, 자궁암이 된다.
인산선생처방
1) 단독 후유증 [ AB형 23세 여자 ]
어려서 단독이 여러 곳 생긴 후에 없어지면서 점차 걷지 못한다. 현재 지체 부자유 및 온몸이 아프고 두통이 있다. 병원에서는 원인 불명이라고 함.
※ 단독이 오래 된 것이다. 단독을 애초에 치료하지 못해서 그것으로 생긴 병이다.
처방: 산후풍 처방을 그대로 쓰고 홍화씨를 겸복하라.
2) 태상풍(胎傷風) [ B형 15세 여자 생후 배꼽에서 고름이 흘러 나왔다. 배 아픈 것은 없었다. ]
처방 : 공통약에 팔물탕과 안태음을 30첩 넣고 달여서 복용하라.
※ 팔물탕 : 인삼·백출·백복령·감초·숙지황·백작약·천궁·당귀 각 1.2돈
※ 안태음 : 백출(염초)·대복피 각 3돈, 당귀·백작약·숙지황·공사인·향부자·진피 각 1돈, 천궁·소엽 각 8푼, 원감초 4푼, 건강(초흑) 5푼
기허자(氣虛者)는 인삼을 1돈 가미하고, A형은 애엽 5돈을 가미하라.
※ 아기가 태중에 있을 때 어머니가 되게 속을 끓이면 속을 끓일 적에 죽은 피가 배꼽에서 상처를 입어 이를 태상풍이라한다. 몇 백만에 하나 정도로 드물게 생기는 병이다.
3) 태열(胎熱) [ AB형 5세 남아, 전신에 빨간 점, 살색돌기]
※ 농약독으로인해서 이런 병이 온다. 어머니의 음식물로 오는 농약독 때문에 태중에서 이루어져서 낳은 후에 발병한 것이다.
처방 : 오리알을 복용하라.
4) 소아머리 태독(胎毒)
처방 : 계란의 노른자로 기름을 만들어 석웅황 분말과 섞은후에 붙인다. 2∼3차에 효가 난다. (鷄卵取黃精取油 石雄黃末付之)
※ 애기 머리에 태열창 다스리는 약이다.
5) 소아의 기관지염, 폐렴, 폐선염(肺線炎)
가. 쌀밥에 3번 법제한 호도기름을 복용하라. 전편 ‘우주와 생물은 성인병에 만전’을 참조하라.
나. 가미귀룡탕을 달여서 먹인다.
백복령 5전, 당귀 3전, 상녹용 1전, 청피·맥아(초) 각 1돈, 산약 3돈, 산수유 2돈, 오미자 5푼
※ 이 약은 소아의 오래된 기관지염에 신효하다.
6) 소아 급성, 만성 놀란데, 경기 뇌염에 신효한 약
1) 만경풍(慢驚風)과 뇌염에는 가미천마탕을 복용하라.
2) 급경풍(急驚風)에는 천황해독탕을 복용하라.
천마·황련·황금·황백·산치자 각 1돈2푼반, 전충(법제)·백강잠(법제) 각 3푼, 우담남성·원감초 각 2푼, 우황·용뇌 각 6리, 박하·등심(燈心) 각 5푼 이 약을 잘 달인뒤에 경명주사분말 4푼을 타서 복용하라.
7) 유사장티프스(열병, 熱病)
영신해독탕과 죽염을 겸복하라. 죽염 대신에 석수어염반환을 쓰면 더욱 좋다.
신경통, 류마티스, 관절염, 산후풍, 디스크, 강직성척추염, 루게릭
희귀질병-루게릭병
현대난치 질환으로 진행성근위축증의 한 형태이다. 근위축증과 유사한 근육, 뼈처방으로 할 수 있다.
A형, AB형, B형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원백강잠(법제) 3.5근, 석룡자(법제) 1근, 우슬·강활 각 3.5근, 원방풍3.5근, 속단3.5근, 목과1.5근, 송근4.5근, 백개자(초)·행인(초) 3.5근, 익모초·당귀·천궁·백출 각 1.5근, 신곡(초)·맥아(초) 각 3.5근, 공사인(초) 1.5근, 금은화·포고영 각 1.5근, 하고초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유근피 3.5근
희귀질병-강직성척추염
강직성척추염은 척추나 무릎 관절, 발목 관절에 염증이 생겨 서서히 굳어지는 병으로 난치질환이다. 인산선생은 그 원인을 공해독과 화공약독이 체내에 쌓여 물렁뼈가 상하여 굳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해독이 우선이라고 보았다.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원백강잠(법제) 3.5근, 석룡자(법제) 1근, 우슬·강활 각 3.5근, 원방풍3.5근, 속단 1.5근, 목과 1.5근, 송근 3.5근, 백개자(초)·행인(초) 3.5근, 익모초 1.5근, 당귀·천궁·백출 각 1.5근, 신곡(초)·맥아(초) 각 3.5근, 공사인(초) 1.5근, 금은화·포고영 각 1.5근, 하고초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유근피 3.5근 (O형은 석고 2~2.5근 추가)
1. 산후풍(産後風)의 원인 및 여성에 흔한 질병의 병리(病理)
1) 대개 자궁 수술한 뒤에 온다. 수술할 때 간에서 자궁에 오는 혈관과 신장에서 자궁에 오는 혈관이 복잡하게 되어 있는데 이 두 장기에서 오는 핏줄이 수술시에 엇갈려 봉합되어 산후풍이 온다. 수술 5년 후에는 간병(肝病)이 오고 10년이면 신장병이 온다.
2) 유산(流産)시에 애기 내리고 채 내리지 않은 피가 있는데 여기에 음식물과 식수로 섭취한 공해독이 합하여 생기는 병이다.
3) 음력 7월경, 입추(立秋), 처서(處暑)경에 해산하면 환절기의 고비를 넘길 기운이 모자라서 병이 온다.
4)애기가 들어설 때 애기 되는 것은 간에서 오는 피, 간은 곤(坤), 영(靈), 신(神)이 있는 곳인데 즉 간은 혼이다(肝臟魂). 간에서 혼이 가야 애기가 생기게 되어 있는데 혼(魂)이 간을 거쳐 들어간다. 그래서 낙태하면 간이 자연히 망가진다. 그래서 여자들은 낙태 후에 병이 생긴다.
5) 쑤시고 저리고 하는 것은 간에 탈이 나서 혈관의 혈액 유통 부전(不全)에서 생긴다. 그래서 여자의 병에 당귀와 천궁을 쓰는 것은 이것이 생혈(生血)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강활과 원방풍은 피 순환을 촉진시키니까 쓰는 것이다. 익모초는 생혈(生血)하고 어혈(瘀血)은 파혈(破血)한다.
6) 상처 즉 외부의 상처로 오는 파상풍(破傷風)과 산후 파상풍은 다른데, 애기 낳을 때 상처로 오는 파상풍은 상풍(傷風)이다. 이것은 두통이 따른다.
7) 산후 중풍은 산후풍과도 다르고 일반 중풍과도 다르다.
8) 동절(冬節)의 유산은 상처로 한독(寒毒)이 들어와 풍독(風毒)이 생긴다. 추운 계절이라 상처로 한기가 들어와 생기는 한독이다. 파상풍과 유사하지만 다르다. 풍(風)이 독(毒)을 일으키면 뇌암을 만들고 독을 일으키지 않으면 전신불수나 반신 불수를 일으킨다.
9) 죽은 피에 염증이 생기고 염증이 담을 만든다. 이 죽은피에 바람이 들면 산후풍이 되고 신경마비가 점차 심해져서 점점 위로 올라가 중풍이 된다.
10) 갑자기 솟은 피는 빨리 회복되지 않으니 슬슬 회복되는 데 그 시간동안 원기가 쇠약해지면 머리를 들어 생기는 것이 산후풍이다.
11) 습(濕)이 많으면 풍(風)이 생길 징조이다. 즉 습에서 냉이 생기고 냉이 생긴 뒤 기가 허하면 풍이 생긴다(濕生冷 冷生 氣虛動風).
12) 산후풍 및 역절풍은 열독(熱毒)이, 몸 속에 어혈독(瘀血毒) 기운과 합해서 생기는 병이니 따끔따끔한 증세 보이면 이것이 독성(毒性)으로 염증으로 변하고 이것이 습(濕)이니 담(痰)이니 풍으로 변해서 온 것이다.
2. 신경통, 관절염, 산후풍 처방
1) 산후풍 [O형 55세 여자. 속이 어질어질하고 손이 저려 팔이 비비 틀려온다. 4남매 낳았고 6번 낙태 시켰다]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원백강잠(법제) 3.5근, 석룡자(법제) 0.5근, 우슬·강활 각 3.5근, 원방풍·속단·목과 각 1.5근, 송근 7.5근, 백개자(초)·행인 3.5근, 익모초·당귀·천궁·백출 각 1.5근, 신곡(초)·맥아(초) 각 3.5근, 공사인(초) 1.5근, 금은화·포고영 각 3.5근, 하고초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석고 3.5근, 당산사·당목향 각 1.5근, 유근피 3.5근
2) 관절통[O형 26세 미혼 여성 뼈마디가 아프고 늘 피곤하다. 일 좀하면 아파서 못 산다. 유산 한적도 없다. 직업은 사무직이고 손목이 제일 아프다]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원백강잠(법제) 3.5근, 석룡자(법제) 0.5근, 우슬·강활 각 3.5근, 원방풍3.5근, 속단·목과 각 0.5근, 송근 7.5근, 백개자(초)·행인 3.5근, 익모초·당귀·천궁·백출 각 1.5근, 신곡(초)·맥아(초) 각 3.5근, 공사인(초) 1.5근, 금은화·포고영 각 3.5근, 하고초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석고 3.5근, 당산사·당목향 각 1.5근, 유근피 3.5근
3) 관절염 [B형 56세 여자]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원백강잠(법제) 3.5근, 석룡자(법제) 0.5근, 우슬·강활 각 3.5근, 원방풍3.5근, 속단 3.5근, 목과 1.5근, 송근 3.5근, 백개자(초)·행인 1.5근, 익모초 3.5근, 당귀·천궁·백출 각 1.5근, 신곡(초)·맥아(초) 각 3.5근, 공사인(초) 1.5근, 금은화·포고영 각 1.5근, 하고초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애엽 0.5근, 당산사·당목향 각 1.5근, 유근피 3.5근
4) 경직성 척추염 [O형 29세 남자]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원백강잠(법제) 3.5근, 석룡자(법제) 0.5근, 우슬·강활 각 3.5근, 원방풍3.5근, 속단·목과 각 1.5근, 송근 3.5근, 백개자(초)·행인 1.5근, 익모초·당귀·천궁·백출 각 1.5근, 신곡(초)·맥아(초) 각 3.5근, 공사인(초) 1.5근, 금은화·포고영 각 1.5근, 하고초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석고 3.5근, 유근피 3.5근
5) 디스크 [O형 47세 여자]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원백강잠(법제) 3.5근, 우슬·강활 각 3.5근, 원방풍 3.5근, 속단·목과 각 1.5근, 송근 3.5근, 백개자(초)·행인 1.5근, 익모초 3.5근, 당귀·천궁·백출 각 1.5근, 신곡(초)·맥아(초) 각 3.5근, 공사인(초) 1.5근, 금은화·포고영 각 3.5근, 하고초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석고 3.5근, 유근피 3.5근
6) 전신이 땅기고 아픈데(索引痛)[ A형 여자 ]
※ 이것은 산후풍이 역절풍이 되는 중간 과정이다.
처방: 공통약, 원방풍 1.5근, 우슬 3.5근, 원백강잠(법제) ·송근 4.5근, 속단·당귀·천궁·애엽 각 3근, 익모초·목과·독활·신곡·맥아 각 3.5근, 공사인 1.5근, 생강·대추 각 1근, 원감초 2근
※ 소화 불량에게는 신곡, 맥아, 공사인을 각 3.5근으로 가미하라.
7) 팔, 다리가 아프다 [ B형 39세 여자, 소화가 안되고, 가슴이 아프고 아랫배, 다리, 팔, 어깨 등 전신이 아프다 ]
공통약, 원백강잠(법제) 3.5근, 우슬·강활·방풍 각 3.5근 속단 3.5근, 모과 1.5근, 송근 3.5근, 백개자(초)·행인(초) 각 1.5근, 애엽 1.5근, 익모초 3.5근, 당귀 3.5근, 천궁 1.5근, 백출 각 1.5근, 신곡(초)·맥아(초) 각 3.5근, 공사인(초) 1.5근, 금은화·포공영 각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유근피 3.5근
8) 다리마비[ O형 28세 여자, 눈이 노랗고 신경이 불안하다 ]
※ 눈이 노랗다는 것은 간에 문제가 있고 하체가 마비되면 관절염 약을 써라.
공통약, 원백강잠(법제) 3.5근, 우슬·강활·방풍 각 3.5근 속단 3.5근, 모과 1.5근, 송근 3.5근, 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익모초 3.5근, 당귀·천궁·백출 각 1.5근, 신곡(초)·맥아(초) 각 3.5근, 공사인(초) 1.5근, 금은화·포공영 각 1.5근, 하고초·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유근피 3.5근, 별갑(초) 3.5근, 석고 3.5근
※ 원백강잠이 3.5근이면 별갑, 백개자, 행인도 3.5근을 써라.
류마티스 관절염은 자가면역질환이다. 류마티스 치료에서 면역기능 정상화는 매우 중요하다. 코로나가 위험하다고 하는 이유 중 하나는 면역계가 취약할 때 자가면역반응으로 폐염증이 급격히 증대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인데 이는 면역체계가 망가졌다는 뜻이다. (사이토카인 폭풍) 현대난치병은 자가면역반응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화학약품은 반응을 높이거나, 반응을 억제하거나 둘 중 한가지 기능만 하지 높은 것은 내려주고 낮은 것은 올려주는 조절기능은 없다. 그러나 자연이 만들어낸 천연치료물질은 오장을 도와 생체 조절기능을 정상화시킬 수 있게 도와준다. 중요한 면역기능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면역이 비정상적으로 과발현되어 자기 세포를 공격하는 병증을 다스릴 수 있다. 해독보원, 거악생신의 원리로 가능하다.
심장병
1. 심장병의 병리
(1) 심장에는 피를 만드는 것(造血)을 관장하는 색소신경(色素神經)과 신(神)이 왕래하는 길의 역할을 하는 자연 신경이 있다. 심장의 색소신경의 주제하에 피를 만드는 곳은 곧 비장(脾臟)과 간장(肝臟)사이에 위치한 비선(脾腺)이다.
비선은 현대의학상 아직껏 그 오묘한 기능은 물론 존재마저 밝혀지지 않은 기관이나 인체에서 매우 중대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비선은 호흡을 통하여 체내에 들어오는 공간의 적색소(赤色素)와 음식물을 통하여 들어오는 적색소가 심장의 색소신경에 의하여 합성되는 곳이며, 비장에서 흡수한 지방질을 받아서 적색소로 염색(染色)하여 피를 만들어 간으로 보내는 조혈(造血)공장이다. 따라서 지방질이 비선의 염색과정을 거치면 피가되어 간으로 보내지고, 비선을 거치지 못하면 지방질 그대로 각 장부를 비롯해서 온몸에 분배된다. 지방질 그대로를 온몸에 분배하는 역할은 비장신경이 주관하고 잇다.
비선(脾腺)에서 간으로 보내진 피는 다시 간에서 녹색소(綠色素)가 첨가되어 심장으로 보내진다. 심장에서 이 완전한 피를 받아 온몸에 순환시킴으로써 체내의 온도를 적절히 조절하고, 필요한 동력을 공급하는 등 갖가지 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심장에서 체내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지 못하게 되면 인체의 모든 병이 생기기 시작하는 것이다.
2) 모든 동물의 생명은 온기(溫氣)에 있다. 온기에 의하여 신경이 변화하고, 신경이 변화하면 기(氣)가 통하고 혈액이 원할하게 순환하여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게된다. 그런데 온기가 부족하면 죽은피에서 도리어 열독(熱毒)이 발하여 통증을 일으키며 모든 질병을 이룬다. 또 냉기(冷氣)가 성(盛)하여 온기가 통하지 못하면 냉극발열(冷極發熱)하여 온기가 열기(熱氣)로 변하여 통증이 생기며 모든 병을 이룬다. 이로써 동물의 통증의 원인은 ‘물(水)’에 있는 것이 아니라 ‘불(火)’에 있는 것이니 불은 인체내 자극을 주나 물은 자극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인체의 불(火)을 맡은 장부가 심장이다.
2. 심장병의 원인과 종류
※ 등에 심유(心兪)라는 혈이 있는데 경락이 이 심유를 통해서 뇌로 올라가는 데 이 경락에 염증이 생기면 심장이 나빠져서 두근거리거나 숨이 차다. 이것이 심장병인데 여기를 뜸으로 따끈하게 하면 이런 증상이 없어지는 데 심유에 직접 뜨지 않고 전중(?中)만 떠도 심장병, 모든 종류의 구종심통(九種心痛)의 심장병이 낫는다. 판막증, 심부전, 협심증 등 그 어떤 종류의 심장병도 전중혈을 떠서 완치할 수가 있다.
※ 전중을 뜨면 심유혈의 온도 부족을 해소하고 숨이 차거나, 숨이 가쁜 증상이 심유를 거쳐서 머리로 올라가서 회복이 된다.
※ 심장병의 진단
심장판막 잘 놀란다
협심증(狹心症) 숨이 찬다
심부전(心不全) 현기증이 난다
※ 간에서 피를 정화하여 심장으로 피를 보낸다. 심장쪽으로 여러 장부가 있는데 정화 안된 피가 여러 가지 심장병을 만든다. 판막이 부었을 때 충격을 받아 놀라면 생기고, 판막이 붓지 않았을 때도 피를 받아 넘기지 못해 고통을 받는다.
처방: 마늘죽염
註) 심장병의 종류
가. 심근경색 : 동맥경화가 심해져서 관동맥(冠動脈 : 심장을 관장하고 있는 혈관)의 어느 부분이 좁아지면 거기에 혈액의 덩어리가 생겨 혈액의 흐름이 멈춰진다. 그러면 혈액이 흐르지 못하는 부분의 심근이 죽어버리고 이것을 심근 경색이라고 한다.
나. 협심증 : 심장근육은 일반 근육과 비슷하게 이루어져 있고 심장을 둘러싼 특별한 혈관에서 산소와 영양을 받고 있다. 이 관동맥에 동맥경화가 생기면 피의 흐름이 나빠지고 이렇게 되면 혈액 및 산소량을 충분히 보급할 수 없는 상태가 되며 심장부에 통증과 발작이 일어난다. 이것을 협심증이라 한다. 협심증은 심근경색의 원인이 되기 쉽다.
다. 심부전(心不全) : 심장은 전신의 구석구석까지 혈액을 내보내는 펌프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심장 펌프기능이 저하되면 몸이 필요로 하는 혈액을 공급받지 못한다. 이 상태를 심부전이라고 한다. 협심증이나 고혈압이 오래되면 이 병에 걸리기가 쉬우며 심장의 기능이 쇠약한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라. 심장판막증 : 심장에 있는 4개의 판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지속적으로 기능이 장애를 받는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폐쇄되어야 할 시기에 판이 완전히 폐쇄되지 못하여 혈액의 일부가 판구(瓣口)를 통하여 역류하는 경우를 판구 폐쇄부전이라 한다. 후천성의 판막증의 거의 좌심실의 대동맥판을 침해하며 대동맥판폐쇄부전이 많다. 원인으로는 급성 심내막염에 속발되는 것이 많기 때문에 류머티즘열, 편도염, 다발성 관절염 및 그 밖의 전염증은 모두 원인이 될 수 있다. 매독이나 동맥경화증은 대동맥판폐쇄부전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마. 정충(??), 경계(驚悸) : 크게 놀라거나 심장충격으로 오는 병인데 가슴이 항상 두근거리면 정충이고, 심장이 허약하여 자주 놀라는 것을 경계라 한다.
3. 여러 가지 심장병의 치료
전중혈 쑥뜸법 : 40초짜리 하루 100장씩 7일간 뜨면 된다. 1분을 넘지 않으면 심장에 충격을 주지 않는다. 겨울에 떠도 무방하지만 가을에 뜨는 것이 효과는 크다. 14,000장까지 떠도 무방하다.
전중(?中) ― 심유(心兪) ― 심장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중을 뜨면 열기를 따라 염증이 배출되므로 심장의 염증이 사라지는 것이다.
※ 전중뜸으로 낫는 병
가. 대동맥 폐쇄부전증
나. 정충(??), 경계(驚悸), 자체기능 저하 또는 큰 쇼크후
다. 협심증(狹心症)
라. 심근경색
마. 심장 판막(심장 이식이 필요한 사람까지 쾌차한다)
바. 심부전(心不全), 늘 코피나고, 해수, 누우면 숨이 답답하다.
사. EKG[심전도(心電圖, electrocardiogram)] 상에 나타난 모든 기질적 질환
※예후 : 뜨고 난 뒤 증상이 금방 없어지는 것은 아니고 1년쯤 걸려서 서서히 회복되어서 완치된다.
※ 심장의 적병(積病)인 복량(伏梁)
이에는 옻닭을 쓴다. 큰 토종닭 한 마리에 건칠피 반근∼한근반과 함께 달여서 자주 복용한다. 옻을 타는 경중(輕重)에 따라 무게를 조정하라. 옻은 조열(燥熱)한 약이지만 닭 또는 오리와 조화시킬 경우 별다른 위험은 없다. 체질에 따라 오리가 좋은 사람도 있고 닭이 좋은 사람도 있으므로 경험하여 쓰도록 하라.
1) 위와 같은 모든 심장병에는 가미수첩산을 사용한다.
※ 가미수첩산 : 초과·현호색·오령지·몰약·연자 각 2돈, 황기·적복령 각 1돈, 황금·차전자·인삼·맥문동(거심)·지골피·황련·원감초 각 7푼
이 수첩산은 심장의 구종심통(九種心痛)과 심비통(心脾痛)에 선약이다. 하루에 1첩을 달여 2회에 나누어 아침, 저녁 공복으로 복용하라.
2) 심화(心火) [ AB형 남자, 입이 쓰고 심장이 약하다.]
처방 : 집오리에 건칠피를 넣어서 달여 먹어라.
※옻오르는 사람이라도 조금씩 자꾸 먹으면 괜찮아 진다. 오리에 넣어 고으면 옻이 중화되므로 설령 옻이 오르더라다 치명적이 아니니 겁내지 말고 복용하라. 단 옻을 복용중에 수혈(輸血)을 받으면 즉사(卽死)하니 주의하라.
3) 심자통(心刺痛) [ B형 11세 남아, 심장을 찌르는 듯이 아프다]
※이것은 심기운(心氣運)이 폐색(廢塞)되는 협심증(脇心症)이다. 협심증(狹心症)과는 다르다.
가미수첩산을 복용해도 낫고 전중을 매일 100장씩 열흘쯤 떠도 낫는다. 전중혈의 뜸은 반드시 1분미만 짜리를 떠야한다.
4) 심비대(心肥大) [ 40세 남자, 심장이 너무 비대하여 거동 불능의 상태. 부증(浮症)이있고 숨이 가빠서 걷기 힘들고 수척해 있다]
처방 : 공통약, 백개자(초)·행인(초)·별갑(초)·차전자(초)·맥아(초) 각 3.5근, 구기자·오미자 각 2근, 유근피 4.5근, 석위초·생강·대추·감초 각 1근
※심장판막이 부으면 협심증이 오는데 우황, 사향이 좋은 약이다.
※ 토종자두는 심장에 좋다. 판막이 부은 것을 내린다. 소변이 잘 나오며 간이 부은 것도 내린다.
5) 심화(心火) [ O형 여자, 전신성 홍반성 낭창, 류마티스성 신경통도 있다. ]
처방 : 공통약, 익모초 5근, 우슬·강활·원방풍·속단·맥아(초)·공사인(초) 각 3.5근, 독활·건강(초흑)·목과·원감초·석고 각 2근, 신곡(초) 1.5근, 생강·대추 각 1근
※오리가 마늘의 신미(辛味)와 건강의 신미(辛味) 2종의 신미(辛味)와 중화하면서 그 약성이 합해져 창약(瘡藥)이면서 거악생신한다.
※ 익모초는 생혈(生血)하므로 5근을 쓰는 것이다.
6) 심화(心火) B형과 AB형은 가미수첩산을 써라.
※ 심장병이외에 다른 장부의 병으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증상에 대한 약을 가감하여 처방한다.
예) 공통약, 익모초 4.5근, 생강, 대추, 원감초 각 3.5근
7) 화증(火症) [ B형 68세 여자, 상기(上氣), 분기(憤氣)를 참으면서 참선한다고 함]
처방 : 공통약, 백개자(초)·행인(초)·맥아(초)·백하수오·적하수오 각 3.5근, 호황련 1.5근, 연실(?實) 1.5근, 신곡(초) 2근, 산조인(초흑) 2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이비인후의 질병
1. 눈과 관계된 질병
1) 근시(myopia)
목적 3.5근, 결명자(초) 2.5근, 천마 2.5근, 원지 3.5근, 적하수오·백하수오 각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 근시의 원인
가. 백일해 같은 걸 앓아서 폐가 약해져 금극목(金克木)하여 간이 약해지면서 근시가 되는 것이 있고
나. 간이 나빠서 오는 것이 있는데 이건 신장이 간을 돕지 못해서 나빠지는데 그 근본 원인은 폐(肺, 金)가 신장(腎, 水)을 돕지 못한 때문이다.
금생수(金生水) 못하니 수생목(水生木)못해서 온다.
다. 태중(胎中)에 있을 때 그 엄마가 신 것만 먹어서, 사과같은 산미(酸味)를 많이 먹으면 산(酸)이 과하여 신미(辛味: 肺金의 味)가 다 없어 짐으로써 금극목(金克木)으로 생기는 근시가 있다. 이건 애기때부터 근시가 된다. (고춧가루를 식초에 넣으면 매운 맛이 없어진다.)
2) 후두통(後頭痛)있고 사시(斜視)
공통약에 원백강잠(법제) 1.5근, 백개자(초)·행인(초)·금은화 각 3.5근, 포공영 1.5근, 하고초 1.5근, 생산약·구기자·오미자 각 0.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천마·원지·천궁 각 1.5근, 세신 0.5근
※ 죽염을 겸복하라.
3) 눈이 쉽게 피로 [ AB형 여자 ]
※ 간이 약해서 그렇다.
처방 : 공통약, 목적 3.5근, 결명자(초) 2.5근, 구기자 3.5근, 오미자 1근, 신곡(초)·맥아(초)·공사인(초) 각 2.5근, 익지인(초) 3.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4) 근시 [ A형 18세 남자 ]
처방 : 가. 뜸을 떠라
나. 집오리 3마리, 익모초 3.5근, 애엽 0.5를 진하게 고(膏)를 만들어 놓고 수시로 복용하라.
※ 집오리를 3마리 넣는 것은 신장을 보하여 수생목(水生木)시켜 간을 튼튼하게 회복시키기 위해서이다.
※ 목적과 익모초는 눈 밝아 지는 데 최고약이다. 결명자는 약간 보조적 효과가 있다.
※ O형은 쑥뜸을 떠도 녹내장, 백내장 완치가 어렵다. O형은 숨차고 머리가 아플때에는 뜸을 떠서는 안된다.
※ O형피에는 공해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나쁜기운이 모아진 사람에게 탁한피(수혈)가 들어오면 숨 넘어간다. O형피를 맑게 하는데는 오랜세월 뜸을 떠야한다.
5) 눈 시력 나빠지고 침침함. [ O형, 해수(咳嗽)도 있고 축농증도 있다.]
처방 : 공통약, 목적·결명자(초)·백개자(초)·행인(초)·은행(초)·도인(초)·과루인 각 3.5근, 신이 2근, 참외꼭지(법제) 10냥,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석고 2근
※ 신이(辛夷)는 맛이 매워 콧물 눈물이 난다. 냄새 못 맡는데 약이다.
6) 눈 시력 감퇴되고 침침하고, 통증이 있다. 약간 붉고 눈이 쉽게 피로. 병원 치료 수 없이 받아 봤지만 별 효과가 없다.
처방: 목적 5전, 결명자 3전, 일황련 1.5전, 대추·원감초 각 3전, 생강 3전
※ 생강이 눈 아픈 것을 없앤다.
※ 눈병은 화다(火多) 수힐(水가 모자라서)하여 간이 타면서 시신경도 타 들어 간다. 눈 병의 주장약은 목적과 결명자. 목적은 3.5, 결명자는 2근을 쓴다.
※ 눈의 다래끼, 백태, 충혈 등 여러 안질에는 죽염을 물에 녹인후 찌꺼기는 가라 않히고 맑은 죽염수를 안약으로 사용하면 신효하다.
7) 근시 [ B형 여자 ]
처방: 공통약, 목적 3.5∼4.5근, 결명자(초)·생산약·구기자 각 2∼3.5근, 오미자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8) 근시 [ A형 54세 여자 ]
처방 : 공통약, 익모초·애엽·생강·대추·원감초 각 3.5근, 목적 2∼3근
※ 눈에 붉은기(眼赤)가 있어도 이 처방을 쓴다.
9) 시신경 위축 [ B형 7세 여아, 아직 말도 못하고 말을 어느정도 듣기는 한다 ]
처방 : 공통약, 백개자(초)·행인(초)·목적·결명자·당귀·천궁·오미자·구기자·생강·대추·원감초·호황련·강활·원방풍
용담초를 적당량 가미하라
10) 안구의 조직 미성숙 [ 2세 여아 ]
처방 : 죽염을 침에 녹여 발라주고 죽염을 먹여라.
11) 시신경염 [ B형 50세 남자 ]
처방 : 죽염을 침에 녹여서 바르고 죽염을 먹어라.
12) 백내장(cataract)
처방 : 일황련 1전을 달여서 그 물에 죽염을 태워서 눈을 씻고 죽염을 복용하라. 침에 죽염을 녹여서 자주 발라라.
13) 편향시(偏向視) [ A형 6세 남아 ]
생후 4개월 부터 편향시 증세, 발육이 아주 늦은 편. 땀 많이 흘리고 소변이 탁함. 눈의 초점이 비정상이다. 눈을 맞추지 못함.
처방 : 가미 천마탕에 녹용 5푼, 황기 1전, 계지 5푼을 더 넣어라.
※ 삼눈에는 생강즙을 넣으면 신효하다.
14) 백내장 수술후 망막 박리 수술 [ AB형 55세 남자, 수정체 혼탁 ]
처방: 공통약, 목적 3.5근, 결명자 2.5근, 호황련·천마 각 3.5근, 원지 2.5근, 당귀·천궁 각
3.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15) 시력이 나빠진다.
목적·결명자 각 5전, 천황련·당귀·천궁(去油)·생강·감초 각 3전을 달여서 복용하고 마늘죽염을 겸복하라.
2. 코와 관계된 질병
1) 축농증, 비후증에 신효한 구기 천마탕
구기천마탕 : 구기자 4전, 백복령 2전, 원지 1.5전, 천마·감국화·합환피·화피·패모·진피·신이·석창포·길경·천궁·천화분·별갑(초) 각 1전, 세신 5푼, 개똥참외꼭지(법제) 4돈
※ 축농증을 오랫동안 방치하면 뇌에 염증을 일으켜 결국에는 뇌암으로 전변하니 주의해야한다.
2) 알레르기성 비염 [ A형여자 ]
처방 : 건강(초흑)·산조인·생강·대추·원감초·신이를 적량을 넣어 푹 달여서 엿을 만들어 먹어라.
3) 알레르기성 비염
건강(초흑)·산조인(초흑)·생강·대추·원감초 각 5전, 신이 1냥
※ 신이는 병의 원인을 치료하고 나머지 다섯가지 약재는 병의 원천(源泉)을 막는다.
4) 귀뒤에 종양 [B형 54세 남자]
처방 : 공통약, 원백강잠(법제) 1.5∼3.5근, 석룡자(법제)·과루인(초) 각 0.5근, 백개자(초)·행인(초) 각 1.5근, 금은화·포공영 각 3.5근, 하고초·생산약·구기자·산수유·오미자 각 1.5근, 청피·유근피·차전자(초)·지부자(초) 각 0.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 비후성(鼻厚性) 비암(鼻癌)은 귀뒤에 종양이 생긴다.
3. 귀와 관계된 질병
1) 중이염(tympanitis)
※죽염을 복용하면서 죽염을 물에 녹여 죽염수를 만들어 두고 솜으로 적셔서 귀속에 넣어준다. 진물이 많이 흐를 때는 죽염가루를 뿌려라.
2) 이명(耳鳴) [오른쪽 배에 적(積)이 있어 만지면 만져진다, 입이 마르다]
처방 : 대칠기탕(大七氣湯)에 소회향 5전 가미하라.
※ 대칠기탕 : 삼릉·봉출 이 두가지 약재를 술과 식초를 반반씩 섞은 액체에 담갔다가 말린것 각 2돈, 청피·진피·길경·뇌향·익지인(초)·향부자·관계·원감초 각 1돈, 형개 1돈반, 건강(초흑) 2돈, 생강 5쪽, 대추 4개
이 약은 위경련과 가슴앓이에 좋은 약이다.
3) 귀속종양 [ AB형 43세 여자, 귀속에 종이 있어 척출 수술후 다시 재발, 종양이 속귀(內耳)와 밖귀(外耳)의 중간지점에 있다]
※ 뇌에서 시작되는 것도 있고 콩팥에서 시작되는 것도 있다. 이병은 뇌암과 같다.
처방 : 신장처방하고 죽염겸복하라.
4) 중이염 [ 여자 ]
처방 : 숙지황 5전, 산약·산수유·복령·목단 각 3전, 택사 2전, 구기자 5전, 오미자·청피 각 3전, 당귀·천궁 각 5전, 익모초 2전
5) 이명(耳鳴) [ A형 44세 여자, 두통도 있고 소화불량도 겸해 있다]
처방 : 공통약, 애엽·익모초(식초를 약재에 뿜어서 말리기를 3번해서 사용)·당귀·천궁·향부자(술을 뿜어 건조하기를 7번)·천마·백복신·원지·생강·대추·원감초를 적량가미하여 달여서 복용하라.
※ 이 병은 신허동풍(腎虛動風)이나 관원에 쑥뜸을 많이 떠서 양기를 회복하면(回陽) 완전히 낫는다.
6) 이명(耳鳴) [ B형 56세 여자, 자궁근종 제거수술을 했다]
처방 : 숙지황 5전, 산약 3전, 산수유 2.5전, 복령 2전, 목단 2전, 택사 2전, 부자 1.5전, 인삼·천궁 각 5전, 오미자 1.5전, 구기자 5전
7) 이명(耳鳴)
처방 : 생강, 대추, 인삼 각 1냥, 건강(초흑) 5전
※ 입간생혈(入肝生血)하고 신장을 보하는 왕자이다.(補腎之王者)
8) 이명(耳鳴)
건강(초흑)·생강·대추·원감초 각 5전, 동량을 넣어 달여서 복용하고 죽염을 겸복하라.
※ 대개 B형은 건강(초흑) 3전, 생강 10전, 대추 10전, 원감초 5전을 달여 먹으면 감기 몸살 같은 병은
낫는다. 물론 죽염을 겸복하라.
4. 입과 치아에 관계된 질병
1) 구강암(oral cavity carcinoma)[ A형 48세 여자, 입안이 헐었다. 혀뿌리에 염증 ]
※ 구강암은 혀 구강안에 생긴다.
처방 : 죽염을 큰 숟가락으로 한 숟가락씩 입에 물고 있다가 못 견딜만 하면 뱉고, 또 물고 있다가 뱉고 하는 것을 부지런히 하라. 힘들더라도 이런 치료법 밖에는 없으니 이렇게 해야한다. 하지 않으면 죽는 수밖에 없다.
죽염과 난반을 2:1로 섞어서 하여도 무방하다. 하여튼 잠 잘 때를 제외하고는 늘 이렇게 하라. 한 15일간 이렇게 한다. 죽염을 물고 있다가 이따금씩 삼켜서 먹기도 한다.
죽염을 머금고 오래 머금고 참는 것도 뜸만큼 힘이 든다. 그러나 달리 방법은 없으니 명심하라.
2) 구강내 염증 [ 구멍이 뚫리거나 지도 같이 헐거나 빨갛게 되거나 한다 ]
처방 : 위 구강암의 처방과 같다. 15일 정도하면 낫는다.
3) 치골수암 [턱뼈암 임파선에 혹, 혀하고 아랫니 사이에 백태가 끼어 병원에 갔더니 암. 지난 토요일 조직검사 결과 나왔습니다. ]
※ 턱 뼈까지 침범했어? 턱뼈 침범해서 광대뼈로 간다. 이것은 치골수암인데 뇌에 올라가 끝난다. 뇌에 들어간 뒤에는 오래 못 간다. 잠을 자지 않고 죽염 물고 있어야 돼. 뇌에 들어간 뒤에는 오래 못 간다. 잠을 자지 않고 죽염을 물고 있어야 돼. 죽염과 청반을 30:1로 섞어서. 밭마늘 구워서 찍어 먹고. 청반 섞은 죽염에 찍어 먹어야 한다.
4) 치암(齒癌) [ 파상풍에 의한 암 ]
처방 : 공통약, 백지 3.5근, 원방풍 3근, 갈근·당귀·천궁 각 3근, 승마 2근, 천마 1.5근, 세신 0.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 치암의 진행 : 신경 조직체인 잇빨의 신경이 상해서 문드러지고 조직이 파괴되는데 거기에 종균(種菌)과 암균이 들어와서 그 속의 신경이 마비되어 간다. 이것이 오래 되면 암으로 변한다. 그래서 근육이 밀려 들어간다. 치근암과 다른 점은 치근암은 전신이 검게 변한다. 전신이 흑색으로 변하면 치근암이다. 이것은 이틀 속에서 생기는 암이다.
※ 백지는 치통약이고 갈근은 해독제(害毒劑)이다.
5) 치근암(齒根癌) [ A형 25세 여자, 왼쪽 턱쪽의 종(腫)이 더 심함, 뇌까지 전이 되어 있다. 안구에 종이 있으며 두통이 있다.
※ 속살이 시커멓다. 치근암과 골수암, 신장암은 같은 계통이다. 이빨은 신장에 매여 있다.
처방 : 공통약, 원백강잠(법제) 3.5근, 석룡자(법제) 0.5근, 과루인(초)·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차전자(초)·지부자(초)·청피 각 1.5근, 금은화·포공영·하고초 각 3.5근 생산약·산수유·구기자·오미자·산길경 각 1.5근 유근피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신곡(초) 1.5근, 맥아(초) 3.5근
※ 밤낮 주야로 죽염을 물고 있다가 뱉는 것을 계속하라.
6) 애기 젖니 발육이 늦다. [잇몸이 잘 안 생겨진다]
처방 ; 가미귀룡탕에 홍화씨 겸복하라.
7) 혀에 구멍 [O형 여자, 유주하여 여기 저기돌아다님 ]
처방 : 공통약, 당귀 3근, 천궁·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연근 0.5근, 신곡(초) 2.5근, 맥아(초)·강활·원방풍·적하수오·백하수오·공사인(초)·백두구(초)·익지인(초) 각 3.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석고 3근, 금은화·포공영 2.5근, 하고초 2근
※ 이것은 독성혈관암(毒性血管癌)이다. 농약독, 공기와 식수의 오염이 원인이다.
※ 죽염을 겸복하여 독을 풀어라.
정신병, 간질
1. 간질과 정신병의 원인
가. 유전
나. 임신중 크게 놀라거나 불안했을 때, 아버지가 술 먹고 주정을 하여 임신한 어머니가 놀라고 애타고 불안하면 그 아이가 태어나면 간질이다.
다. 교통사고를 당하거나 깡패나 부모로부터 심하게 매맞아 놀라고 충격을 받았을 때 그 후에 간질이 된다.
라. 뇌염이나 독감 홍역을 앓을 때 고열이 나면 양방병원에서는 얼음이나 해열제로 열을 눌러 버리는데 열이 몸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속으로 잠복하면 간질과 마비, 저능아가 되고 만다.
2. 양광(陽狂), 음광(陰狂) 등 정신병의 치료법
가. 중완을 뜬다.
나. 난반 토법(吐法) : 막걸리 한 대접에 난반 70∼100g을 넣고 저어서 아침 식전 공복에 마신다. 곧 토하게 되는데 심하게 토하고 지쳐서 잠을 자는 환자는 치료가 빨리 된다. 다 토한 후에는 가미천마탕을 복용하라. 가미천마탕 대신에 흰죽을 멀겋게 쑤어서 죽염을 넣고 간을 맞추어 먹어도 좋다. 이렇게 3∼5회 토하면 정신분열은 낫게 되는데 그 증세가 완전히 소실되는 것은 약 6개월 후에 된다. 막걸리는 양조장 막걸리보다 집에서 수를 잘 담아서 전내기 술에다 난반을 태워 마시는 것이 더 좋다. 이렇게 못하면 일반 막걸리에다 정종을 섞든지 또는 정종에다 난반을 섞어서 마셔도 된다. 정신분열 증세가 심하고 체력이 좋은 청년일 경우는 미쳐서 날 뛰는데 이 경우에는 난반을 200g까지 태워도 된다. 술 한 대접에 난반 200g을 태워 마시면 심하게 토한 후에 한 숨 푹 잔다. 자고 깨어나면 정신이 돌아온다. 절대 죽지 않으니 겁내지 말고 토법을 쓰라.
※ 간에서 내려오는 조직의 이상, 심장에서 내려오는 조직의 이상이 천만가지가 있는데 애기를 가진 뒤 속을 끓이면, 애 생길때도 속 상한 일 많으면 애기 피에 이상이 온다.
심장과 간의 이상으로 뇌에 올라간 피에 이상이 생기면 뇌에서 이상한 생각이 자꾸나서 괴로워서 간질 같은 증상이 난다. 정신병이나 간질이나 그 뿌리는 같다. 그래서 치료제도 같다. 다만 사용하는 용법만 조금 다를 뿐이다.
※ 위벽에 말라 붙어 있는 담(痰)이 모두 삭아서 다 토한 후에 1개월 동안 죽염과 난반을 5:3 비율로 혼합한 난반을 하루 5∼10g씩 복용해야 다시 재발을 않는다. 이렇게 조치해 놓으면 6개월∼1년 후에 정신병 증상이 모두 없어진다. 경험자에게 물어서 하라
※ 간질과 정신병의 뿌리는 위(胃)에 있고 증상은 뇌에 나타난다. 족지암(足趾癌)이 손가락, 발가락 끝에 사두창(巳頭瘡)처럼 나타나지만 암의 뿌리는 신장에 있는 것과 같다. 위벽의 담을 제거하지 않고서는 정신병의 완치는 절대 불가능하다.
3. 간질 치료법
가. 중완을 뜬다.
나. 위 정신병 치료와 동일하게 난반토법을 실시한 후에 죽염과 난반을 5:3비율로 섞어서 캡슐에 넣어 6개월에서 1년까지 복용하면 대개 완치된다. 하루 20g의 난반을 복용한다면 난반의 양은 약 3근정도 되는데 난반 3근 복용으로 낫는 간질도 있지만 이것은 가벼운 간질이고 좀 끈 질긴 간질은 1년 정도 복용해야 안심한다. 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는 가끔 난반토법을 실시해야 한다.
다. 간질은 5종(種)이다.
돼지간질 신(腎)신경 마비 흑(黑) 중완 뜸 5,000장
소간질 폐(肺)신경 마비 백(白) 중완 뜸 5,000장
염소간질 비(脾)신경 마비 황(黃) 중완 뜸 2,000장
말간질 심(心)신경 마비 적(赤) 중완 뜸 2,000장
닭간질 간(肝)신경 마비 청(靑) 중완 뜸 1,000장
※ 간질이 발에서 시작하는 냉간은 신장에서 오는 간질이고, 손에서 시작하는 간질은 말간질이다. 간질 발작시 그 모양과 소리가 다섯 가지동물과 흡사한데 이를 잘 관찰하여 치료하면 모두 완치가 가능하다.
※ 간질은 거품이 넘어오는데 정상적인 정신은 있다. 만약 그 거품이 굳어서 위 벽에 달라붙어 마르면 미치고, 정신분열이 온다. 이병은 업장소멸 작업이다.
※ 뜸치료와 함께 토종닭에 건칠피 1근, 금은화 반근을 넣고 푹달여서 죽염난반환을 수시로 복용하라.
※ 진단법
쓰러지고 거품 간질
헛소리 하는 것 광증(정신분열)
습담(濕痰) 간질
냉담(冷痰) 미치광이
※ 정신병과 간질을 진단할 때 환자의 어머니에게
가. 임신중 어디서 살았는가?
나. 시집살이는 고되었는가?
다. 남편이 임신중에 외도를 하거나 주벽(酒癖)이 심하여 속을 썩혔나?
이런 것을 물어서 병의 원인을 밝힌 후 처방을 선택하고 쓸 약의 양을 결정한다.
※ 소아의 열간(熱癎), 경간(驚癎), 풍간(風癎)은 가미천마탕을 복용하라.
2. 인산선생처방과 원리설명
1) 전광(癲狂) [ O형 14세 여자, 정신분열 ]
증상 : 가끔 2∼3분간 정신이 혼미하고 중얼 거린다. 마구 돌아다니고 신경을 쓰면 더욱 심하다. 하루 여러번 그렇고 낯빛이 하얗고, 졸도해서 쓰러지지는 않는다. 무슨 말을 하는지 자신이 모르고 발작한다.
처방 : 죽염과 난반을 5:3 비율로 혼합하여 복용하라. 하루 10g∼30g씩 복용하면 3∼5개월에 완치된다.
2) 뇌성마비 [ A형 17세 남자, 자다가 경기하면 뇌성 마비가 된다 ]
※ 그런 원인은 뇌염은 보통 간질이 되고, 뇌수막염은 뇌성마비가 된다.
처방: 가미 천마탕에 애엽 2근, 익모초 1근, 원감초 2근을 가미하여 수시로 복용하라.
3) 세파민 약물중독[B형 51세 여자, 20년 전부터 정신 신경증으로 입원 치료를 받아오다가 10년 전 퇴원하여 3년 주기로 입원 퇴원을 거듭하면서 지금까지 양약 복용, 주로 Chloro-promazine 복용. 두통, 왼쪽 편두통, 정신분일증이 있다]
※ 약독을 장기간 받아서 오장육부가 성한 곳 없이 다 녹아 났다. 지금은 정신병이 문제가 아니고 생명이 문제다. 처방은 해독이 급하고 해독한 연후에 원기를 보해야 살수 있다.
처방 : 공통약, 별갑·백개자·당산사·당목향·적하수오·백하수오·금은화·포공영·하고초·유근피·생강·대추
원감초를 적량 가감하여 사용하라. 그 사람의 증상을 살펴서 약을 사용하라.
겸복은 죽염과 난반을 5:3 비율로 혼합하여 하루 10∼20g씩 복용하라. 이건 정신병약이고 위 탕약중 백개자 행인도 정신병약이다. 탕약에 들어간 모든 약재는 양약의 해독제이다.
4) 약물중독[O형, 팔다리 허리 아파 양약을 많이 먹었다]
처방 : 백개자(초), 행인(초), 신곡(초), 생강, 감초, 공사인(초), 석고를 각 동량으로 공통약에 넣어서 푹달인 후 수시로 복용하라.
밭마늘죽염을 겸복하되 죽염 청반을 30:1 비율로 섞어서 복용하라.
5) 뇌성마비 [ B형 4세 남자, 4개월전에 발병 ]
처방 : 가미천마탕에 죽염을 겸복하라.
※ 솔방울이 떨어져서 썩고 남은 알맹이를 잘 씻어서 부수어 가지고 남은 것은 협도에 썰어서 1근을 잘 달여 반되 정도 되게 달여서 그 물에 죽염을 복용하라.
예후 : 우는지 말하는지 혹은 목에서 소리 나는가 상태를 잘 살펴서 약을 써라.
6) 간질 [ B형 14세 남자 ]
증상 : 속이 미식거리고 거북하다. 그러다가 얼마후에 간질 발작이 일어날 듯 하다가 정작 발작은 없다. 다리를 들고 자다가 벌떡벌떡 일어난다.
※ 이것은 간질 전단계이다. 예전에 어릴 때 경기를 했다. 아직 거품(痰)이 완성되기 전 상태로 다 완성되면 쓰러지고 간질 발작을 한다.
처방 : 오리에 가미천마탕 30첩, 인삼 600g을 가미해서 달인후에 그물에 죽염을 수시로 복용하라.
7) 정신병처방
※ 대추 달인 물로 난반 3∼4숟가락(50∼60g)을 아침 식전에 복용하면 크게 토한다. 담(痰)토할 때 쓸어 나온다. 다 토한 후에 생강, 대추, 감초 넣고 달인 물로 죽염 5g 정도 복용한다.
※ 난반, 죽염, 천마(天麻)가루를 함께 복용한다.
※ 정신병 처방 모두 환자의 상태와 경과를 봐 가면서 가벼운 경우에는 3∼4회 실시로 완치되고 정신병을 30∼40년 오래 앓은 경우도 10회 이내 회수로 완치된다.
그러나 30∼40년 동안 신경 안정제 장기복용 환자는 이 처방을 쓰기 전에 약독을 먼저 해독 시켜야 한다.
8) 몽유병 [ B형 14세 남자 ]
증상 : 속이 울렁울렁하며 자다가 벌떡 일어나며 다리를 든다. 어떤 때는 몽유병처럼 자다가 일어나 걸어 다닐때도 있는데 기억이 없다. 그렇지만 발작은 않는다.
※ 오래되면 토하게 된다. 아직 담이 다 완성 되지 않아서 그렇지 완성되면 쓰러지고 발작하는 간질이 된다.
처방 : 집오리에 가미천마탕 30첩과 인삼 1근을 넣는다. 이 탕약을 복용하면서 죽염을 하루 10g정도 먹는다.
9) 소뇌(小腦)의 크기가 작다 [ A형 10세 여자, 손을 꼼지락 꼼지락 하는 등 이상한 행동을 한다]
※ 뱃속에 그 애 생길 때 어머니가 속 끓여서 생긴 병이다.
환자 어머니 : ” 애 밸 때 정신없이 살았습니다.”
처방 : 소아간질 및 자폐증, 저능아 등에 천마탕을 하루 아침 저녁 식전 공복에 두 번 복용한다.
10) 불안 [ O형 7세 남아, 불안 초조하고 공포증이 있다. 운동기능까지 약간 마비되고 소변이 자주 마렵다 ]
처방 : 생산약·구기자·산수유·오미자·청피·맥아·육종용·생강·대추·감초 각 1근, 석고 0.5근
11) 불안 [ A형 52세 여자 ]
처방 : 전중혈에 40초짜리 뜸을 뜨라.
12) 자폐증 [ A형 11세 남아, 2살때부터 발병. 경기는 없고 정신연령이 낮다]
처방 : 가미천마탕과 죽염을 겸복하라.
13)정신분열
※ 대개 총명한자가 집념하다 실패하면 생긴다. 시험이나 사업에 실패하고 장래가 암담할 때 머리 좋은 사람이 잘 걸린다. 난반죽염을 5:3 비율로 혼합하여 매일 10∼20g씩 오랫동안 복용하면 낫고 막걸리 한 대접에 난반 100g쯤 타서 마시고 토하게 하는 것을 5∼8회 하면 다 낫는다.
14) 조울증 [ A형 20세 남자, 조울신경반응(燥鬱神經反應) ]
공통약에 가미천마탕 30첩, 천궁, 원지, 백복신 각 1.5근을 가미하라.
15) 정신분열 전조[AB형 16세 남자, 남이 자기를 흉보고 욕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
※ 이것은 정신분열의 전조증상이다. 그대로 두면 곧 정신분열이 온다. 부정모혈(父精母血)의 결함에서 오기도 하고 애가 생길 때 어머니 자궁의 온도 부족에서 오기도 한다. 부정모혈이나 온도부족은 곧 들어오는 애기의 영혼부족 내지 영혼 결함의 원인이 된다.
알 낳는 오리 알집의 생명력을 이용한다. 오리알 하나하나가 독립된 생명체이니 오리알이 30개가 알낳는 오리의 뱃속에 들어있다면 그 알이 환자의 정신부족을 영혼부족을 보충할 힘을 가지고 있다.
처방 : 신장처방대로 탕약을 복용한다. 반드시 알 낳는 오리 2마리를 쓰라.
16) 우울증 [ O형 30세 남자, 위궤양으로 출혈, 양약 먹은 후에 좀 치료되었지만 현재 항상 우울한 상태이다]
처방 : 쌍화탕에 석고 1.5돈을 가미하라.
※ O형은 석고 없이 약을 쓰면 불이 일어난다. O형에 약을 쓸 대는 염두에 두어야 한다. 석고를 쓰지 않으면 병은 낫지만 언젠가는 심장의 불 때문에 병이 생긴다.
17) 불안 [B형 28세 남자, 사람들이 음모하고 범죄자로 몰아 잡으러 오는 것 같다]
생강·대추·원감초·건강(초흑)을 동량으로 달여서 복용하라. 이 처방은 안혼정백(安魂定魄)하고 입간(入肝)하여 생혈(生血)하며 간(肝)과 혈(血)을 보(補)한다.
18) 불안 [ B형 40세 남자, 여러 가지 불안증으로 경련까지 난다.]
공통약에 가미수첩산 30첩을 넣어서 복용하라.
19) 경련성 질환[AB형 30세 남자, 부자(附子)복용 후 2분간 혼수가 왔는데 그 후부터 경련이 있다.]
※ 약에 의한 풍독에서 온 간질이다. 한열(寒熱)에 의해 풍(風)이 생겼다.
처방 : 공통약, 반하·모려분·패모·맥문동·지실·생강·대추·감초 각 3.5근
※ 죽염을 겸복하라.
※ 어려서 홍역을 앓을 때 힘들여 앓은 사람은 그 후유증으로 허약해서 이런 약에 의한 풍독으로 간질이 된다.
20) 정신분열 [ B형 여자, 정신병원 입원과 퇴원을 여러번 했다. 결혼후 심한 충격을 받아 정신병이 생겼는데 때로는 발광하고 때로는 조용히 있다.]
※ 날뛰는 시기와 조용히 우울하게 있는 시기가 주기적으로 교대하여 일어나는 조울 신경 반응이다. 이 환자에게는 죽염과 난반을 5:4 비율로 섞어서 하루 5∼10g 장복 시켜라.
※ 죽염과 난반의 혼합 비율은 환자의 체질, 미쳐있는 상태와 경과를 봐가며 날씨에 따라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일률적으로 말하기는 어렵고 경험해 봐서 한다.
가령 죽염난반 비율을 5:5로 할 때도 흐린날은 5:4로 해야하니 죽염에 침범하는 수분의 힘 때문에 죽염을 증가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21) 불면증 [ B형 30세 남자, 10년 전부터 불면증이다, 불안초조하고 경계(驚悸)]
※ 이것은 화극금(火克金)의 상태이다.
처방 : 공통약, 백개자(초)·행인(초)·과루인(초)·산조인(초흑) 각 4.5근, 생산약·구기자 각 3.5근, 산수유 2근, 오미자·청피·생강·대추·감초·신곡(초) 각 1근, 맥아 3.5근
22) 불면증 [ O형 30세 남자, 5∼6년전에 발병해서 양약, 수면유도제와 신경안정제 등을 늘 먹어왔다]
공통약, 익모초·당귀·천궁·백출·산조인(초흑)·천마·원지·생강·대추·감초·육종용·석고를 적량가미하라
23) 두통(頭痛)
오른쪽(右) 두통 폐(肺)
왼쪽(左) 두통 간(肝)
앞쪽(前) 두통 심(心)
뒤쪽(後) 두통 비(脾)
중앙(中) 두통 신(腎)
A형일 때 처방 : 공통약, 애엽·익모초·천마·생강·대추·원감초 각 3.5근
24) 두통 [ O형 7세 남아, 낭심이 가렵고 신경통도 있다.]
공통약,
원백강잠(법제)·석룡자(법제)·과루인(초)·백개자(초)·행인(초)·금은화·포공영
·하고초·생산약·구기자·산수유·오미자 각 1.5근, 익모초·천궁·당귀·천마·세신·석고 각 1근, 청피 0.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25) 두통 [ B형 32세 여자 ]
처방 : 공통약, 익모초·천궁 각 2근, 당귀 2.5근, 원지 1.5근, 천마 2.5근, 세신 0.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3.5근
※ 혹 경우에 따라서 백복신을 가미하라.
26) 편두통
처방: 공통약, 원방풍·강활·천마·원지·당귀·천궁(거유) 각 3.5근, 세신 1.5근, 형개·박하 각 0.5근, 생강 1.5근, 유근피·동송근 각 3.5근
중풍, 동맥경화, 고혈압, 저혈압
1. 중풍의 원인과 종류
1) 중풍의 원인
중풍의 원인은 냉(冷)이 풍(風)으로, 습(濕)이 마비로 나타나고 원기(元氣) 쇠(衰)하면 풍(風)이 동(動)하니 고인(古人)의 말씀에 기허동풍(氣虛動風)이라 한 것이다. 기허동풍에다 양기가 쇠하면 바로 풍을 맞아 쓰러지게 된다.
2)중풍의 예후판정
가. 자기 손으로 머리 긁고, 주먹 쥐고, 뒤로 돌릴 수 있으면 양호
나. 뼈마디 사이가 늘어난 건 관절이 빠진 상태인데 이 상태로 오래 되 면 뼈빠진 사이에 속살이 채여서 원상복구가 되지 않는다.
다. 힘줄이 말라붙고 우그러든 사태가 되면 수족도 못쓴다.
※ 피의 증기가 모세혈관 틈으로 증발하여 새 나가면 높은 압력으로 신경을 압박하니까 마비가 온다. 고환이 당겨
올라가는 느낌은 이 때문에 온다.
3)중풍의 증상과 종류
1) 증상 : 머리가 띵하고 어질어질하다. 풍(風) 때문에 붕 뜨는 느낌이 든다. 손발이나 피부 어떤 곳이 찌릿찌릿하다. 무엇인가 올라가고 땡겨 올라가는 느낌이 든다. 말이 어둔해지고 잘 안 나온다.
2) 종류 : 가. 뇌경색 : 이건 통기(通氣)에 사향(麝香)이 제일이다.
나. 뇌출혈 : 지혈(止血)을 해야 하는데 연근, 당귀 3∼7뿌리와 죽염을 복용하라.
※ 간에서 정혈(淨血) 안된 피가 용하게도 심장을 거쳐서 뇌에까지 올라가 뇌 속의 실핏줄을 막으면 터져서 뇌출혈 및 뇌경색으로 마비가 온다.
※ O형은 심장이 잘 못 되어 중풍이 생기고, AB형·A형·B형은 간이 잘못되어 중풍이 생긴다.
※ 몸의 조직이 허약하면 중풍이 온다. 기허동풍(氣虛動風)과 양기(陽氣)가 쇠(衰)하면 풍이 생긴다.
※ 냉(冷)과 습(濕)이 들어오면 기(氣)가 허(虛)한 사람이 풍(風)이 동(動)하지 않을 수 없다. 몸에 습(濕)이 얼마 생기고 냉(冷)이 얼마면 몇 년 후엔 중풍이 된다는 계산이 나온다. 지금 성생활이 너무 문란해서 원기(元氣)가 허(虛)하다. 남자 회양(回陽)에는 7일이 걸리고 여자의 회음(回陰)은 3일 걸리는 데 20세 전후의 정력이 최고일때에도 이 원칙은 불변인데 지금은 40이넘은 남자가 한 달에 5∼6회 성교를 하니 중풍을 불러오는 것과 다름 없다.
거기에다 술을 마시면 술은 화(火)지만 습(濕)이요, 습냉(濕冷)이면서 화독(火毒)이다. 또 변비가 심하니 화장실에서 힘을 쓰다가 당하고 만다. 윤장(潤腸)하여 주고 생혈(生血)하면서 변을 묽게 해 주는 변비약을 복용하는 것이 중풍 예방을 위해 좋다. 쑥·익모초·백출·생강·대추·감초로 환약을 지어두고 생강차에 복용하면 된다.
몸에 습(濕)이 얼마다, 냉(冷)이 얼마다, 습(濕)속에서 냉(冷)이 생기는 건 정한 이치다. 그러면 냉습에는 기(氣)가 줄어드는 데 기(氣)가 줄면 기(氣)를 따르는 것이 바람이니까 공간에 어느정도 밀도의 부족에 무슨 바람이 온다. 그 부족처에서는 무엇이고 다 온다. 완전 무결한 곳에는 바람이 불지 않아. 인간도 그렇다. 인신(人身)은 소우주(小宇宙)니까. 그 완전 무결한 시간이면 풀도 흔들리지 않아. 그 기(氣)가 결함을 얻은 시간에, 그 사이에 슬슬 바람이 불고, 벼락이 치고 있다. 돌도 날아가고. 인간도 그러니 쓰러질 수밖에 없다.
註1) 동맥경화
동맥경화는 동맥의 벽에 지방등 여러 가지 물질이 쌓여서 두터워지고 딱딱해지는 것을 말한다. 동맥 경화증이 있는 혈관은 탄력을 잃고, 점점 좁아지게 된다. 동맥경화증이 진전되면 혈관을 통해서 혈액을 공급받던 기관은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산소와 영양분을 충분히 공급받지 못하게 되고 뇌졸중, 협심증, 심근 경색증, 대동맥 박리, 고혈압과 같은 병을 일으키게 된다. 동맥경화는 상당히 진행 될 때까지 별다른 증상이 없다가 병이 깊어진 다음에 동맥을 통해 필요한 혈액을 충분히 공급하지못하면 증상이 나타난다. 충분한 혈액을 공급받지 못하는 부위가 뇌이면 뇌졸중(중풍)에 의한 증상이, 혈액을 충분히 공급받지 못하는 곳이 심장이면 협심증이나 심근 경색증에 의한 증상이 나타나고 동맥 경화증이 심해진 곳이 신장이면 고혈압이 나타난다.
註2) 뇌졸중(중풍)
뇌졸중은 뇌의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에 이상이 오는 것인데 혈관이 막히거나 터지는 것은 혈압이 높은 정도와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니라 뇌혈관에 동맥경화가 얼마나 심한지와 관계가 있다. 혈압이 심하게 높더라도 동맥경화가 심하지 않으면 뇌졸중은 잘 오지 않지만 동맥경화가 심하면 혈압이 심하게 높지 않더라도 뇌졸중이 잘 오는 것이다.
뇌출혈, 뇌경색(뇌혈전, 뇌색전), 지주막하 출혈, 고혈압성뇌증 등을 모두 합쳐 뇌졸중이라 하며 뇌졸중환자의 약 60%는 뇌혈전 환자들이고 약 30%가 뇌출혈, 나머지 10%가 그밖의 뇌졸증이다.
1)뇌졸중의 종류
가. 뇌혈전 : 뇌의 동맥에 동맥경화증이 심하여 혈관 내벽이 상했거나 좁아진 상태에서 응고된 혈액이 혈관을 막아버려 일어나는 것으로 혈액 공급을 받지 못하게 되는 뇌의 조직이 파괴되어 여러 가지 증상을 일으키는 병이다.
나. 뇌출혈 : 뇌 속의 작은 동맥이 터져서 피가 뇌조직 속으로 흘러 들어가 뇌세포가 기능을 잃음으로서 생기는 병이다. 뇌의 작은 혈관이 터지는 이유는 아주 오래된 고혈압으로 동맥의 기능이 현저히 약해져 일으나는 경우가 많다.
다. 뇌색전 : 뇌색전증은 뇌혈관이 아닌 부위에서 생긴 핏 덩어리(혈전)나, 심장 및 그 주변 기관에서 병의 괴사된 조직이 혈류에 따라서 흐르다가 뇌동맥에 가서 혈관을 막는 것이다.
라. 지주막하 출혈 : 뇌동맥에 생긴 동맥류가 터져서 뇌막의 3개층의 하나인 지주막에 출혈을 일으키는 것이다. 이 동맥류는 대개 선천적으로 타고 나며 노인에게는 동맥경화가 원인이다. 이병은 배변시에 힘을 쓰거나 정신적 흥분, 긴장이 발작 요인이 된다.
2) 뇌졸중에 의한 증상
뇌졸중이 일어나면 갑자기 의식이 없어지고 손발이 마비되며 언어장애를 일으키는 것이 특징이다. 침범된 혈관의 종류, 부위, 정도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 두통, 구토, 언어장애, 고열, 안면신경마비(구안와사), 의식장애, 혼수상태 까지 들어가며 목이 뻣뻣해지며 전신마비, 반신마비 등의 운동 장애가 나타난다.
2. 고혈압의 원인과 치료
1) 고혈압의 원인
피가 흐려져서, 탁혈(濁血)이라 함은 적혈구의 껍데기가, 적혈구의 표면이 끈적끈적 해지고 상(傷)해서 혈구 하나 하나가 독립되어 있지 못하는 것을 말하는 데 이렇게 되면 적혈구가 서로 붙어서 2개 3개가 한 덩어리가 되어 버린다. 조직의 모세혈관은 적혈구 하나가 겨우 유통될 수 있는 좁은 통로인데 탁혈(濁血)이 되어 혈구가 뭉치면 모세혈관이 막힌다. 막히면 그걸 소통시키려고 심장의 펌프질이 세어지니 고혈압이 되고 만다. 양방(洋方)에서 강심제나 혈관 확장제로 해결하려 하지만 그건 원인 치료가 아니다.
※ 고혈압과 저혈압은 양기부족으로 오는 상반신의 과혈증이다. 동맥경화증세를 일으켜 심하면 반신(半身) 또는 전신불수, 언어불순, 시력부족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2) 해결책 : 응지선분자(凝脂腺分子)를 자꾸 섭취하니까 피가 엉기는 것인데 우리가 음식을 섭취할 때 들어오는 응지선분자의 힘을 약화시키는 것이 죽염이다. 죽염을 먹으면 피가 맑아진다는 것이 바로 죽염의 응지선분자 세력을 약화시키는 기능에 있는 것이다.
지방성분의 일종인 콜레스테롤은 성인병의 주범인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물질로 널리 알려져 있다. 우리 몸에서 사용하고 남는 콜레스테롤은 동맥의 벽에 쌓이게 되고 그것은 곧 혈관이 좁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동맥벽에 콜레스테롤이 더욱 많아지게 되면 결국 혈관이 막히게 되고 혈액이 통과 할 수 없게 된다. 막힌 동맥이 심장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혈관 즉 관상동맥이면 심근경색증이 생기는 것이고, 뇌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혈관이면 즉 뇌동맥이면 중풍(뇌졸중)이 생기는 것이다. 여기서 선생은 콜레스테롤을 응지선분자의 일종(一種)으로 보고 있다.
인체에 적당한 정도의 혈압이 유지될 때 피는 혈관을 통하여 우리 몸 구석구석으로 전해질 수 있으며 이렇게 흘러간 피가 간이나 신장, 뇌와 같은 각 조직이나 기관에 산소를 공급해 줌으로써 우리가 정상적인 활동을 영위할 수 있게 해준다.
혈압은 혈액이 혈관을 흐르면서 혈관 벽을 미는 압력의 크기를 말하며, 심장이 수축할 때의 최고혈압과 혈관이 이완할 때의 최저혈압을 129(최고혈압)/85(최저혈압) mmHg로 나타낸다. 혈압은 주로 측정부위, 자세, 식사, 운동, 흡연 등으로 달라지고 하루중에도 계속 변화한다. 따라서 일주일의 간격을 두고 측정한 혈압이 정상보다 높을 때 고혈압이라고 말한다.
처방 : [ A형 : 공통약, 약쑥 고음] [ O형 : 익모초 고음 ] [AB형, B형, A형 : 가미 청상 순기탕 ]
※가미 청상 순기탕을 많이 복용하여 저혈압이 될 때는 계란을 먹는다.
※가미 청상 순기탕 복용후 혈압이 내리면 상태를 봐가면서 가미천마탕을 복용하여 재발염려를 없게 한다.
※가미 청상 순기탕
마황·진피·오약·황금·천궁(법제)·당귀 각 3전, 천마·백지·원백강잠(법제)·지각·길경·반하(법제)·창출·강활·방풍·맥문동(거심) 각 2전, 남성(법제)·건강(초흑)·만형자·감국화·세신·감초 각 1전, 대추 4개, 생강 7쪽
※혈액형에 따른 가감요령은 A형과 AB형은 상녹용 3돈, 애엽 1돈을 가미하고 B형은 인삼 5돈∼7돈을 가미하고, O형은 석고 3돈, 익모초 1돈을 가미하여 복용하라.
※법제 : 천궁은 쌀뜨물에 하룻저녁 담구었다가 기름을 빼고 사용하며, 남성과 반하는 생강즙에 하룻밤을 담가두었다가 사용한다.
3. 인산선생 처방과 원리설명
1) 두통이 있다 [B형, 두통이 있다가 없다가 한다, 6개월 전에 졸도했다]
처방 1)공통약, 강활·천궁·당귀·원방풍 각 3.5근, 신곡(초) 1.5근, 맥아(초)·백개자(초)·행인(초)·적하수오·백하수오 각 3.5근, 천마 2.5근, 오가피 2.5근, 세신 0.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겸복은 우황청심환과 사향 1푼을 1일 2회씩 복용하고, 죽염을 매일 5∼15g씩 복용하라.
※환자가 불면증이 있을 때는 산조인(초흑) 2.5근, 건강(초흑) 1.5근을 가미하라.
※머리가 아픈 환자에게는 천마 2.5근, 원지 2.5∼3근, 세신 0.5근을 가미한다.
※견비통이 있으면 강활, 독활, 원방풍, 우슬을 적당량 쓴다.
처방 2) 가미 보해탕과 죽염을 복용하고 뜸을 떠라.
이렇게 하면 습(濕)과 담(痰)이 삭으면서 풍기(風氣)가 조금씩 물러가게 된다. 습담이 전신마비의 원인이니 습담이 물러가면 마비가 차츰 풀리고 잘 안되던 말이 슬슬 나온다.
※ 마비가 와서 잘 삼키지 못하는 사람은 담(痰)이 식도를 막아서 급사하는 수도 있다.
2) 고혈압 [ A형 54세 남자 ]
공통약, 공사인(초) 1.5근, 신곡(초)·맥아(초) 각 3.5근, 산조인(초흑) 1.5근, 익모초 3.5근, 당귀·천궁·백출· 애엽 각 1.5근, 우슬·강활·원방풍·속단 각 1.5근, 천마·원지 각 1.5근,세신 0.5근, 건강(초흑) 1.5근, 금은화·포공영 각 1.5근, 유근피 3.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3) 고혈압, 심근 경색증 [ B형 48세 여자 ]
공통약, 공사인(초) 1.5근, 신곡(초)·맥아(초) 각 3.5근, 산조인(초흑) 1.5근, 익모초 3.5근, 당귀·천궁·백출· 애엽 각 1.5근, 우슬·강활·원방풍·속단 각 1.5근, 천마·원지 각 1.5근,세신 0.5근, 건강(초흑) 1.5근, 금은화·포공영 각 1.5근, 유근피 3.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註) 위의 54세 남자 처방과 동일하다.
4) 뇌졸증[ AB형 67세 남자. 마비가 왔다 ]
※ 이미 뇌와 폐가 손상된 것이다.
처방 : 공통약, 원백강잠(법제), 강활·우슬·원방풍·속단·송근·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애엽 0.5근, 익모초·천궁·백출·신곡(초) 1.5근, 맥아 3.5근, 공사인(초) 1근, 금은화·포공영·하고초 각 3.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 백개자와 행인은 폐와 뇌에 좋은 약이다.
5) 좌 반신불수 [ A형 82세 남자 ]
육미지황탕에다 녹용, 쑥, 익모초를 각 5전씩 가미하라.
※ 육미지황탕 : 숙지황 4전, 산약·산수유 각 2전, 목단피·택사 1돈반
녹용은 보혈(補血)하고, 쑥은 온중(溫中)하며 익모초는 파혈(破血), 생혈(生血), 활혈(活血)한다.
6) 졸도 반신불수 함, 1년반 전에 발병
처방 : 가미천마탕을 써라. 뜸을 겸하면 더 좋다.
7) 고혈압, 중풍 [ A형 25세 남자, 5년간 혈압이 높은 데 형편이 어려워서 약도 못 써 봤다]
※ 돈 안드는 것 일러 주지, 적어라.
처방 : 애엽·익모초·백출·생강·감초·오가피·백하수오 전부 반근씩 푹 고아가지고 자주 먹어라
“환자 : 두통이 심합니다”
※ 이거 먹으면 머리 아프지 않다. 너는 공부에 신경을 많이 써 가지고. 여기엔 농약 안 친 것만 일러 준 거다. 9시간 달여서 먹어라. 안 먹을 땐 중탕해 놓고, 상하지 않게. 죽염같이 겸복하면 좋다.
※ 고혈압에는 죽염을 겸복해야 한다. O형은 아래의 약을 수시로 달여서 복용하라.
오리 2마리, 익모초·생강·대추·원감초·신곡(초)·맥아(초) 각 1.5근
8) 뒷 골이 아프다.
죽염을 먹는데 죽염만 먹을 것이 아니라 생강, 대추 고아서 먹으면서 죽염 먹어야 좋다. 두부 같은 거 먹지 말고. 두달만 두부만 가지고 살면 동맥이 끊어져 버려.
9) 신경성으로 가슴이 답답하다 [ B형 51세 여자, 신경이 올라가면 뒷골을 막고 숨이 막힌다]
처방 : 가미수첩산을 달여서 복용하라.
10) 중풍 [ O형, 3년전 교통사고 당했는데 1년 뒤 팔에 힘이 없어졌다. 지금 오른쪽에 중
풍이 와서 집에서 침하고 뜸뜨고 있는 중]
※ 뇌의 세포가 완성되어야 나아. 천마탕과 보해탕 합방하고 석고는 1첩에 1전반을 가미해라
11) 혈액 순환 부전 [O형 28세 여자, 두통이 있고 이명(耳鳴, 귀울림병), 대소변이 불규칙적이고, 몸이 무겁다. 산후조리를 못하였다.]
공통약, 익모초·1.5근, 당귀·천궁 각 3근, 우슬·강활·원방풍·속단 각 3.5근, 목과 2근, 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신곡(초) 1근, 맥아(초)·공사인(초) 각 3.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석고 2근
※익모초·당귀·천궁은 혈압약이고, 우슬·강활·원방풍·속단·목과는 신경통약이고, 백개자·행인·신곡·맥아·공사인은 소화기 계통약이다. 공통약과 생강·대추·원감초는 원기와 영양을 보충하며 해독한다.
※O형은 심장의 온도가 높으므로 약의 해를 받으니까 석고를 써서 약재의 온도를 내려준다.
※ 족삼리를 뜨면 귀가 밝아지고 이명(耳鳴)을 치료한다. 운동은 혈관의 온도를 정상화 한다.
12) 동맥경화 [A형 ]
공통약, 약쑥·익모초·당귀·천궁(거유) 각 3.5근, 백개자(초)·행인(초)·신곡(초)·맥아(초)·생강·원감초 각 1.5근
※ 익모초는 피를 맑혀 준다.
※약쑥은 피를 순환시켜서 위로 몰린 피를 내리게 한다.
※간수는 공해 흡수하는 근본요소
13) 동맥경화 [ B형 여자, 목 뒤 뒷꼭지 견인통(牽引痛) ]
처방 : 공통약, 익모초 2근, 애엽 1.5근, 당귀·천궁 각 3근, 인삼 0.5근, 백출 2근, 향부자 1근, 강활·원방풍 각 2근, 천마 1.5근, 세신 0.5근, 생강·대추 각 1근, 원감초 2근
14) 뇌성 마비 [ O형 33세 여자, 오른쪽 하반신 마비 ]
공통약, 원백강잠(법제) 3.5근, 우슬·강활·방풍 각 3.5근 속단 3.5근 송근 3.5근, 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익모초 3.5근, 당귀·천궁 각 1.5근, 금은화·포공영 각 1.5근, 생강·대추 각 1.5근, 원감초 각 3.5근, 유근피 3.5근, 별갑(초) 3.5근, 석고 3.5
※ 뜸이 첫째이나 O형이므로 해로울 가능성이 있다.
15) 저혈압 [ B형 여자 ]
익모초 3.5근, 애엽 0.5근, 천마 2.5근, 원지·생강·대추·원감초 각 3.5근
16) 저혈압(A형)
인삼, 당귀, 익모초, 약쑥을 동량으로 달여서 복용하라.
※ 인삼은 보기(補氣)하는 약이고 익모초는 생혈(生血)한다.
17) 와사풍 [ 우(右) 안면마비환자 A형 남자, 수개월 전부터 한방치료를 받아보았으나 호전되지 않음]
처방 : 공통약, 백강잠(법제) 4.5근, 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당산사·당목향·공사인(초)·백두구(초) 각 3.5근, 애엽·백부자(법제)·전충(법제) 각 1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 전충(법제 2회)가루는 하루 2번 5푼씩 약물에 겸복하라
오른쪽 와사풍 기허(氣虛)가 원인이고 중풍의 전징조이다.
왼쪽 와사풍 혈허(血虛)가 원인이다.
오후에 온 것은 기허(氣虛)가 원인이다.
오전에 온 것은 혈허(血虛)가 원인이다.
안면 신경마비 위허(胃虛)가 원인이다.
18) 우 안면마비 [ B형 남자 ]
처방 : 십전대보탕 2배첩에 공사인(초) 3전, 익모초 2전, 애엽 1전, 경포부자 3전을 가미하라.
19) 와사풍 [ B형 16세 여자, 아주 놀란후에 생겼다.]
처방 : 공통약, 백부자(법제) 1.5근, 원백강잠(법제) 3.5근, 전충(법제 2회) 0.5근, 강활·원방풍·생강 각 3.5근
※ 어려서 하는 와사풍은 경기(驚氣)가 심하여 혹 간질로 가다가 풍(風)으로 가는 것이 있고 유전으로 오는 것이 있다.
20) 안면 신경마비 [ B형 50세 여자 ]
처방 : 공통약에 견정산 30첩과 방풍통성산 30첩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라.
※ 견정산 : 원방풍·백부자(법제) 각 1돈반, 백강잠(법제)·강활 각 1돈, 백하수오·오가피 각 1돈, 전충(법제) 5푼·초오(법제 9회)
여기에 O형은 석고를 1돈 가미해야한다.
※ 방풍통성산 :활석(법제) 1전7푼, 감초 1전2푼, 석고·황금·길경 각 7푼, 원방풍·천궁·당귀·적작약·대황·마황·박하·연교·망초 각 4전반, 형개·백출·치자 각 3전반, 생강 5쪽
아토피, 피부병
1.피부병의 종류와 처방
1) 흑전풍 [A형 64세 여자, 얼굴에 검은 반점이 있다]
※그것은 얼굴의 백랍 즉 백전풍이 흑전으로 변한 것이다. 상반신 피부는 위장, 하반신 피부는 폐에 매여있다. 흑전풍은 심하게 되면 멀건 물이 흐른다. 흉한병이다.
처방 : 마늘 구워서 죽염에 찍어 먹고, 그러면 위가 좋아지고, 위에서 오는 백전과 흑전이 낫는다. 그 반점이 있는 자리는 침을 바르고 죽염을 입에 물고 그 침을 자꾸 발라라.
위 조직이 완전 회복되면 나쁜 조직이 삭아진다. 나쁜 조직이 삭아지게 되면 흑전, 백전은 모르게 모르게 없어진다.
2) 건선 백전풍 [ A형 48세 여자, 유산 경험 1회]
증상 : 염불할 때 목을 쓰는데 기침 가래가 많고, 속이 쓰리고 아플 때가 있다. 죽염 먹으니 붓고 소변을 잘 못한다. 피부도 한 40년 앓았다. 건선 백전풍인데 피부에 사마귀처럼 살이 나온다.
※ 붓고 소변이 어려우면 죽염을 양이 적게 먹어야 한다. 건선 백전풍에는 살을 죽염으로 아침저녁으로 아프게 비벼라. 죽염은 아직 먹지 말고 내가 일러주는 탕약 먼저 먹고 난 뒤에, 한 달 뒤에 조금씩 먹어보고 탈없으면 먹고 손발이 붓고 소변 어려우면 먹지 마라. 바람으로 온 습(濕)이니까 위장 처방을 써라.
3) 피부소양(가려움) [ A형 22세 여자 , 가려워 긁어서 피가 난다. 어려서부터 그렇다. 유아 습진이 아직도 낫지 않았다]
※ 그건 유전성, 태독(胎毒)이다.
처방 : 공통약, 백개자(초)·행인(초)·강활·원방풍 각 3.5근, 익모초·애엽 각 1근, 신곡(초) 2.5근, 맥아(초)·금은화·포공영 각 3.5근, 하고초 2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4) 피부 가려움
증상 : 전신이 버짐 같은 거 있다.
※ 긁어서 죽염이 내부로 침투되도록 바르고 문질러 준다. 헐면서 가려운 것은 죽염 바르면 너무 아프므로 내복(內服)위주로 한다. 납저유에 개어서 죽염을 바르면 통증이 덜 한 것도 있다.
5) 혈풍(血風) [ 14세 남자, 전신에 좁쌀같은 돌기가 생겼다. 건선(乾癬)이 있고 지능이 낮아서 저능아 다니는 특수학교에 다닌다. 기억력은 약간 있다 ]
※ 중완을 뜨는 것이 최상의 치료법. 5분 뜸을 떠서 간혈(肝血)을 맑혀야 한다. 뜸을 못 뜨는 사람은 아래 탕약을 복용하라.
처방 : 공통약, 산길경 3.5근, 강활 3근, 원방풍·당귀·천궁·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신곡(초) 2.5근, 맥아(초)·공사인(초)·백두구(초)·익모초 각 3.5근, 생강·대추 각 1근, 원감초 2.5근
6) 피부건선 [ O형 남자 ]
처방 : 공통약, 익모초 3근, 백출·황기·당귀·천궁·천마·강활·원방풍 각 2근, 생강·대추 각 1근, 원감초 2근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과 죽염을 겸복하라.
※ 방풍통선산 : 활석 1전7푼, 감초 2푼, 석고·황금·길경 각 7푼, 방풍·천궁·당귀·적작약·대황·마황·박하·연교·망초 각 4푼반, 형개·백출·치자 각 3푼반, 생강 5쪽
※ 방풍통성산은 찬(冷)약이기 때문에 더운 약재를 넣어야 되는 경우도 있다. 가령 애엽 3전, 익모초 3전, 이런 식으로 A, AB, B형은 가미하라.
7) 소화안되고 알레르기 피부. 10년전부터 긁으면 벌게지고 두드러기 같은 것이 난다.
※ 혈관 속의 독(毒)중에 풍독(風毒)이니 방풍통성산을 쓴다.
※ 처방 : 방풍통성산에 강활, 원방풍을 각 3.5근을 가미하라.
강활과 원방풍은 풍독의 약이다.
8) 백선(白癬) [ A형 ]
처방 : 애엽 고음을 먹으면서 죽염을 복용하고 당처에 죽염을 발라서 문질러라. 범위가 너무 넓어 곤란하면 죽염을 물에 태워 담궈라.
※원인은 피에 있으니까 첫째는 피를 맑혀야 하고 둘째는 이런 풍(風)을 다스리려면 먼저 온중(溫中)하라. 셋째는 죽염으로 뿌리를 뽑아야 한다.
9) 피부종창[ O형 46세 남자, 종창이 길쭉하게 은하수처럼 생겨있다.]
※ 그것은 농약독 때문에 생긴 것이다.
처방 : 공통약, 별갑(초)·백개자(초)·행인(초)·금은화·포공영·하고초 각 3.5근, 유근피 0.5근, 신곡(초)·맥아(초) 각 3.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석고 2.5근, 송근 0.5근
10) 피부 및 대장의 알레르기 [ O형 39세 남자, 대장내 알레르기 반응으로 대변이 너무 묽어 설사끼가 있고 배도 아프고 불쾌감 있으며 피부 알레르기도 심하다.]
처방 : 공통약, 황백 2.5근, 지모1근, 지실 1.5근, 금은화 3.5근, 포공영 3근, 하고초 2근, 적하수오·백하수오 각 3.5근, 백개자(초) 2.5근, 행인(초) 3.5근, 신곡(초) 2근, 맥아(초) 3.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11) 소아도한(小我盜汗)
처방 : 가미귀용탕에 황기 3전∼5전, 계지 2∼3전을 가미하라.
대개 2첩 정도 먹이면 차도가 있다.
12) 두드러기 [ A형 여자, 3살 때부터 ]
처방: 방풍통성산에 익모초·애엽 각 3전, 황백 5전, 지실 3전을 가미하라.
13) 소양 발적(發赤) [ B형 남자, 가렵다, 식중독 후에 생겼다. 병원에서는 신경성 피부염이라고 한다.]
처방 : 가. 황백, 지실 각 5전을 소주에 넣고 끓여서 아침 식전에 1회복용(여러 번 할 것)
나. 방풍통성산에 황백 5전, 지실 3전, 일황련1전 가미하여 30첩을 집오리 1마리와 함께 달여 먹어라.
2.홍반성 낭창의 종류와 처방
註) 홍반성 낭창(紅斑性狼瘡, lupous erythematosus)
선홍색 또는 암자홍색의 작은 반점이 피부에 생기는 질병이다. 피부에 국한적으로 생기는 것과 심한 전신증세를 수반하는 전신형으로 구별되고, 그 중간에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유전성인 항체생산능력의 이상을 바탕으로 하여 자외선, 수술, 각종 약물복용, 알레르기, 정신적 스트레스 등 여러 가지 요인이 가해져서 증세가 나타난다고 보고 있다. 국부적인 병변은 주로 안면에 경계가 선명한 홍반이 생기고, 흰색의 인설(鱗屑)이 고착하며, 색소침착·색소탈실·반흔·모낭성 각화 등을 수반한다. 그 모양은 코 부위를 중심으로 나비형을 띠는 일이 많다. 전신형에서는 발열˙두통 외에 전신에 홍반이 생기거나 안면이 단독(丹毒) 모양으로 붓거나 하며, 안면에 나비형 홍반과 손발에 동창상 병변(凍瘡狀病變)이 나타난다. 빈혈·신장염· 심장의 변화·정신신경증세 등을 수반한다. 혈침반응·백혈구수·신장기능·결핵항체·류머티즘 반응·병변부의 조직검사 등에 의해 진단 및 병세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 어느 경우든 장기간 치료해야 하며, 특히 전신형인 경우는 입원치료를 해야 한다.
1) 전신성 홍반성(全身紅班性) 낭창[ O형 29세 여자, 열이 심하고 손발이 차고 가끔 조금씩 부어 오르고 통증이 심하다. 심장을 비롯하여 폐, 신장, 복막 등에 염증이 있다]
처방 : 관절 처방. 마늘죽염(청반 1/30가미)을 겸복하라.
2) 전신 홍반성 낭창
처방 : 공통약, 원백강잠(법제)·우슬·강활·원방풍·속단·목과·계피·백개자(초)·행인(초)·신곡(초)·맥아(초)
공사인(초)·애엽·익모초·당귀·천궁·백출·금은화·포공영·하고초·당산사·생강·대추·원감초를 혈액형에 따라 적절히 가미하라.
※ 백개자·행인은 전신성 피부병 약이고, 금은화·포공영·하고초는 종창의 약이며, 당산사는 얼굴의 독기를 없애는 약이다.
3) 알레르기성 낭창성 홍반 [ B형 54세 남자, 5∼6년 전에 발병, 손에 자주색깔의 물집성 홍반, 발에 자적색으로 헐었다. 직업은 석유회사 근무중 ]
※ 그것은 화공약독에 의한 피부병이다. 보이지 않는 고운 핏줄(極微細 毛細血管)속에 독기가 서리면 이렇게 된다. 수은 등 중금속 독을 위시한 다양한 화공약독에 의한 것이므로 뜸을 떠서 독을 풀어야 한다.
이런 것을 그냥 두면 살이 썩어지면 조금 낫는 듯 하다가 결국은 썩어서 절단해야 한다. 자꾸 짜르다가 죽든지 나중에는 암으로 죽는다.
처방 : 중완, 관원 족삼리에 뜸 각 5분이상을 10,000장씩 안 뜨면 살 수 없다.
신장질환
신장 처방과 원리 설명
1)제 1처방, 신장염(浮腫, 水腫), 신부전(腎不全)
콩팥이 허(虛)해서 이수도(利水道)가 잘 안 되면 이를 ‘부종(浮腫)’이라 하는데, 이는 한꺼번에 또는 순식간에 부었다가 빠졌다가 한다. 비장에서 요도로 보내주는 수분이 그곳 조직 신경이 허약해서 비정상일 때 수분이 외부로 조금씩 배설해 나가는 것을 ‘수종(水腫)’이라 하는데, 이는 모르게 모르게 붓는다. 심하면 많이 붓는데 이는 난치이다.
※ 부었다 내렸다 하는 것은 ‘부증(浮症)’이고 계속 부어있되 피부 색깔이 흰 것은 ‘수종(水腫)’ 누런 것은 ‘부종(浮腫)’이다. 이들은 모두 신장염이며 부종은 대부분 신장암으로 전변(轉變)할 가능성이 있고 수종은 약 10%의 전변가능성이 있다.
가) 느릅나무 뿌리의 껍질 즉 유근피(楡根皮)를 분말하여 이를 무시로 생강차에 1 숟가락씩 식전에 먹는다.
나) 집오리 1마리의 털과 똥을 제거하고 다슬기 1되, 소적두(小赤豆, 이팥) 1되, 상백피 1근, 마늘·건칠피(옻나무 껍질) 1근, 금은화(금은화) 1근을 함께 넣고 푹 삶아서 찌꺼기는 버리고 약물이 1되 가량 되게 졸여서 복용한다.
다)신장암·신부전·방광암·전립선암에 신비한 계분백(鷄糞白)
토종닭의 닭똥은 하얀 부분이 있는데 이것을 계분백(鷄糞白)이라고 한다. 계분백은 석회정(石灰精)이라는 것이 있다. 닭이 돌을 주워먹고 살게 되면 돌속에 있는 정(精)이 계분백으로 화(化)한다. 개량종에서는 계분백을 모을 수가 없다. 이 계분백은 신장암, 신부전, 신장염, 방광암, 전립선암, 요도염 등에 좋은 신약(神藥)이다. 복용방법은 신곡(초) 1근, 맥아(초) 1근, 계분백(초) 1근, 이 세가지 약재를 곱게 갈아서 분말하여 광목(보자기)에 싸서 보리찻물을 넣은 뚝배기에 24시간 담가둔다. 다음에 그 우러난 물을 수시로 복용한다. 콩팥이나 방광의 결석과 암세포를 제거하는 신비한 역할을 한다. (맨 아래 계분백과 신장암 참고)
라) 콩팥에 일종의 덩어리(積)가 생긴 것을 신적(腎積)이라 하고 또 분돈(奔豚)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암의 원인으로 습(濕)에서 온다.
집오리 1마리에 건칠피 1근반, 금은화 1근, 다슬기 1되(2kg), 이근피(李根皮) 1근반을 넣고 달여서 수시로 복용한다.
2. 신장 처방
1) 신장암[ O형 48세 남자]
공통약(오리 2마리, 민물고동 5되(10Kg),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원백강잠(법) 3.5근, 백개자(초)·행인 (초)·차전자(초) 3.5근, 금은화·포공영 3.5근, 생산약 3.5근, 산수유 2근, 오미자 1근, 유근피 3.5근, 석위초 3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석고 2.5근, 적하수오·백하수오 각 3.5근, 목통 1근, 구기자 3.5근, 청피 1.5근, 하고초 3.5근
2) 요도종양[A형 57세 남자]
공통약(오리 2마리, 민물고동 5되(10Kg),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원백강잠(법) 3.5근, 석룡자(법제) 1근, 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차전자(초) 2근, 금은화·포공영 3.5근, 생산약 3.5근, 산수유 3.5근, 오미자 1근, 유근피 3.5근, 석위초 1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목통 1근, 과루인(초) 2.5근, 구기자 3.5근, 하고초 1근, 지부자 2근
3) 신(腎) 증후군[81년 신장수술, 팔다리 배 부었다. 단백뇨. 84년 장이 유착되어 수술을 받았다]
공통약(오리 2마리, 민물고동 5되(10Kg),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원백강잠(법) 1.5근, 석룡자(법제) 1.5근, 백개자(초)·행인(초) 각 1.5근, 차전자(초) 3.5근, 금은화·포공영 각 1.5근, 생산약 1.5근, 산수유 1.5근, 오미자 1.5근, 유근피 3.5근, 석위초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목통 1.5근, 과루인(초) 1.5근, 구기자 1.5근, 청피 1.5근, 하고초 1.5근, 지부자 1.5근
4) 방광염 [A형 30세 남자, 혈뇨(血尿)]
공통약(오리 2마리, 민물고동 5되(10Kg),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원백강잠(법) 3.5근, 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차전자(초) 1.5근, 금은화·포공영 각 3.5근, 생산약 3.5근, 산수유 1.5근, 오미자 1근, 유근피 3.5근, 석위초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목통 1.5근, 과루인(초) 1.5, 구기자 3.5근, 하고초 1근, 지부자(초) 1.5근
5) 신부전 [A형 6세 남아, 만성신부전인데 병원에서 신장기능 25%정도만 남아 있다고 한다]
※ 이 애기 임신 중에 엄마가 늑막염 앓았다.
※임신부의 혈액이, 음식물과 식수 공기중의 모든 화공약독이 임신부의 혈액으로 자꾸 모아와서 그 피로 아기가 되었으니 그런 병이 왔다. 간암 등도 오고 백혈도 오는 수가 있다.
공통약(오리 2마리, 민물고동 5되(10Kg),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원백강잠(법) 0.5근, 백개자(초)·행인(초) 각 0.5근, 차전자(초) 0.5근, 금은화·포공영 0.5근, 생산약 0.5근, 산수유 0.5근, 오미자 0.5근, 유근피 0.5근, 석위초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0.5근, 목통 0.5근, 과루인(초) 0.5근, 구기자 0.5근, 청피 0.5근, 하고초 0.5근
6) 만성신장염 [O형 37세 남자. 양쪽 신장모두 결석. 폐가 당기고 압박감. 정충, 불면증, 소화불량, 경련성 장 증후군]
※화공 약독으로 장부가 녹아난다.
공통약(오리 2마리, 민물고동 5되(10Kg),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원백강잠(법) 3.5근, 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차전자(초) 3.5근, 금은화·포공영 각 3.5근, 생산약 3.5근, 산수유 2근, 오미자 1근, 유근피 3.5근, 석위초 3.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근, 석고 3근, 신곡(초) 1근, 맥아(초) 1.5근, 적하수오·백하수오 각 3.5근, 청피 1.5근, 하고초 3.5근, 산조인(초흑) 3.5근
7) 유뇨(遺尿)[A형 7세 남아, 3일마다 어떤 때는 날마다 밤에 오줌을 싼다 ]
※ 어머니 뱃속에서 태아가 조직이 모자라서 생겼는데, 태어나서 농약독과 합해서 생긴 병이다.
처방 : 집오리 1마리, 차전자·석위초·생산약·구기자·산수유·오미자 각 0.5근을 달여서 먹인다. 먹기 싫어하면 참깨 가루를 섞어서 먹인다.
※ 차전자, 석위초를 쓰는 이유는 부모의 성병으로 인해 유전된 유뇨에 잘 듣는 약재이다.
소아 유뇨는 폐에서부너 오는 이수도(利水道) 가 신장에서 처리 못해 온 것이다. 신장에서 처리할 힘이 모자라서 즉 신장 힘이 폐장까지 제대로 통하지 못한다. 이는 부모 중에 누군가가 성병 기운이 있거나 혹은 무슨 독성(毒性)기운이 있어서 그렇다.
8) 만성 전립선염
처방 : 공통약, 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유근피 4.5근, 생산약·구기자 각 3.5근, 산수유·청피·오미자·차전자 ·지부자 각 2근, 속단 3.5근, 맥아 3.5근, 석위초 1근, 생강·대추·감초 각 1근
※ 전립선염은 양기부족으로 요도에서 생긴 것과 방광이 수축하여 방광에서 생긴 것 이 두 가지이다.
※ 전립선의 병은 임균, 매독성, 신허(腎虛), 방광이 약해서 오는 것 모두 4종이다. 눈이 침침한 것은 신허(腎虛)에서 오는 것이다.
※ 석위초, 호장근, 통초는 이수도(利水道)만 잘 시키는 것이 아니고 방광과, 콩팥에 돌이 박힌 신장결석이나 요도결석, 방광 결석에 주장약이다. 석위초는 담낭결석에 주장약이다.
※ 옥수수 수염은 방광을 녹인다. 발등이 부으면 말기 단계이고 종양이 있으면 참는 신경이 부진하여 잘 참지 못한다.
계분백(鷄糞白)과 신부전(腎不全)
계분백(鷄糞白)이란 말 그대로 닭똥 중의 흰 부분을 뜻한다.
인산 선생의 계분백에 관한 말씀
신부전(腎不全)에는 계분백(鷄糞白)이 좋은데, 효(效)는 사람마다 다 달라요. (신약본초 후편 195쪽)
‘연세 높은 분, 신부전으로 몸이 붓고 하는데, 계분백 먹이면 되겠습니까?’
나이 든 사람은 계분백을 써서 부기가 빠지면 더 이상 할 필요 없어요.부기 빠진 뒤에도 계분백 자꾸 하면 힘이 쑥 빠져 버려요. 늙은이가 전신이 부었을 적에 계분백을 써서 전신 수분 몰아낼 적에 영양 주는 물도 나가버려. 뭐이고 한꺼번에 없애는 건 재미없어요. 늑막에 고인 물도, 주사기로 막 빼면 죽어버리는 수 있어요. (신약본초 후편 118쪽)
심부전 신부전(心不全 腎不全) 평생에 안 오도록 할 수 있어요. 신부적에는 계분백이 좋아요.(신약본초 후편 147쪽)
콩팥 신부전(腎不全)이 또 있어요. 신장염은 부증병(浮症病)인데 또 신장염에다가 신부전이 있고 신장암이 있고, 또 전립선염(前立腺炎)이 있고 방광염이 있는데. 여기에 한 가지 가지고 치료하는 건 또 뭐이냐? 우리 나라 토종닭이 있어요. 토종닭의 달구똥[닭똥]은 그 또을 싸고 난 뒤 위에 하얀 점 있어요. 그걸 의서엔 계분백(鷄糞白)이라고 하는데 그거 어느 옛날 양반 비방(秘方)에 나와 있는데, 고거이 조금 미비해도 확실한 거요.
그런데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이나 모든 옛날 양반 비방 속에는 제대로 나와 있지 않아도 계분백에 대한 치료법은 있어요. 그래서 그건 나는 꼭 된다고 일러주어요. 완전무결하다, 그래 일러주는데. 이 현실에는 신장에 신부전은 투석(透析)이나 하고 돌리면 되는 줄 아는데 그것도 얼마 못 가요. 신장암은 이식수술 해 가지고 좀더 살게 한다고 하면서 얼머 못 가요. 그럳데다 항암제나 놓으면 극약이라, 건 살아날 가망이 없고, 이런데.
계분백이라는 건 뭐이냐? 닭은 흰자위 속에 석회질이 많이 있어요. 그래서 계란 깝데기가 생기는데. 계분백이라는 건 석회정(石灰精)이라는 거 있어요 .돌인데, 그놈의 돌을 주워먹고 살게 되면 돌 속에 있는 정(精)이 계분백으로 화(化)해요. 그래서 토종닭은 똥싸게 되면 꼭대기에 하얀 점이 있어요. 그런데 개량종도 있긴 해도 약을 하면 잘 안돼요. 토종만이 되는데, 그래도 신자암은 어차피 죽는데 그걸 가지고 하면 하나도 실수(失手)없이 산다고 봐야 될 겁니다.
또 신부전도 지구상에선 못 고치게 돼 있어. 투석하고 일찍 수술하고 좀더 살고 죽는데 계분백이면 완치돼. 또 그러고 오래 살 수도 있어요. 오래 사는데 들어가면 홍화씨도 외래산(外來産)이래도 계속 잘 볶아서 절구에 찧어서 차를 달여서 조금씩 늘 먹어 두면 자기 수명은 연장해요. 건 내가 여러 사람을 지키고 보는데 바로 죽는 사람이 있다면 나도 그런 소리 안할 건데, 또 죽염도 오래 장복(長服)하면 확실히 수명을 연장하고 뱃속에 애기 밸 때 열 달을 죽염을 부지런히 먹으면 그 애기 홍역도 안하려니와 잔병이 일체 없어요.
그러고 차멀미하는 이들이 걸 늘 먹다가 차 탈 적엔 덩어리를 조금 입에 물고 가면 내내 녹아서 , 침을 넘기며 가면 차멀미하는 사람이 없어요. 그러면 그 죽염을 너무 광고를 푸짐하게 하다가 혼날 순 있어도 많은 사람이 먹어 가지고 완전한 감로수의 비법을 알면 장수한다, 만병을 통치한다, 그건 있을 수 있어.
무병 건강이란 말이 따라와요. 건 산삼보다 죽염이 앞서고 또 신비한 약물 속에 장수를 앞세우는 건 아까 말한 홍화씨고, 또 건강에 힘깨나 더 도와주는 산삼이 있고 그래 삼대 신약인데. 그 앞서서 내가 지금 계분백을 설명하는데 그걸 불에다가 살짝 볶아 가지고 계분백이라는 건 달구똥의 흰 건데 고것만 긁어 낼 수 없으니까 한 절반쯤 쓸어다가 많이 모아 가지고 그것이 가상 한 반 되, 소두 한 되겠다? 소두 한 되쯤 되게 되면 이틀은 먹을 수 있어요.
그걸 어떡하느냐? 신곡(神曲:神麴)이라고 누룩이 있어요. 맥아(麥芽)라고 엿기름이 있고. 그 신곡을 갖다가 불에다가 곱게 볶아 가지고 타지 않게 곱게 분말하고, 또 엿기름을 곱게 볶아 가지고 또 분말하고, 그렇게 해 가지고 그 세 가지를 똑같은 양이면 어떻게 되느냐? 등분한다 그거요.
그렇게 해 가지고 얇은 광목을 사다가 투가리[뚝배기·항아리]에다가 광목을 얹어 놓고 광목 위에다가 엿기름 보리차라고 있어요. 보리차를 많이, 보리 한 되쯤 넣고 오래 끓여 가지고 그 물을 한 투가리 담아 놓고서 거기다가 계분백 분말한 거, 엿기름하고 누룩하고 볶은 가루지.
그 세 가지를 합해서 가루 낸 거, 그걸 그 물에다가 담아 놓으면 하루만 지내면 다 우러나요. 그런 연후에 그 얇은 광목을 들고 슬그머니 짜 가지고 그 찌께기는[찌꺼기]는 버리고 그러고 그 물을, 그 물이 가상 한 반 되쯤 되면 이틀을 먹거나 하루 먹어도 돼요. 장정은 하루 먹어도 돼요.
그러면 한쪽으로 자꾸 해둬야 해요. 그래 먹는데. 신장암이라면, 신장암이나 방광암이라면 좀 부지런히 먹어야 살고 신부전도 그래요. 좀 부지런히 먹으면 사는데. 그걸 하기 싫어서 게을러 가지고 그런 건 다 싫고 그저 가만히 누워서 떡이 궁그러[굴러] 들어오든지 호박이 궁그러 오는 걸 바라는 사람은 죽는 수밖에 없어요.
난 죽는 사람은 명(命)에다 맡기는 게 아니라 게을러 죽는다고 봐. 누구도 게을러 죽는다고 나는 말해요. 얼마든지 살 수 있는데 왜 남의 말을 안 듣고 죽느냐? 그건 내 평생에 보는데. 그걸 지내가다가 “아, 거기 거 독사한테 물려 죽지 말고, 거 명태 같은 거 마른 걸 좀 갖다 삶아 먹어보지.” 아무도 웃으며 미친놈이라 해. 나는 한평생 미친놈 소리 들어요.
또 박사들이 꺼떡하면 내 손에 장 지진다고, 그런 소릴 잘해. 돌팔이가 그런 병 고치면 내 손에 장 지진다고. 그러면서 고치고 가서 “장 지지는 구경 좀 해봅시다”하면 또 대답 안 하는데. 그래 내가 그 유명짜한 양반들이 다 꿀 도적놈이느니라. 벙어리 꿀 도적질 해 먹구서리 찾으면 고갤 돌리고 말도 없이 형용도 안한다. 거 마찬가지다. (신약본초 697~700쪽)
그 다음에 또 이 세상에서 웃을 약이 있는데 우리 나라에 엿기름이라고 있어요. 그거와 누룩이 있는데, 그걸 곱게 잘 볶아 가지고 계분백(鷄糞白)이라고 촌에 가면 촌 닭의 똥 꼭대기에 하얀 점이 있어요. 그 하얀 점에 그저 조금 붙여서 똥을 잘라 가지고 그걸 아주 공들여 볶아요.
잘 볶으면, 누룩하고 엿기름하고 공들여 잘 볶으고 그리고 보리차를 흠씬 진하게 달여 가지고 그 물을 뚝배기에다가, 흙으로 만든 뚝배기가 다 집집이 있으니까 그 뚝배기에다가 물 한 되 이상을 보리차를 끓여서 두고[넣고], 진하게 끓여야 돼요. 끓여서 두고. 그 달구똥[닭똥] 흰 부분 그걸 계분백이라고 해요.
또 신곡(神曲), 맥아(麥芽), 누룩과 엿기름 그걸 곱게 빻아 가지고 모두 삼배 보자기에 싸 가지고 그 투가리의 보리차에다 담아 두면 24시간 후에 가만히 건져서 물을 따르면 그 물에 모두 우러나요. 그 물을 세상에선 고칠 수 없는 콩팥의 신부전(腎不全)이 있어요. 신장암이 있어요. 또 방광암이 있고 전립선암이 있는데, 이거 이외의 고치는 약은 없어요.
이건 우스운 약인데 엿기름이 그렇게 좋을 리가 없지만 엿기름은 옛날 양반도 파적지재(破積之材)라고 했어요. 누룩도 그러고. 누룩이 쌀이 녹아서 술이 되는데 파적지재가 안될 수 있어요. 이런데.
이런 것들 가지고 세상에선 안되는 병 잘되니 이거이 그렇게 돈 드는 것도 아니고 그렇게 큰 힘드는 것도 아니고 어려운 것도 아닌데 목숨을 구하는덴 염라대왕도 못할 걸 해요. 그렇다면 이거이 달러(dollar)주고 사온 약은 아닌데 왜 그렇게 신비하냐? 내가 한평생 있으면서 코쟁이 앞에 가서 굽신거리고 달러 주고 사와야 한시름 놓지, 나같은 영감한테서 공짜로 해 가지고 무얼 덕보겠다고 마음 놓고 먹을 수 잇느냐? 그것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어요.
그래서 내가 함부로 와서 사정하지 않는 사람 일러주지 않는 이유가 그거요. 난 평생 살려 달라고 애걸하지 않는 사람을 지나가다 일러주지 않는 건, 건 내가 자존심이 상해서 그런 거 아니오. 침뱉고 욕하는 소릴 할 수 없어서 안해요.(신약본초 783~784쪽)
인산선생의 가르침대로 잡지에 발표된 계분백에 관한 내용.
신부전·신장암에는 계분백이 신약이다. 놓아 기르는 닭똥 가운데 하얀 부분을 계분백(鷄糞白)이라 하는데 토종 닭똥에서 채취한 것이 약효가 있다. 이 계분백을 불에다 살짝 볶아서 약을 만들어 쓰는데 이때는 신곡(누룩)을 잘 볶아서 가루로 만들고 맥아(엿기름)도 잘 볶아서 가루를 내어 쓴다. 이 세가지를 같은 양으로 광목 주머니 속에 넣은 다음 장독뚜껑 같은 옹기 그릇에 보리차 물을 부은 후에 이 계분백·신곡·맥아분말을 넣은 주머니를 하루 동안 담가 놓으면 물이 우러 나는데 우러난 뒤에 광목 주머니를 들고 슬그머니 짜서 그 물을 먹으면 된다. 가량 계분백 반되(1리터)·신곡·맥아 각각 반되를 우려낼 때는 보리차 물을 2되쯤 투가리에 붓고서 우려내면 되는데 물이 반 되에서 1되 좀 안되는 양이 된다. 이걸 1~2일에 다 먹으면 신부전·신장암이 낫는데 나을 때까지 중단하지 말고 계속 먹어야 한다. 그러므로 계분백을 많이 준비하고서 투가리 여러 개를 사용해 끊임없이 약을 만들어 가면서 먹어야 한다. 또 보리차는 국산 보리를 반되쯤 잘 볶아서 물에 넣고 오랫동안 끓여서 쓴다. 약은 정성껏 만들어야지 시장에서 파는 외래산 보리를 쓰면 약효가 덜하다.
신부전이나 신장암은 불치병인데 이걸 완치시키려면 그만큼 열성을 가지고 치료를 계속해야 한다. 가만히 누어서 신장투석이나 하고 있으면 결국 완치시키지 못하고 그 병으로 죽고 만다.
신곡·맥아·계분백을 보리차에 우려낸 약은 신부전과 신장암만 치료하는 게 아니라 신장염·방광암·요도암·전립선염에 선약(仙藥)이다. 신장결석·요도결석·방광결석에는 석위초·호장근·통초·차전자를 같은 양으로 해서 완치될 때가지 끓여 먹으면 틀림없이 낫는다. (시사춘추 1992년 10월호 186~197쪽)
기타 계분백 체험담
1) 신토불이 건강 1996년 10월 호 7쪽의 내용
신부전·신장암;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계분백을 신곡·맥아와 함께 약을 만들어 먹으면 신비한 효과를 본다. 계분백을 살짝 볶고, 신곡(누룩)과 맥아(엿기름)도 잘 볶아 가루를 낸다.
이 세 가지를 같은 양으로 광목 주머니에 넣은 다음 장독 뚜껑같은 옹기그릇에 보리차 물을 부어 하룻동안 담가놓는다. 광목주머니를 들고 슬그머니 짠 뒤에 그 물을 먹는다.
계분백과 신곡, 맥아가 각각 반되 분량이라면 보리차 물은 2되쯤이 좋다. 이렇게 우려내면 우러난 물이 1되 가량 된다. 이걸 1,2일(하루 이틀)에 다 먹기를 반복한다. 계분백을 넉넉하게 준비하고 투가리를 여러개 사용해서 끊임없이 약을 만들어면서 먹어야 한다.
보리차는 국산 보리를 반되쯤 잘 볶아서 물에 넣고 오랫동안 끓여서 쓴다. 외래산 보리를 쓰면 약효가 덜하다.
계분백, 신곡, 맥아를 보리차에 우려낸 약은 신부전과 신장암 뿐만 아니라 신장염과 방광염, 요도암, 전립선염에도 좋다.
2) 신토불이 건강 1998년 7·8호 12~16쪽
온몸으로 부딪쳐 암을 이겨내고(이 영남 인산가 회원, 여)
이 영남씨의 투병 경과만 여기서 인용한다.
● 1985년 봄 구토가 심하고 음식을 먹지 못하는 등의 위염 증세로 병원에 입원하여 2년 동안 치료. 그러나 병세는 더욱 악화되어 신부전, 심장병, 저혈압, 수족마비, 좌골신경통 등 거의 몸 전체에 걸쳐 합병증 발생. 병원에서 이틀에 한 번씩 투석 치료하고 함암주사를 맞음. 1990년 10월 경에는 매일 전신마비증으로 혼수상태에 빠짐. 6년간의 투병으로 가산 탕진하고 자녀들고 휴학함.
● 1991년 우연한 기회에 <신약>책을 보고 인산 선생을 만남. 이 때 선생으로부터 약처방과 밭마늘죽염요법을 받음. 밭마늘 죽염요법을 시작한 사흘 뒤부터 구토증이 완화되고 병세가 호전되기 시작했음. 이영남씨는 밭마늘죽염요법 외에 다음과 같은 탕약 복용을 병행하였음. 유황오리탕 복용, 가미수첩산 복용. 신부전 치료를 위한 탕약(계분백·신곡·맥아 등) 복용, 좌골신경통 치료 위한 탕약(동송근이 주장약) 복용, 위종양 제거 위해 유죽액 요법 실시. 위와 같은 방법으로 1년간 치료한 뒤 1993년 5월 병원에서 종합진단 받아 ‘완치’로 판명됨. (16 쪽)
3) 신토불이 건강 1998년 5월호 17쪽
(질문) 만성신부전으로 3년간 혈액투석을 받다가 신장이식 수술을 했다. 그러나 거부반응이 일어나 다시 1주일에 두 번씩 투석 중이다.
(답변) 놓아 먹이는 토종닭만 찾으면 간단하다. 닭똥(토종닭의) 위에 하얀 부분을 계분백이라 하다. 이 계분백과 엿기름, 누룩을 잘 볶아서 보리차에 우려 먹으면 속전속결이다. <신약본초>에 자세히 나와있으니 참조하기 바란다. 인산쑥뜸도 좋지만 이식수술을 해서 뜨기 어려울 것이다. 인체의 한 부분을 잘라내면 뜸을 떠도 회통이 어렵다.
4)계분백으로 신부전·신장암 약 제조법
① 토종닭을 놓아기른다.
백닭오골계의 계분이 약성이 더 좋았고, 인산선생도 생전에 그런 말씀을 한 적이 있다. 그리고 요즘 닭 사료에는 항생제와 방부제가 들어있어 계분백을 채취할 닭에게는 시중의 사료를 먹여서는 안된다. 놓아 기르는 토종닭은 솔밭에서 지네, 지렁이, 각종 벌레들을 잡아먹고 있어 사료가 많이 필요치 않다.
② 이제 계분백을 채취해야 하는데 흰부분을 채취하되 밑에 검은 것이 딸려 들어가도 무방하다고 한다. 너무 흰 부분만 고집할 필요는 없다.
③ 계분백을 바짝 말린다. 빗물이 전혀 침입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④ 말린 계분백을 볶는다. 볶을 때는 실외에서 해야 한다. 실내에서 볶으면서 연기를 마시면 폐암에 걸릴 수 있다. 실외에서 볶으면서 마스크를 착용하면 좋다.
⑤ 신곡(누룩)을 준비한다. 토종 우리밀로 누룩을 만들어야 약효가 더 좋다. 누룩은 여름에 띄우는 게 좋다. 누룩을 만들어 바짝 말려 분말한다.
⑥ 엿기름(맥아)을 볶아 분말한다. 보리는 밀보리, 맥주보리, 겉보리 등세가지 종류가 있는데 토종 겉보리를 구해서 사용해야 한다. 누룩은 여름에 만들고, 엿기름은 초겨울에 만드는 게 좋다. 그리고 겉보리로 엿기름을 낼 때 싹이 정확히 2cm길이로 자라났을 때까지 해야 약성이 좋다. 너무 짧거나 더 길게 나올 때까지 하면 약성이 떨어진다.
이것을 볶아 분말한다.
⑦ 계분백 볶아 분말한 것, 신곡 볶아 분말한 것, 맥아 볶아 분말한 것을 1되씩 동량으로 삼베보자기에 넣고 투가리에 토종 엿기름 볶은 보리차를 달인 물에 하루 담궈놓는다.
볶을 때 미리 분말해서 볶으면 볶는 시간도 단축되고 잘 볶인다. 그리고 삼베보자기에 3가지 볶은 가루를 넣어 보리차에 담궈 우려내는데, 보리차에 그냥 담궈 놓으면 가루라서 물이 골고루 스며들지 않으므로 저어주든지 해야 한다. 계분백과 신곡, 맥아가 각각 반 되 분량이라면 보리차 물은 2되쯤이 좋다.
⑧ 1되씩 넣은 것을 하루동안 우려낸 물을 하루나 이틀 안에 모두 마셔야 한다.
1되씩 한 것일 경우에 10팩(한약 약봉지로)정도 나오는데 졸이면 고소한 맛이 나온다고 한다. 위와 같이 하기만 하면 반드시 고소한 맛이 나올 것이다. 닭똥약일지라도 법제과정을 거치면 이렇게 고소한 약이 만들어진다. 미각으로 옳게 약을 만들었나 못만들었나 판단할 수 있다.
“신곡·맥아·계분백을 보리차에 우려낸 약은 신부전과 신장암만 치료하는 게 아니라 신장염·방광암·요도암·전립선염에 선약(仙藥)이다. 신장결석·요도결석·방광결석에는 석위초·호장근·통초·차전자를 같은 양으로 해서 완치될 때가지 끓여 먹으면 된다.”